거짓말의 거짓말 : 사진에 관하여

토탈미술관에서 2015년 4월 30일 부터 6월 21까지 진행되었던 《거짓말의 거짓말:사진에 관하여》展의 도록이다. 사진의 이론적인 틀이나 사진자체에 대한 미학적인 입장보다는 사진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사진을 둘러싼 어떤 이야기들이 가능한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18명의 작가의 작품을  18명의 필자가 참여한 작가론 모음집이다. 

참여작가:
구본창, 권순관, 권오상, 김도균, 김진희, 김태동, 노순택, 문형민, 박진영, 백승우, 원성원, 윤병주, 장보윤, 정연두, 정희승, 하태범, 한경은, 황규태 

참여필자:
기혜경, 민병직, 박평종, 송수정, 신보슬, 신혜영, 안소연, 안소현, 이기원, 이대범, 이선영, 이수연, 이영준, 이진숙, 함영준, 현시원, 홍경한, 황정인

ISBN:
979-11-85518-15-2

정 가:
15,000원 (품절)

*『거짓말의 거짓말 : 사진에 관하여』보러가기 

목  차:
작가론
구본창 – 「구본창의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   글. 이진숙
노순택 – 「노순택의 사진」   글. 민병직
박진영 – 「박진영, 사진 속 유재(遺在) 그리고 미래의 잔사(殘史)」   글. 홍경한 
하태범 – 「탈색된 현실에서의 소외」   글. 안소연|
백승우 – 「사진으로 사진에 대해 질문하는 사진(작)가」   글. 신보슬 
장보윤 – 「상실의 항체가 없는 자의 기록 : 장보윤의 사진과 글」   글. 안소현
정희승 – 「정지의 무한」   글. 황정인
문형민 – 「일상의 부스러기를 포착하는 어떤 시스템」   글. 이기원 
김도균 – 「유형학의 외피를 쓴 조형언어로서의 사진」   글. 신혜영
원성원 – 「보기를 보여주기 : 원성원의 원더랜드」   글. 기혜경
권오상 – 「조각의 전통을 추적하는 메타-조각」   글. 함영준 
김태동 – 「그는 왜 ‘고립’을 말할 수밖에 없었을까?」   글. 이대범 
김진희 – 「흔들리는 눈동자, 불량한 수집」   글. 현시원
한경은 – 「몸의 말문을 찾아서」   글. 송수정
권순관 – 「사진 속에 살아있는 부재와 죽음」   글. 이선영
정연두 – 「시각은 착시다」   글. 박평종
황규태 – 「황구태의 이미지의 즐거움을 옹호함」   글. 이영준
윤병주 – 「윤병주: 프레임의 바깥」   글. 이수연
기획의 글
작가소개 

 

2015 Road show: 江陵

2011년 처음 시작된 프로젝트로, 여러 예술가와 기획자가 함께 여행을 하며 서로의 생각과 고민을 공유하는 프로젝트이다. 2015년에는 4대강에 논란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자 작가들과 함께 강릉을 여행하며 남긴 답사록이다. 

참여작가:
전우치, 노세환, 최윤석, 김동형, 서준호, 이동재

기획:
신보슬, 서준호 

후원: 
강릉원주대학교 

운영:
토탈미술관

정가:
비매품

* 『2015 Roadshow: Gangneung』 보러가기 

목차: 
참여자 소개 
기획자의 말_신보슬(토탈미술관 큐레이터)
워크숍
참여자 일지_허지은(강릉원주대학교 미술학과)
<로드쇼:강릉>을 위한 답사 자료
강릉   강릉의 명소 
            강릉 명칭의 역사
            강릉의 인물 

 

Muntadas : Asian Protocols

스페인 출신의 작가 문타다스(Muntadas)는  <아시안 프로토콜(Asian Protocols)>이라는 이름으로 아시아 3개국의 순회전시를 기획했다. 작가는 다년 간의 리서치 작업을 통해 ‘프로토콜’을 키워드로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의 관계망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중립적인 관점에서 3개국을 탐구하고자 했다. 2014년 토탈미술관에서 열린 전시에 부쳐 발간된 책 『아시안 프로토콜(Asian Protocols)』은 아시아 주요 3개국인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 사이에 얽힌 복잡미묘한 관계를 단적으로 드러낸다. 

참여작가: 
안토니 문타다스

참여필자:
강지현, 공간연구집단, 리믹스스튜디오, 안토니 문타다스, 크리스티나 사나후야, 신보슬, 첸 예후아, 이주연, 한스 D. 크리스트, 크리스토퍼 필립스, 하루카 호리우치

목 차:
서문
‘프로토콜’로 읽어보는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 – 신보슬
프로젝트 노트 – 안토니 문타다스
프로세스와 리서치 – 이주연

아시안 프로토콜 : 프로토콜 키워드 & 이미지 지도
아시안 프로토콜 : 리서치 노트 – 크리스티나 사나후야
아시안 프로토콜 : 리서치 노트 – 첸 예후아

아시안 프로토콜 : 단편들

번역에 관하여 : 알약
한스 D.크리스트

세 개의 프로젝션
크리스토퍼 필립스

공적 / 사적 공간(서울,베이징,도쿄)
서울 – 공간연구집단
베이징 – 리믹스 스튜디오
도쿄 – 하루카 호리우치

블랙보드 다이알로그 : 아시안 프로토콜에 대한 재정의
강지현

작가 약력

ISBN:
9791185518138

정 가: 
15,000원

* 『아시안 프로토콜(Asian Protocols)』 보러가기
* 『아시안 프로토콜(Asian Protocols)』 구입처

 






Artist:

