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YONG DEOK INVERTED SCULPTURE

이용덕의 역상조각: 순간의 지속

이 연구서는 토탈미술관이 2024년 6월에 개최한 이용덕展 《순간의 지속 THE MOMENT NOT A MOMENT》과 연계 심포지엄을 바탕으로 확장된 연구의 결과물이다. 전시는 이용덕이 1984년에 창안한 독창적인 표현형식인 ‘역상(易像)조각’을 집중 조명하며, 그가 40여 년에 걸쳐 진행해 온 조형 실험의 과정을 아울렀다. 전시와 함께 진행한 심포지엄에는 국내 현대미술계를 대표하는 미술사학자, 비평가, 전시기획자가 참여하여 이용덕의 조형 세계와 그의 역상조각에 대한 미학적·미술사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논의했다. 

역상 조각은 조각의 입체적인 형상을 역으로 뒤집어(invert) 음각으로 파인 형태가 마치 양각처럼 돌출된 효과를 내는 반전 기법을 활용한다. 이 과정에서 작품은 현실과 비현실, 존재와 비존재를 교차하여 관객에게 익숙한 형상이 환영으로 변하는 순간을 경험하게 한다. 이용덕은 실재가 어떻게 우리의 인식론적인 경험을 구성하는 지에 대해 오랜 시간 천착했으며, 그의 조형 세계는 전시를 통해 그 흐름과 맥락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냈다.    -책을 펴내며 中-

e-book 링크: https://online.fliphtml5.com/vkfpd/sbfv/

저자
권혁규, 김남시, 김원방, 로버트 C. 모건, 심상용, 원애경, 정연심, 조상인, 최태만, 케이트 림

기획
엘와이디 스튜디오
원애경
토탈미술관

지원
토탈미술관
엘와이디 스튜디오

편집
엘와이디 스튜디오
원애경

디자인 
문해원

번역 
곽지수, 토드 홀로벡

사진
이용덕, 이정우, 아트조선

인쇄
경일인쇄

발행처
토탈뮤지엄프레스

 

LEE YONG DEOK INVERTED SCULPTURE:
THE MOMENT NOT A MOMENT

This research publication is an expanded outcome based on the symposium held in conjunction with Lee Yong Deok – The Persistence of the Moment: MOMENT NOT A MOMENT, an exhibition organized by the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June 2024. The exhibition spotlighted Lee Yong Deok’s original sculptural form, Inverted Sculpture, first conceived in 1984, and traced the trajectory of his four-decade-long formal experimentation. The accompanying symposium brought together leading art historians, critics, and curator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Korean art, who engaged in in-depth discussions on the aesthetic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Lee’s sculptural practice, particularly his Inverted Sculpture.

Inverted Sculpture employs a reversal technique in which a concave form—sculpted in negative relief—creates the visual illusion of a convex figure. Through this process, the work enables viewers to experience a moment in which the familiar image appears as an apparition,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the unreal, presence and absence. Lee Yong Deok has long devoted himself to exploring how the real is constructed within our epistemological framework, and the exhibition revealed the evolution and deeper structure of his sculptural language. 
-From the Foreword-

e-book link: https://online.fliphtml5.com/vkfpd/sbfv/

AUTHORS
Kwon Hyukgue, Kim Nam-see, Kim Won Bang, Robert C. Morgan, Shim Sang Yong, AeKyung Won,
Yeon Shim Chung, Cho Sang In,
Choi Tae-Man, Kate Lim

ORGANIZED BY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CURATED BY
LYD Studio,
Aekyung Won

ASSISTED BY
Total Museum Contemporary Art
LYD Studio
Jo Uiju, Kim Taehoon, Isaac Moon

EDITED BY
LYD Studio,
Aekyung Won

DESIGN BY
Haewon Moon

TRANSLATED BY
Ji Su Kwak, Todd Holoubek

PHOTOGRAPHY BY
Lee Yong Deok, Lee Jeongwoo,
Art Chosun

PRINTED BY
Kyungil Printing Co.

