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소 : 토탈미술관
  • 개강일시 : 2023년 3월 8일(수), 9일(목) 오전 10시
  • 수강기간 : 2023년 3월-6월 / 9월-11월 오전 10-12시
  • 수강료 : 각 강좌 – 연 200만원 / 2강좌 수강 시 (평생회원 연 250만 / 일반회원 연 300만원)
  • 일반회원: 입회비 10만원 별도/ 미술관 무료 입장 및 각종 행사 초대/ 국내외 미술관, 건축물 및 문화유적 답사 (비용별도)/ 작가 스튜디오 탐방
  • 평생회원 : 평생회비 100만원 별도 / 일반회원 혜택 + 주택설계, 리모델링 상담 및 건축가 소개/ 오디오 관련 무료 상담
  • 접수처 : 토탈미술관 서울시 종로구 평창동 32길 8/ totalmuseum@empas.com
  • 문의 : 토탈미술관 학예실 02 379 3994, 7037
  • 수강료 입금 계좌 안내 : 하나은행 (노준의 283-890014-90904)

2023 Total Academy 강의 안내 

<수요강좌> 열린 세계의 미술관, 생동하는 예술가

3월
8일_Museum of Old and New Art / 15일_George Condo / 22일_특강 : 언더그라운드 시네마 / 29일_Museum Voorlinden

4월
5일_Palacio de Cristal del Retiro/ 12일_특강 : 고다르의 역사(들)_폭력의 이미지/ 19일_Arnulf Rainer & Friends/ 26일_Foundation Maeght

5월
3일_특강 : 미술과 글쓰기/ 10일_Foundation Louis Vuitton/ 17일_Mark Bradford/ 24일_답사/ 31일_Museum Ludwig

6월
7일_Albert Oehlen/ 14일_현장수업 (특강 : 한옥 / 장소 : 소격동한옥)

방학

9월
6일_Museum moderner Kunst Stiftung Ludwig/ 13일_Alertina Modern/ 20일_특강 : 텍스트인가 음악인가/ 27일_추석연휴

10월
4일_Günther Förg/ 11일_Norton Museum of Art/ 18일_답사/ 25일_Seattle Art Museum

11월
1일_Museum of Contemporary Art Chicago/ 8일_Miquel Barcelo

 <목요강좌> 현대건축을 보는 새로운 시선

3월
9일_현대건축 오딧세이 Ⅰ/ 16일_세계의 도시조직과 건축/ 23일_최선의 건축/ 30일_귀납적 지역성

4월
6월_현장수업 (뮤지엄한미)/ 13일_요즈음 건축/ 20일_생각의 탄생/ 27일_개념에서 건축으로

5월
4일_사람의 집/ 11일_메타버스의 건축학/ 18일_Less is more & More is more/ 25일_OCN (One City Nation)

6월
1일_건축가의 감성스케치북/ 8일_각득기의 (各得其宜)/ 15일_그림자의 위로

방학

9월
7일_유럽의 지리와 건축/ 14일_현장수업 (서울도시건축 비엔날레)/ 21일_Design is Engineering/ 28일_추석연휴

10월
5일_현대건축 오딧세이Ⅱ/ 12일_보통의 건축 (남부 이탈리아)/ 19일_표면의 깊이/ 26일_Doodle Constructivism

11월
2일_변화를 준비하는 디자인 집단의 전략 / 9일_도시의 미래

<비커밍의 기술> 워크숍 

《비커밍의 기술》 전시 연계 프로그램이 11월에 진행됩니다.
부분 변경될 수 있으니, 자세한 사항은 공식 인스타그램을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토탈미술관
Instagram(⬅클릭)

신청 기간 : 2022.11.01.(화) ~ 2022.11.30.(수)
전시 예매 : 네이버 예매 필수 (관람 무료)
장소 : 토탈미술관
문의 : 02-379-7037/3994