Antoni Muntadas

Writer: 
Hans D. Christ, Haruka Horiuchi, Jeehyun Kang, Jooyun Lee, Antoni Muntadas, Christopher Phillips, Nathalie Boseul Shin, Christina Sanahuja, Chen Yehua,  Space Research Group, reMIX Studio

Contents:
Introduction
‘Protocol’ as a Lens on Korea, China, and Japan: Muntadas’ Asian Protocols – Nathalie Boseul Shin Project Notes – Antoni Muntadas
Process and Research – Joo Yun Lee

Asian Protocols : Cartographies
Asian Protocols : Research Notes – Christina Sanahuja Asian Protocols : Research Notes – Chen Yehua

Asian Protocols : Fragments

On Translation : Pille
Hans D. Christ

Three Projections
Christopher Phillips

Public / Private Space (Seoul, Beijing, Tokyo)
Seoul – Space Research Group
Beijing – reMIX Studio
Tokyo – Haruka Horiuchi

Blackboard Dialog : Redefining Asian Protocols
Jeehyun Kang

Artist Biography

ISBN:
9791185518138

Price: 
15,000원

* View  “Asian Protocols”
* to Purchase ” Asian Protocols”

2011 Road show: South Korea

2011년 처음 진행된 <로드쇼>는 서로를 모르는 국내/외 작가가  함께 여행을 하며, 행선지에 대한 서사와 정치적인 영향, 문화적인 기대치에 대해 서로 알아가고 공동체와 교류를 시도하는 프로젝트이다.  2011년은 도시화와 환경이라는 넓은 범위의 주제에 관해 협업을 시도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기획: 
최태윤, 신보슬

기획지원:
토탈미술관, 아이빔아트 앤 테크놀러지 센터, 리슨투더시티

진행:
노순택, 신윤선, 유경아, 이여운, 홍승호

참여작가: 
구지윤, 김선형, 김승범, 노바 쟝, 노순택, 매리 메팅리, 박은선, 소원영, 신윤선, 연미, 이솔, 존 코어스, 최태윤, 프란 일리히, 옥인 콜렉티브 

ISBN:
9788-89-9617-899-6

판매가:

15,000원

*『로드쇼 : 대한민국』 보러가기

목차:
로드쇼를 시작하며 
로드쇼 일정
로드쇼 다이어리
참여작가
     옥인 콜렉티브 
     박은선
     이여운
     연미
     김선형
     노바 쟝
     김승범
     구지윤
     소원영
     매리 메팅리
     존 코어스 
     프란 일리히
     이솔
     신윤선
     최태윤
     신보슬

당신은 나의 태양 : 동시대 한국미술을 위한 성찰적 노트

1960년대부터 45년간 빛을 발한 예술을 ‘기념’하기위해 2004년 10월 15일 부터 12월 5일까지 토탈미술관에서 진행되었던 《당신은 나의 태양: 동시대 한국미술을 위한 성찰적 노트》展의 도록이다. 이미지에서 이미지로 도약하며 시간 이미지를 산출해내는 방식의 편집으로 제작되었다. 

참여작가:

곽인식, 권진규, 김구림, 김경인, 김용익, 김관수, 김보중, 김봉준, 김천일, 김장섭, 김주호, 김범, 김소라, 김두진, 남관, 민정기, 문범, 박불똥, 박이소, 성능경, 신학철, 안창홍, 안규철, 오윤, 오인환, 육근병, 윤석남, 유승호, 이강소, 이승하, 이태호, 이응노, 이승택, 이건용, 이중근, 장지아, 장진영, 정복수, 조성묵, 주재환, 최병민, 최정화, 홍승혜, 홍명섭, 홍성담, 홍선웅, 홍순모, 그룹 오아시스프로젝트 

인터뷰:
김병기, 김윤수, 전성우, 김구림, 이승택, 윤명로, 이건용, 신학철, 김봉준, 홍성담, 김천일, 육근병, 김홍희, 최정화, 이정우, 김두진 

자료제공:
김미경, 김용익, 최열, 정준모, 미카 하루카와(Mika Harukawa)

정 가:
비매품

*『당신은 나의 태양 : 동시대 한국미술을 위한 성찰적 노트』보러가기

목  차:
전시공간도면 
감사의 말 
서   문
기획자 인터뷰
안규철 / 박이소
1층 전시장면
최정화 / 김    범 / 김소라 /  유승호 / 김두진 / 김천일 / 이승하 / 오인화 / 홍승혜 / 윤석남
김홍희 인터뷰 
태평양을 건너서 전시리뷰
육근병 / 장지아 / 이중근
그룹 오아시스프로젝트
도시와영상/의식주
광주비엔날레 창립선언문
이정우 인터뷰 
홍명섭 / 문   범 / 정복수 / 김보중
중간방 전시장면
김봉준 / 홍성담 / 오   윤
김윤수 인터뷰
‘일제 식민잔재 청산’의 길 
민정기 / 최병민 / 안창홍
‘현실과 발언’
신학철
민중미술 탄압
장진영 / 박불똥 
민중미술 15년의 발자취
홍선웅
민중미술 15년의 약사
79~89년 소집단 활동상황
미국의 민중미술전
김주호 / 홍순모 / 이태호 / 성능경 / 김구림
제4선언
최근의 전위미술과 우리들 
김지하의 오적
이승택 / 이건용 / 이강소 / 김경인
현실동인 선언문에 대하여
김용익
지하 전시장면
김관수 / 김장섭
지하 전시장면
전성우 인터뷰
곽인식 / 권진규
권진규에 대해 다시 생각함
윤명로 인터뷰
민족기록화전 현장답사 명단
민족기록화 제작 명단
조성묵 / 남   관 
김병기 인터뷰
이응노
제4집단
한국 단색조 회화에 대한 소고 
한국현대미술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