PUBLISHED BY
TOTAL MUSEUM PRESS

 

입 속의 협업자

입 속의 협업자는 시각예술가 흑표범이 퍼포먼스로 불러낸 다양한 협업자들의 목소리를 책이라는 사물로 엮어보는 출판 프로젝트이다. 이 책은 2004년부터 2023년까지 이어져 온 흑표범의 작업들을 뒤돌아보며 걷는다. 이 책이 주목하고 있는 건 제목에서도 암시하고 있듯이 퍼포먼스 기록 안에서 맴돌고 있고 여전히 힘을 발휘하고 있는 말, 바로 그 말이 남긴 감정과 기억이다. 이 책은 퍼포먼스를 기록하는 여러 방식 중 하나로서, 그간 주로 집중되곤 하던 퍼포먼스의 몸 이미지에서 한 걸음 비켜서서 그 몸이 어떤 말들을 삼키고 어떤 말들을 다시 세상에 뱉어낼 수 있게 추동했는지 사유하고자 한다.

기획 전솔비
편집 전솔비, 희음
교정/교열 희음
저자 김성은, 김영옥, 노순택, 안팎, 전솔비, 한진오, 흑표범, 희음
디자인 정지영
제작 인타임

펴낸이 노준의
펴낸곳 토탈뮤지엄프레스

협업자들 예진이 어머니(박유신), 영만이 어머니(이미경), 시찬이 어머니(오순이), 고원, 근희, 기봉, 루비아나, 렌, 한나, 재경, 뽀뽀, 장성지, 김미진, 최혜영, 홍이현숙

ISBN 979-11-85518-01-5

정가 19,000원

*입 속의 협업자구입처

 

 

 

저자 소개

김성은
김성은 혹은 김그레이스라는 이름으로 제주에 살며 영상인류학의 방법론에 기반을 둔 시청각 연구와 논픽션 영화 작업을 한다. 카메라를 매개한 관계 맺기와 몸으로 기록하는 다양한 방식, 기억의 활성화를 통한 돌봄과 협업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장편 영화로는 《스물다섯번째 시간》(2017)과 《섬이없는지도》(2021)가 있다.

김영옥
〈타인의 텍스트에서 만나는 자화상_발터 벤야민의 카프카 읽기〉로 발터 벤야민에 관한 긴 탐색을 일단락 지은 후, 대학의 안과 밖에서 여성주의와 소수자의 관점으로 문화이론 벼리는 일에 몰두했다. 예순이 넘어 늙어감과 노년기의 삶, 돌봄이라는 변방의 현실에 거주하며 적절한 담론과 언어를 짓고 있다. 『늙어감을 사랑하게 된 사람들』(2023), 『흰머리 휘날리며, 예순 이후 페미니즘』(2021), 『이미지 페미니즘』(2018)을 단독으로, 『돌봄과 인권』(2022), 『새벽 세 시의 몸들에게』(2020) 등을 함께 썼다.

노순택
사진사. 거리에서 사진을 배웠다. 관심사는 세상 돌아가는 온갖 풍경이지만, 그중에서도 한국전쟁과 분단이 낳은 부조리한 사회적 풍경을 주목해 왔다. 《분단의 향기》를 시작으로 《얄읏한 공》, 《붉은 틀》, 《좋은, 살인》, 《비상국가》, 《망각기계》 등의 국내외 개인전을 열었고, 같은 이름의 사진집을 펴냈다.

안팎
안팎과 박종주, 두 개의 이름으로 글을 쓰거나 옮긴다. 주로 장애와 퀴어에 초점을 두고 예술이나 정치에 관한 짧은 글들을 써 왔다. 최근에는 『제로의 책』(2022)에 글을 실었고 『피메일스』(안드레아 롱 추, 위즈덤하우스, 2023), 『게임 사랑 정치』(앨피 본, 시대의창, 2023)를 한국어로 번역했다.

전솔비
경계와 타자의 문제를 고민하는 예술가들과 협업하며 정체성, 아카이브, 수행성, 다큐멘터리, 난민성에 대한 질문을 기반으로 기획과 글쓰기 작업을 하고 있다. 최근 작업으로는 공동으로 쓴 『난민, 난민화되는 삶』(2020), 『생명연습』(2022)이 있으며, 전시 《녹는 땅, 고인 기억》(2021), 《연약한 기록들의 춤》(2022), 《캠프 사운드 커뮤니티》(2023)를 함께 만들었다. 