  • 22.11.05(토) PM4:00 
    장애인이 겪는 사회로의 접근성(장진석, 수어통역전문가)
  • 22.11.08(토) PM3:00
    – 전시장의 폐기물&지속가능한 전시(황수경, 공간일리 대표)
  • 22.11.12(토) / 19(토) PM3:00
    – <레드마리아> 감상 (경순 및 한경은, 영화감독)
  • 22.11.13(일) / 20(토) / 27(토) AM11:00
    – 『짐을 끄는 짐승들』(신보슬, 토탈미술관 큐레이터)
  • 22.11.17(목) PM3:00
    – You are Another Me(Victor Nemann, 큐레이터)
  • 22.11.18(금) PM3:00 – 건축과 윤리(Nikals, 전시참여작가)
  • 22.11.22(화) PM2:00
    – 자폐 예술가와 함께하는 그림자인형 만들기(정효성&홍영훈, 작가)
  • 22.11.24(목) PM4:00 – ESG와 미술관(이지은, 변호사)
  • 22.11.25(금) PM3:00 – 여성미술(정정엽, 작가)
  • 22.11.26(토) PM3:00 – 작가와의 대화(김아영, 작가)
  • 22.11.28(월) PM1:00 – 고스트 워크숍(흑표범, 전시참여작가)

코디네이터: 이민지, 윤현민, 정보영, 최다혜
에듀케이터: 최주현

11월 13일, 20일, 27일은 네이버 폼으로 신청해주시길 바랍니다. 
*참가 신청(클릭)

Workshop:

  • 22.11.05(Sat) PM4:00– Access to society experienc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Jinseok Jang, Sign Language Interpreter)
  • 22.11.08(Sat) PM3:00 – Waste from actual exhibition & sustainable exhibition(Sookyoung Hwang , The representative of space illi)
  • 22.11.12(Sat) / 19(Sat) PM3:00 – <Red Maria> (Kyungsoon&Hankyungeun, Movie Director)
  • 22.11.13(Sun) 20(Sat) / 27(Sat) AM11:00 – 『Beasts of Burden: Animal and Disability Liberation』(Boseul Shin, Total Museum Curator)
  • 22.11.17(Thu) PM3:00 – You are Another Me(Victor Nemann, Curator)
  • 22.11.18(Fri) PM3:00 – Architecture and ethics(Nikals, Artist)
  • 22.11.22(Tue) PM2:00 – Making shaw puppets workshop with autistic artists (Hyoseong Jeong&Yeonghun Hong, Artist)
  • 22.11.24(Thu) PM4:00 – Museum and ESG(Jieun Lee, Lawyer)
  • 22.11.25(Fri) PM3:00 – Artist talk(Jungyeob Jung, Artist)
  • 22.11.26(Sat) PM3:00 – Artist talk(Ayoung Kim, Artist)
  • 22.11.28(Mon) PM1:00 – Ghost Workshop(Black Jaguar, Artist)

2022 Total Academy 

 

<수요강좌> 토탈미술관에서 만나는 현대 작가들

3월:  16일-스페인과 Munoz / 23일-스페인과 Kentridge  / 30일-독일과 Baselitz

4월:  6일-독일과 Kippenberger / 13일-김병기 / 20일-독일과 Cragg / 27일-중국과 Xiaodong, Chunya

5월:  4일-중국과 Wei, Fanzhi / 11일-특강(네트워크시대 영상예술의 변화) / 18일-오스트리아 미술관1 / 25일-오스트리아 미술관2

6월:  8일-이탈리아와 Rist / 15일-이건용

9월:  7일-프랑스 미술관 / 14일-이우환 / 21일-Dubuffet와 Raysse / 28일-프랑스와 Messager

10월:  5일-미국과 Marclay / 12일-이승택 / 19일-미국과 Walker / 26일-미국과 Ferrara, Winsor

11월: 2일-영국과 Dean / 9일-성능경 / 16일-영국과 Whiteread

 

 

<목요강좌> 현대건축을 보는 눈

3월:  10일-건축가의 사유와 창조적 영감 / 17일-방문수업 / 24일-현대건축의 대안적 모색1 / 31일-동네의 풍경(거주의 내면)

4월:  7일-근작(인왕3분초와 목조건축) / 14일-과거의 미래(지역성과 전통을 기반으로 모색) / 21일-건축의 재료 /28일-방문수업

5월:  5일-공휴일 / 12일-가상공간의 새로운 가능성 / 19일-근작(Space K 외) / 26일-물욕없는 디자인

6월:  2일-답사 / 9일-음악을 위한 건축 / 16일-특강(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9월:  1일-문학으로 읽는 현대건축 / 8일-미래를 위한 건축 / 15일-조금 따뜻한 건축 / 22일-답사 / 29일-현대건축의 다른 시선

10월:  6일-오래됨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 13일-현대건축의 대안적 모색2 / 20일-알려지지 않은 건축과 건축가 / 27일-근작(클럽 나인브릿지, 피고라 등)

11월:  3일-변화를 준비하는 디자인집단의 전략 / 10일-일본현대 건축의 흐름 / 17일-미래계획

<벙커465-16: 가꾸다 꾸미다>

기간: 
2022년 3월 17일(목) – 5월 15일(일)

장소:  
신구대학교 식물원 갤러리 우촌 기획전시실 

대상: 
초등학생 고학년

인원: 
10명 

주최/주관:
토탈미술관, 신구대학교 식물원(www.sbg.or.kr)

<토탈미술관×신구대학교 식물원> 벙커465-16: 가꾸다 꾸미다 워크숍 
프로그램 소개:

동시대 미술의 첨단에서 다양한 시도와 고민해온 토탈미술관은 4차 산업의 미디어테크놀로지와 예술을 결합하여 <벙커465-16> 워크숍을 연계해 왔다. 2022년에는 신구대학교 식물원과의 협업으로 정원이라는 주제의 워크숍 <벙커465-16: 가꾸다 꾸미다>를 진행한다.

<벙커465-16: 가꾸다 꾸미다>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스마트 가드닝은 로마신화의 포모나(Pomona) 여신을 모티브로 우리가 인식해야 할 환경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포모나는 정원을 가꾸고 과일을 재배하는 일을 담당하며, 워크숍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등장하여 참가자들의 정원 가꾸기를 도와준다. 포모나의 안내에 따라 가상과 현실 세계를 넘나들며 자신만의 정원을 구상하고 다양한 기술 매체를 적용해 창의적인 스마트 가드닝을 체험할 수 있다.

첨단기술을 접목시킨 스마트 가드닝3D 프린팅, 코딩 드론, 아두이노, 3D 펜 등을 다루며 참여자 주도 아래 정원을 실재에 적용한다. 위와 같이  <벙커465-16: 가꾸다 꾸미다>는 일상 속에서 가까이 스며들어 있는 스마트 기술로 정원을 꾸미고 식물을 직접 키우며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 수 있는 워크숍이다. 토탈미술관과 신구대학교 식물원은 가상 세계 속에서 참여자가 전체적인 틀을 구성하며 기술과 결합해 직접 탐구하고 응용함으로써 환경 문제에 직면하는 시간을 가져본다.

[CCP & 토탈미술관] 사진 전문기획 과정 1기 모집

사진 교육의 명문 중앙대학교 사진센터(CCP)와 국내 최초의 사립 미술관으로서 한국 현대미술 발전에 꾸준히 이바지해온 토탈미술관이 공동으로 기획한 사진예술 전문기획 과정 1기 수강생을 모집합니다. 

개강일 : 2021년 10월 30일(토)
교육기간 : 16주 (2021.10.30~2022.3.5)
교육시간 : 매주 토요일 13:00 ~ 17:00
모집기간 : 2021년 10월 22일(금) 까지 [선착순 마감]
강의장소 : 토탈미술관 & 중앙대 사진센터(CCP)
모집정원 : 15명
수강신청 : https://lifelong.cau.ac.kr/
문의 : 02-820-6540 / 6128 