한진오 
제주도굿에 빠져 제주칠머리당영등굿보존회에서 굿을 배우는 한편 연구를 병행하며 탈장르적 창작활동을 벌여 온 제주토박이다. 문학, 연극, 음악, 미디어아트 등 전방위적 예술 작업을 통해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대통령상과 연출상을 동시에 수상했는가 하면 “1만 8천여 신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전국공모전” 대상, “한국방송대상 지역다큐멘터리 라디오부문 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그의 작업은 에오라지 주술과 예술의 경계에서 올리는 제주섬을 향한 기원이다. 저서로 신화담론집 『모든 것의 처음, 신화』, 희곡집 『사라진 것들의 미래』, 인문지리서 『제주 동쪽』, 『섬이 된 할망』 등이 있다. 굿처럼 아름답게… 

흑표범
흑표범은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소수자 이슈에 접근하고 있다. 전남 도청 광장 분수대에서 펼친 샤워 퍼포먼스 <정오의 목욕>(2011), 세월호 유가족 어머니들의 목소리를 찻길 건너편의 관객들과 눈을 마주하고 함께 듣는 퍼포먼스 <VEGA>(2016) 등을 발표해왔다.

희음
다양한 형태의 불안정 노동을 하며 글을 쓰고 사람들을 만난다. 기후생태위기를 비롯한 삶의 위기 앞에서 어떤 저항과 목소리와 돌봄이 필요한지 더듬어 찾는 중이다. 멸종반란과 기후위기 앞에 선 창작자들의 활동가로 함께하고 있다. 시집 『치마들은 마주 본다 들추지 않고』(2020), 그림책 『무르무르의 유령』(2023)을 펴냈다. 『김용균, 김용균들』(2022), 『우리 힘세고 사나운 용기』(2023)를 함께 지었다.

Breathing Walls 숨쉬는 벽

한옥을 재해석하여 설계한 스위스대사관의 건축과, 장소성으로부터의 영감을 바탕으로 한 사진이자 북 프로젝트이다. 한국의 젊은 사진가 8명에게는 대사관의 모든 공간과 구성원을 대상으로 자유로운 창작의 조건이 주어졌다. 그리고 수 개월에 걸쳐 각자의 구상과 공간에서의 경험을 통해 사진 매체에서만 가능한 고유한 이미지들이 표출되었다.

작품에 참여한 구성원들에게는 기능적인 일상의 공간을 새로운 시각과 농도로 인식할 가능성이 생겼고, 외부 방문객들에게는 익숙한 공간의 낯선 이미지들로 인해 상상력으로 각색된 새로운 기억이 추가되었다.

보통 사람들은 그 존재를 알지만 다가가기 어려운, 가까운 미지의 공간인 대사관은 경직되고 근엄한 옷을 벗고 창작이 이루어지는 하나의 예술공장과도 같은 역할을 자처하였다. 이러한 개방적인 조건들은 우리가 갖고 있는 한 국가, 대사관이라는 공간에 대한 편견과 획일적인 상징들로부터 자유로울 기회를 제공한다.

컨셉:
프랑수아즈 가르디, 리누스 폰 카스텔무르

큐레이터:
천경우

참여작가:
김도영, 김지희, 김태중, 유영진, 이예은, 이현우, 임성준, 정영돈

프로젝트 매니저:
국지수

교열:
마이클 하워트

번역:
만마토, 김유정

감수:
안경숙, 김선아, 로익 젠트

그래픽 디자인:
정희정

인쇄:
문성인쇄

후원:
스위스펀트 코리아
스위스 연방 청사관리 및 조달청

ISBN: 
999-11-0000000-0-8

정가:
32,000원

*『Breathing Walls』 구입처

전시 장소: 주한스위스대사관🇨🇭Swiss Embassy Seoul
전시 기간: 11월10일까지 11시-17시 / 11.5(금)11시-13시
관람 예약: forms.gle/j6eFavcYsRhsrc9j8
문의: 02-739-9511

Concept:
Françoise Gardies, Linus von Castelmur

Curator:
Kyungwoo Chun

Artists:
Doyoung Kim, Jihee Kim, Taejoong Kim, Youngjin Yoo, Yeeun Lee, Hyeonwoo Lee, Sungjun Lim, Youngdon Jung