[드림 아트랩4.0] 벙커 465-16 자청비

2021. 05. 26 – 07. 30

프로그램 소개: 
토탈미술관에서 제안하는 교육프로그램 <벙커 465-16>은 어린이들과 함께 도시문제를 함께 연구하고 해결해가는 일련의 과정을 워크숍을 통해 배우는 자리이다. 문제 제기에서부터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 4차 산업의 미디어 테크놀로지와의 적극적인 연계를 시도한다. 동시에 예술가와의 협업의 장을 마련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그들과 함께 탐색하고, 필요한 기술을 탐구하고 응용해 여러 가지 직면하는 문제들에 적용해보는 다양한 창의적 문제해결을 경험할 수 있다.  프로젝트를 통해 참가자들은 ‘긍정적인 시각과 접근’, ‘주도적 문제제기’, ‘창의적 해결’, ‘디지털 기술의 적극적 활용’, ‘협업과 소통’, ‘공유문화’ 등의 키워드를 통해 사회적 메시지 ×기술 × 예술을 한데 모아 통섭적으로 다루며 그 흐름을 창의적으로 매핑해보는 융복합 워크숍이다.

자청비는 제주도에서 사람들이 농사를 지으면서 섬기기 시작한 농경과 오곡의 여신으로,  천상에만 존재하는 오곡의 씨앗을 지상으로 가져와 인간에게 전해줌으로 인간 세상에 농사의 풍요를 가져다 주었다고 한다.
<벙커465-16 자청비>에서는 농사의 여신 자청비가 지구의 환경오염으로 인해 더 이상 지구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없어, 지구를 떠나 버렸다는 스토리라인을 통해 ‘스마트 팜’을 기반으로 3D프린터, 모델링, 빅데이터 등의 4차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연결하여 스토리와 기술, 예술, 농업을 유기적으로 학습 및 활용 할 수 있는 워크숍이다.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운영:
토탈미술관

운영기간:
2021.05.26 – 05.27 사전 워크숍 (1회)
2021.05.26 –  07.25 온라인 워크숍 (5회)
2021.07.26 – 07.30 캠프형 본 워크숍 (5일/15회차)

프로그램 장소:
여수- 동백초등학교, 여남중학교
서울- 토탈미술관 

프로그램 내용:
스마트팜, 3D프린팅, 공유경제, 농업,  아쿠아포닉스, IoT, 빅데이터, AI, 클라우드, 개인생산, 환경, 바이오기술


*<벙커 465-16> 홈페이지
*<벙커465-16> 인스타그램

2021 Total Academy

수요강좌  |  토탈로 만나는 현대 미술관과 예술가들

목요강좌  |  현대건축을 보는 눈  

4/14 
    21 
    28 

5/05
    12
    19
    26

6/02
    09
    16
    23
    30

7/07
    14


9/01
    08
    15
    22
    29

10/6
    13
    20
    27

11/3
    10

기존을 뒤엎는 모든 방식은 정당한가? 1 Rudolf Stingel, 노르웨이 미술관(1)
기존을 뒤엎는 모든 방식은 정당한가? 2 Rudolf Stingel, 노르웨이 미술관(2)
관념을 마름질하는 파격의 계시 1 Michael Heizer, 노르웨이 미술관(3)

어린이 날
관념을 마름질하는 파격의 계시 2 Gordon Matta-Clark, 덴마크 미술관(1)
부처님 오신 날
금단의 열매를 따는 브리튼 이단자들 1 Gilbert & George, 덴마크 미술관(2)

금단의 열매를 따는 브리튼 이단자들 2 Chris Ofili, 덴마크 미술관(3)
회화의 거장이 붓을 다시 든다면? 1 Adrian Ghenie, 스웨덴 미술관(1)
회화의 거장이 붓을 다시 든다면? 2 Adrian Ghenie, 스웨덴 미술관(2)
회화의 거장이 붓을 다시 든다면? 3 Adrian Ghenie, 스위스 미술관(1)
낯선 자화상으로 드러난 제2의 자아 1 Chuck Close, 스위스 미술관(2)

낯선 자화상으로 드러난 제2의 자아 2 Yasumasa Morimura, 일본 미술관(1)
사회와 삶의 혼돈을 함께 빚어낸다면? Thomas Schütte, 일본 미술관(2)



회화의 경계를 정의할 수 없다면? Sean Scully, 캐나다 미술관(1)
4차원적 감각과 허구의 현실 1 Hans Op de Beeck, 캐나다 미술관(2)
4차원적 감각과 허구의 현실 2 Sophie Calle, 멕시코 미술관(1)
추석 연휴
왕자와 거지의 21세기적 공존은? Richard Prince, 멕시코 미술관(2)

하얀 화포에 번지는 고통의 얼룩 Kerry James Marshall, 브라질 미술관
늘 가꾸는 즐거움의 동시대미술 1 Ed Ruscha, 포르투갈 미술관(1)
늘 가꾸는 즐거움의 동시대미술 2 Ed Ruscha, 포르투갈 미술관(2)
에스파냐 영혼의 열정적 다양성 Doris Salcedo, 중국 미술관(1)

시공간 개념의 21세기 오디세우스는? 1 Pierre Huyghe, 중국 미술관(2)
시공간 개념의 21세기 오디세우스는? 2 Pierre Huyghe, 일본 미술관(3)

 

 

4/15 
    22 
    29 

5/06
    13
    20
    27

6/03
    10
    17
    24
    

7/01
    08


9/02
    09
    16
    23
    30

10/7
    14
    21
    28

11/4
    11

 

건축을 보는 눈, 시대를 보는 눈 
건축의 본질 
서양건축의 원류와 근대 건축 

답사
산업화의 런던,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
신고전주의 건축과 근대건축
건축의 풍화

건축공간의 이야기성과 합리성
향기가 나는 땅, 간다라의 건축과 예술
산업혁명과 영화산업, 그리고 영화와 건축
건축드로잉과 상상력의 판타지, 아방가르드와 키치

작가론 (시대정신과 창작의 사유 1)
작가론 (시대정신과 창작의 사유 2)


알바로 시자, 정직과 실재 
리처드 마이어와 뉴욕5의 건축
마리오 보타의 종교건축과 남양성모성지 성당 
피터 줌터, 분위기의 건축 
땅의 건축과 관계성 그리고 도시재생

렘 콜하스와 OMA의 도시건축
스페인의 현대건축
쉰켈과 치퍼필드, 베를린의 고전 향기
디지털 건축과 필드 오퍼레이션

베르나르 추미, 새로운 관계
Future Mobility와 스마트 도시공간

2021 Museum Night

프로그램일정:
2021년 4월 3일 토요일

15-17시 워크숍: 오복기공사(이슬기,이화주) <블루투스 스피커 제작>

2021년 5월 1일 토요일
15-17시 워크숍: 오복기공사, 이미혜(kkotssul대표) <블루투스 스피커 제작> *온라인

2021년 5월 29일 토요일
15-17시 워크숍: 오복기공사(이슬기,이화주) <스탠드 조명 제작>

*선착순4명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

실행:
토탈미술관, KKOTSSUL

오복기공가(이슬기,이화주) :
오복기공사는 공예·디자인·공학이라는 특별한 예술적 배경을
가진 디자인 스튜디오이다. 오복기공사는 우리주변의
산업풍경 속 크고 작은 부품을 수집하고 오복기공사의
조형적 시각으로 새롭게 재구성한다.

이미혜(kkotssul 대표):
전〈 보그 코리아〉 피처 디렉터. 디자인&미술 관련
칼럼니스트이자 문화 기획자로 한국의 젊은 디자이너들을
소개하고 이들의 가구와 소품을 경험하는 공간 kkotssul을
운영하고 있다.

*코로나 19 재확산을 예방하고자 마스크 없이는 프로그램 참여가 불가하며, 방문시 문진표 작성과 체온 측정 절차가 있습니다.

*사전신청은 이메일예약으로 인원수 한정 예약제로 운영됩니다.