Project management:
Jisoo Gook

Copy editor:
Michael Howarth

Translation:
Mattho Mandersloot, You Jeong Kim

Proofreading:
Kyong-Sook An, Suna Kim, Loïc Jent

Graphic design:
Hee-jeong Jeong

Printing:
Munsung Printing

Support:
Swiss Fund Korea
Federal Office for Buildings and Logistics

ISBN: 
999-11-0000000-0-8

Price: 
32,000₩

Lee Soon Jong (이순종 도록)

참여작가: 
이순종

참여필자:
김남수, 김종길, 오세원

목차: 
프롤로그 
작업
에세이
통증과 향유 – 오세원(씨알콜렉티브 디렉터)
역사의 구동축이 사라진 세계, 새로운 여신으로 출현하는 세계관 – 김남수(안무비평)
아수라 현실 만다라, 빠알간 화엄의 불꽃-이순종 미술의 창조술과 미학적 개념에 대하여  – 김종길(미술평론가)
바이오그라피
에필로그 

ISBN: 
9791185518381

정가:
45,000원

*『이순종』 구입처

Artists: 
Soonjong Lee

Writer: 
Namsu Kim, Jonggil Kim, Sewon Oh

Contents:
Prologue

Works
Essay
Biography
Epilogue

 

ISBN: 
9791185518381

Price: 
45,000원

The News after the News (working title)

2015. 9월29일(목)~11월13일(일)

참여작가:
댄 퍼잡스키(Dan Perjovschi)

공개작업:
2015. 9월21일(수)~28일(수)

오프닝 일시:
2015. 9월29일(목) 오후 6시

*2015 dan perjovschi Published on Oct 12, 2015

 

작가소개:
댄 퍼잡스키(Dan Perjovschi)는 1961년 루마니아 시비우에서 출생했으며, 현재 루마니아의 부카레스크에서 살고 있다. 10세 무렵 뛰어난 재능으로 발탁되어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가로 훈련 받았으며, 게오르게 에네스쿠 예술대학(University of Art George Enescu)에서 회화를 공부했다. 1989년 루마니아 혁명으로 독재자 니콜레에 챠우체스쿠(Nicolae Ceausescu)의 죽음 이후, 댄 퍼잡스키와 그의 부인인 리아는 루마니아의 현대미술을 알리기 위해 노력해왔다. 1991년 부카레스크의 유명한 반정부 신문인 “22”에 정치적인 일러스트레이션을 기고하며 아트 디렉터로 일했다. 댄 퍼잡스키 작업은 편안하고 즐겁게 볼 수 있는 일러스트레이션, 드로잉처럼 보이지만, EU를 비롯한 유럽의 다양한 정세 및 경제적 상황들을 예리하게 포착해 낸다. 다양한 신변잡기적 이야기와 문학, 익살맞은 글귀를 덧붙인 퍼잡스키의 드로잉은 2007년 뉴욕 MoMA에서의 개인전을 비롯한 세계적인 미술관들에서 전시되어 관람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작가약력 별첨)

 

VIDEO PORTRAIT

토탈미술관과 더 스트림이 공동 기획한 동명의 전시와 연계되어 발간된 책 『비디오 포트레이트』입니다. 비디오는 사진과 마찬가지로 기록적 성격이 강한 시각매체지만, 사진과는 다르게 시간성을 띄는 매체입니다. 토탈미술관은 이러한 이러한 비디오의 매체적 특성에 주목하여 동시대를 영상매체로 담아내는 작가들과 이들의 작업을 꾸준히 조명하고 있습니다.