*문의 hansujin.total@gmail.com

[기술입은 문화예술교육] 윌슨 구출 대작전

2021. 02. 15(월) – 02.19(금)

프로그램 소개: 
’조난된 윌슨을 나 아르르와 구하러가자!’
– 재난 상황에 고립된 참가자들이 조난된 친구를 구해가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통하여 4차 산업 혁명으로 불리는 VR, AR,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들을 개별적으로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의 시나리오를 통해서 연결시키고, 이 안에서 기술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 본 프로그램은 자체 개발한 앱을 기반으로, 강사 없이 참가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가상의 시나리오 안에서 게임 형식을 빌어와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 참가자들에게는 매일 미션과 관련된 키트박스가 전달됩니다. 미션을 진행할 수 있는 키트 안 재료와 아르르의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어플을 사용하여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작가(강사)들은 매일 구글클래스를 통해 참가자들의 진행사항을 확인합니다.

주최 : 
문화 체육 관광부

주관 : 
한국 문화예술회관 연합회

운영 :
토탈 미술관

 

프로그램 개요:
· 프로그램 명: 윌슨 구출 대작전
· 프로그램 기간: 2021.02.15 – 02.19 (총 5차시/매일 3시간)
· 프로그램 장소: 각자의 집 (키트 배포형)
· 모집인원·대상: 전남 여수지역 내 40명 (초5-6, 중1)
                                 경기 오산지역 내 20명 (초5-6, 중1)
                                  *키트 배포 문제로 인해 지역을 제한함

프로그램 내용:
미션0. 아르르와의 만남
            · 오리엔테이션, 배경 이야기, 등장인물, 규칙 소개
미션1. 宙/ 집밖은 위험해! 요새를 구축하라
           · 인간의 주거 공간과 건축을 위한 구조에 대한 이해
           · 사용기술: LED 라이트, AR 마커, 움직임 감지 센서
미션2. 食/ 안락한 요새생활
           · 음식 만들기를 통한 컴퓨터적 사고 훈련
           · 사용기술: 코딩
미션3. 衣/ 이상 행동자들로부터 나를 지키자
            · 신체를 강화·보호하는 의복 혹은 착용하는 것을 제작
            · 사용기술: 3D펜
미션4. 연결/ 윌슨에게 메시지를 보내자
             · 전기 발전의 개념을 익히고 전신기를 통해 원거리 통신의 개념을
                 익혀보자.
             · 사용기술: 전력발전, 전기

2020 Museum Night #3

2020.10.31 (토) 3-7pm

워크숍 프로그램 3-5pm 
장성희: <수제 책 만들기> *선착순10명
마음의 양식을 쌓는 독서의 계절인 만큼, 자신만의 이야기로 한권의 책을 묶어보는 시간을 갖는다.

뮤지엄 콘서트 프로그램 5-7pm
《Autumn Melody》*선착순 20명

김순배
J.P. Rameau(1683-1764)………Les Boreades:Le Entree de Polymnie
‘Gavotte’ Variation
J.P. 라모(1683-1764)………‘레 보레아드’ 중 ‘예술의 여신 등장’
‘가보트’ 변주곡

김석희
F.Schubert(1797~1828)……………Impromptu op.90 no.1
슈베르트(1797~1828)……………즉흥곡 작품90의 1번

조연경
Ginastera (1916-1983)………Danzas Argentinas Op.2
Danza de la moza donosa
Danza del la gaucho matrero
히나스테라 (1916-1983)………아르헨티나 무곡 작품2
우아한 아가씨의 춤
교활한 카우보이의 춤

Vc.장은진 Pf.정현옥
v. Beethoven (1770-1827)…….7 Variations On Welche Liebe Fuhlen,
From Magic Flute WoO 46
L.v. 베토벤 (1770-1827)…….모짜르트 ‘마술피리’중
‘사랑을 느끼는 남자들의 다정한 마음’에 의한 7개의 변주곡

최형인
S.Rachmaninoff (1873-1943)…..Etude Tableaux Op.39 no.9
S.라흐마니노프 (1873-1943)…..회화적 연습곡 작품번호 39-9번

이경화
P.I.Tchaikovsky(1840-1893)……..The Seasons, Op.37b
X.Autumn – Andante doloroso e molto cantabile
XI.Troika – Allegro moderato
XII. Christmas – Tempo di Valse
P.I. 차이콥스키(1840-1893)…….사계, Op.37b
10월 – 가을
11월 – 트로이카
12월 – 크리스마스

Trio Abientôt 트리오 아비앙또
Vn. 오진주, Vc. 권현진, Pf. 우영은

Piazzolla(1921-1992)……….Four Seasons of Buenos Aires
Invierno Porteño (winter),
Primavera Porteño (spring)
피아졸라(1921-1992)……….부에노스 아이레스의 사계 중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겨울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봄

임호열
R.Schumann (1810-1856)……… Fantasie in C major, Op.17
I.Durchaus phantastisch und liedenschaftlich vorzutragen
R.슈만 (1810-1856)……… 판타지 C 장조 Op. 17
I.매우 환상적이고 열정적으로

성경현 / 심윤선
Czerny (1791-1857)
Grande Sonata Brillante op.10 in c-moll for piano 4 hands
Allegro agitato
체르니 (1791-1857)
네 개의 손을 위한 화려한 다단조 소나타 작품 10의 1
빠르고 격렬하게

후원: 사립미술관협회

*뮤지엄 콘서트는 SNS 실시간 스트리밍 예정입니다.

*코로나 19 재확산을 예방하고자 마스크 없이는 프로그램 참여가 불가하며, 방문시 문진표 작성과 체온 측정 절차가 있습니다.

*사전신청은 전화예약으로 인원수 한정 예약제로 운영됩니다.

*문의 02-379-7037/3994

워크숍 강사:장성희
한양대 산업디자인 전공,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대학원 포장 디자인을 전공하고 편집디자이너로서 15년 정도 잡지, 단행본, CD 재킷, 홍보물 등 인쇄매체를 디자인하다가 2012년부터 수작업 공방 “MOTIF lab’을 오픈하여 북 바인딩, 일러스트레이터를 활용한 ‘나만의 브랜드 만들기’클래스를 운영하고 있다.

연주자소개:
김순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미국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석사 및 박사
한민대학교 교수. USC방문교수 역임
한국 피아노 연주와 교수법 협회 대표, 한세대학교 피아노페다고지 대학원 겸임교수

김석희
독일 Heidelberg Musikhochschule fur kirchenmusik 전문연주자 과정 졸업.
현 한국 피아노학회 국제교류분과 연구위원
강남대학교 콘서바토리 음악학과 겸임교수

조연경
경희대학교 및 동대학원 피아노 연주 석사 졸업
한세대학교 피아노 교수학 박사 졸업
현) 한세대학교 출강, 피아노블러바드 뮤직스쿨 대표

정현옥
중앙대 재학 중 도미,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학ㆍ석사 졸업
한국 음악교수 협의회 총무이사

최형인
파리 에꼴노르말 음악원 디플롬취득ㆍ최고연주과정수료
Claude Kahn Concour입상
현)침례신학대 평생교육원출강

이경화
예원학교 졸업,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 잘쯔부르크 모짜르테움 마스터 졸업
한세대학교 피아노연주학 박사 (D.M.A)
현)앙상블 Piano Boulevard 대표,한세대학교 대학원 출강

우영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이화여대 피아노과 졸업
프랑스 파리 고등사범음악원 피아노 최고 교육자과정 및 최고 연주자과정 졸업
) 뮤지토리 대표

오진주
선화예술중. 고등학교 수석입학. 독일 쾰른 국립음대 학사. 석사 졸업
독일 뷔르츠부르크 국립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심사위원 만장일치 졸업
현)대전예고. 세종예고. 선화 예중. 고 목원대학교 출강

권현진
차이콥스키 국립음악원 학사.석사.박사 졸업
M.Yesky국제콩쿨.Shabyt국제콩쿨1위 다수의 협연 및 독주회
현)안디무지크 필하모니아 수석.침례신학대학교.대전예고 출강

임호열
연세대학교 학사석사졸업, 로스톡 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에피날 국제콩쿨 대상, 예원,서울예고,연세대 객원교수

성경현
독일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 학사,석사
데트몰트 국립음대 최고연주자 과정 졸업
국립 안동대 출강

심윤선
예원,서울예고,연세대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콘서바토리, 독일 데트몰트 국립음대KA,KE 졸
선화예고, 제주대 출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