참여작가:
김세진, 김실비, 김아영, 김해민, 무진형제, 박병래, 안정주, 옥인콜렉티브, 이완, 장서영, 전소정, 정연두, 정은영, 조영주, 주연우, 최성록, 최윤석, 엘리 허경란

참여필자:
고윤정, 곽영빈, 기혜경, 김남시, 김상용, 김정현, 민희정, 방혜진, 신보슬, 유운성, 이수현, 이선영, 이한범, 정세라, 황정인, 홍이지, 가레스 이반스(Gareth Evans), 타카하시 미즈키(Mizuki Takahashi)

목  차:
김세진  – 「지켜보는 자의 눈」, 홍이지
김실비  – 「레디메이드 알레고리」, 이한범
김아영  – 「저지된 텍스트, 부유하는 무대, 불확정성의 구조」, 방혜진
김해민  – 「관계적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 민희정 
무진형제  – 「그림 없는 그림책: 사유를 거부하는 사유, 특수자의 폐기로 만들어진 특수자 형상」, 이수현
박병래  – 「가난한 세대의 놀이: 박병래의 영상작업에 대한 노트」, 유운성
안정주  – 「게임의 법칙 비틀기 그리고 패러다임의 전환」, 기혜경
옥인콜렉티브  – 「낮은 목소리, 예술/가의 위치 짓기를 위한 질문하기라는 작전」, 신보슬
이완  – 「산은 왜 산이고, 물은 왜 물인가?: 이완 론」, 곽영빈
장서영  – 「빛의 피부를 만지는 일」, 김정현
전소정 –  「새로운 익숙함, 낡은 낯설음: 전소정의 영상 작업」, 김남시
정연두 –  「지상의 길처럼」, 타카하시 미즈키 
정은영  – 「변신, 치명적 매혹의 무대」, 이선영
조영주  – 「결국, 결핍이 존재의 증명이다」, 정세라
주연우  – 「불타는 미디어의 연대기: 작가 주연우론」, 김상용
최성록  – 「파노라믹 패러독스」, 황정인
최윤석  – 「삶의 태도가 곧 작업: 최윤석 작가론」, 고윤정
엘리 허경란  – 「공감의 생태학에 대하여」, 가레스 이반스

ISBN:
9791185518206

정 가: 
15,000원

* 『비디오 포트레이트』 보러가기
* 『비디오 포트레이트』 구입처 

BATIK STORY 2018

프로젝트:
Batik Story Kriyan

일정:
2018년 9월 25일 ~ 10월 23일

장소:
Kriyan Barat Village, Kota Cirebon, Indonesia

기획:
신보슬(토탈미술관)

코디네이터:
이하은(토탈미술관)
마슬린다 압둘 가니(Maslinda Abdul Ghanie)
마리나 압둘 가니(Marina Abd Ghanie) (SAC3)

바틱 전문가:
스리 콜리파(Sri  Kholifah) 
페리 수겅 산토소(Ferry Sugeng Santoso)(Alam Batik)

참여작가:
노기훈, 노세환, 양수형, 박혜민, 유용선

디자이너:
손혜인

현지협력:
시나우아트(Sinau Arts Kota Cirebon)

미디에이터:
시스카(Dr. Siska)

프로그램 참가자:
밤방(Bambang Al Gibrani), 피트리(Fitri), 인다(Indah Lestari), 니아(Nia), 타티(Tati Eryanti), 누르엘리(Nur Eli), 기스카(Giska), 에니 수리야니(Eni Suryani), 울란(Wulan), 오픽(Opik), 디아(Diah Yulianti), 엘라(Ela), 티아(Tia), 에티(Eti􏘓Suhaeti),􏘓자키(Zaki), 사이풀(Achmad Saeful), 술리스티요(Sulistyo), 수사라(Susarah), 닝그럼(Mimi Ningrum), 누라시(Nurasih), 메가(Mega), 유서프(Yusuf)

주관:
토탈미술관(TMCA)

후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KACES)

치르본 Cirebon:
치르본(인도네시아어: Cirebon)은 인도네시아 자와바랏 주의 도시로, 면적은 37.54km2, 인구는 295,764명(2010년 기준)이다. 자와 섬 북해안에 위치하며􏘓자카르타에서 동쪽으로 약 297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크리얀 마을 Kriyan Village:
치르본시 내에 열악한 우범지역 중 하나로, 아동, 여성들이 각종 폭력적인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치르본시 정부에서 ‘마을 살리기 운동’ 지역 중 하나로, 경제적, 사회적 개선정책을 펴고 있다. 

*『BATIK STORY 2018』 보러가기 

BATIK STORY 2017

날짜:
2017년 10월 24일~31일

장소:
알람바틱, 인도네시아 파수루안

프로젝트 디렉터:
신보슬

바틱 전문가:
스리 콜리파(부 이파)
아낭 삼술 아리핀
페리 수겅 산토소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강지현, 이태성
마리나 압둘 가니, 마슬린다 압둘 가니

한국 참가자:
권기성, 정봉진

영상:
김형주

기자:
이미혜

아티스트:
노기훈, 최윤석

디자인:
김도현, 손혜인, 장태훈

인도네시아 참가자:
Sinta Kristya Dewi, Ricky wahyu satria,
Wuduabti, Jossie Aldi Efendi, Nur Hadi Efendi, 
Syamsuri, Merin Widianti, Wahyu Ari Sandi, 
Nurul Mufida, Trinanda Athiya fajrin, 
Yeni Susilo Wati M.Dofir Romanhoni, 
Juliya dwi safitri, Siti Julaikha, Tri Handoyo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주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아트드림캠프

운영:
토탈미술관

*『BATIK STORY 2017』 보러가기 

Date:
24 Oct(Tue) – 31 Oct (Tue), 2017

Venue:
Alam Batik, Indonesia Pasuruan

Project Director:
Nathalie Boseul SHIN

Batik Specialist:
Sri Kholifah(Bu Ifah)
Anang samsul arifin
Ferry sugeng santoso

Coordinator:
Jeehyun Kang, Taeseong Ryan Yi
Marina Abdul Ghanie, Maslinda Abdul Ghanie

Korea Participants:
Kisung Kwon, Kisung Kwon, Bongjin CHUNG

Movie director:
Hyoung Ju KIM

Journalist:
Mee Hye LEE

Artist:
Gihun NOH, Yoonsuk CHOI

Designer:
Dohyun KIM Heiin Son Tae Hoon JANG

Indonesia Participant:
Sinta Kristya Dewi, Ricky wahyu satria, 
Wuduabti, Jossie Aldi Efendi, Nur Hadi Efendi, 
Syamsuri, Merin Widianti, Wahyu Ari Sandi, 
Nurul Mufida, Trinanda Athiya fajrin, 
Yeni Susilo Wati M.Dofir Romanhoni, 
Juliya dwi safitri, Siti Julaikha, Tri Handoyo

BATIK STORY 2016

날짜: 
2016년 12월 1일(화) ~ 12월 7일(수)

장소: 
인도네시아 파수루안 알람바틱

프로젝트 디렉터:
신보슬

자문위원:
김도영

코디네이터:
김은아
마리나 압둘 가니, 마슬린다 압둘 가니 

예술가:
노기훈, 최윤석

디자이너:
손혜인, 장태훈 

영화감독: 
김형주

기자:
이미혜

패션디자이너:
마소영

바틱전문가:
부이파, 아낭 삼술 아리핀, 페리 수젱 산토소, 카스토, 프리마, 위디안토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아트드림캠프

운영:
토탈미술관, 사바 애니메이션 크리에이티브 컨텐츠 센터

* 『BATIK STORY #1』 보러가기
* 『BATIK STORY #2』 보러가기
* 『BATIK STORY #3』 보러가기

 

Date:
01 Dec (Tue) ~ 07 Dec (Wed), 2016

Venue:
Alam Batik, Indonesia Pasuruan 

Project Director:
Nathalie Boseul SHIN

Consultant:
Do Young KIM

Coordinator: 
Euna KIM (Luna)
Marina Abdul Ghanie, Maslinda Abdul Ghanie

Artist:
Gihun NOH,  Yoonsuk CHOI

Designer:
Hyein SON, Tae Hoon JANG

Movie director:
Hyoung Ju KIM

Journalist:
Mee Hye LEE

Fashion designer:
So Young MA

Batik Specialist: 
Sri Kholifah(Bu Ifah), Anang Samsul Arifin, Fery Sugeng Santoso, Kasto
Prima, Widianto

Organizer: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PyeongChang Organizing Committee for the 2018 Olympic & Paralympic Winter Games

Supervision: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rts Dream Camp

Support: 
Arts Council Korea

Manage: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abah Animation Creative Content Center

* View “BATIK STORY 2016 #1”
* View “BATIK STORY 2016 #2”
* View “BATIK STORY 201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