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Museum Night #2

2019. 08. 31(토) 3-7pm

워크숍 프로그램 3-5pm
꽃다발 만들기
 *선착순 20명 (전화예약)
여름철 한철인 꽃과 풀을 가지고 꽃다발을 만드는 워크숍 

《콘서트: 한여름 밤의 피아노》5-7pm
특별출연: 김동윤김희현김유선조소원
쟝 시벨리우스: 핀란디아’ 2대의 피아노, 4명의 연주자를 위한 편곡

김석희
박윤선
리차드 로드니 베넷: 4개의 소품 모음곡 1.슬픈 삼바 / 4.피날레

노현정
박혜린
카미유 생상스: 동물의 사육제 / 서주와 사자왕의 행진 / 암탉과 수탉 / 캥거루 / 수족관 / 숲 속의 뻐꾸기 / 피날레

최선영/
해금김현섭/piano
이진구: 능력

한성원
성경현
알렉산드르 보로딘: 폴로베츠인의 춤

김정은
배주은
카미유 생상스: 죽음의 무도 Op.40 2대의 피아노

황인교
신승희
비톨트 루토슬라프스키: 파가니니 변주곡

김원미/piccolo임호열/piano
도나토 로브렐리오: 나폴리의 메아리 Op.41 (카프리치오 Op.41)
비토리오 몬티: 차르다시 (피콜로/피아노)

임호열
왕혜인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모음곡 2Op. 17 4.타란텔라

임호열
왕혜인황인교신승희ㆍ성경현/castanets
조르주 비제맥 윌버그: 2대의 피아노, 4명의 연주자를 위한 카르멘주제에 의한 환상곡 

김순배성경현
윌리엄 볼컴: 에덴의 동산 중 2.영원한 여성(이브) / 3.(악마)의 키스

후원: 사립미술관협회

*Museum Night#2 리플렛

 

워크숍 강사: 오차원(오유미)
홍익대에서 산업디자인과 조소를 전공하고 전시 디자이너로 일한 경험을 살려 꽃과 차가 있는 공간인 ‘오차원’을 기획하고 만들었으며 그 안에서 일상 속의 작은 휴식과 기쁨을 전하고 있다. 

콘서트 출연자:
특별출연: 김동윤김희현김유선조소원
한세대학교 피아노 페다고지 대학원 재학중

김석희
독일 Heidelberg Musikhochschule fur kirchenmusik 전문연주자 과정 졸업
현 한국 피아노학회 국제교류분과 연구위원
강남대학교 콘서바토리 음악학과 겸임교수

박윤선
독일 쾰른국립음대 학사,석사 수료
이화여대 석사 졸업
가천대 출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최선영/해금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음악과 예술사 졸업, 전문사 수료
기독교대안학교 인투비전스쿨 해금 교사
기도하는해금, 해금 from.sunyoung 기획, 연주, 글

김현섭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음악작곡 예술사 졸업 및 전문사 재학
제9회 Arko 한국음악창작제 “학을 탄 선인” 음악극 “여도” 음악감독 및 작곡가
2017 한국민속촌 홍보영상 음악감독 및 작곡 및 다수 활동

노현정
맨하탄 음대 석사 및 전문연주자 과정
한세대 피아노연주학 박사
명지대, 한세대, 관동대, 강릉원주대 출강역임

박혜린
이태리 Giacomo Puccini Accademia 디플롬
한세대 피아노교수학 박사
현 대구예술대, 한세대 출강

성경현
독일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 학사,석사
데트몰트 국립음대 최고연주자 과정 졸업
국립 안동대 출강

한성원
연세대학교 학사, 인디애나 주립대 석사, 미네소타 주립대 박사
울산대 객원교수
국립 안동대, 경북예술고 출강

왕혜인
서울대학교 학사, 독일 뷔르츠부르크 음악대학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장신대, 서울예고, 예원학교 출강
소마와 음악 연구소 운영

임호열
연세대학교 학사석사졸업, 로스톡 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에피날 국제콩쿨 대상
예원,서울예고,연세대 객원교수

배주은
이화여대 음악대학 피아노과 학사 및 석사
Body Mapping Trainee과정 수료
현) 바디맵핑 강사

김정은
서울대 음악대학 기악과 졸업
Duquesne Univ. 석사졸업
현)경희대 출강

김원미 / piccolo
예원,서울예고,이화여대, 동대학원 석사
영국왕립음대 석사, 베르디 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국제신학대학원 외래교수, 세종심포니 정단원, 앙상블 ‘다오’ 맴버

신승희
계원예고, 연세대학교, 동대학원 졸업
삼익콩클, 수리콩클 입상
앙상블 ‘다오’ 맴버, 독주회 전문 반주자로 활동 중

황인교
예원학교. 서울예고.연세대학교 및 동 대학원. USC 전문 연주자과정 졸업
군산대학교 한세대학교 예술의전당 영재아카데미 출강
한세대학교 연주학박사과정 재학중

김순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미국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석사 및 박사
한민대학교 교수. USC방문교수 역임
한국 피아노 연주와 교수법 협회 대표, 한세대학교 피아노페다고지 대학원 겸임교수
한세대학교 피아노 페다고지 대학원 재학중

[D. B. A] DREAM BLOSSOM 전시

2019. 06. 19(수) – 06. 24(월)
인사아트센터 제 3 전시장

토탈미술관은 중구 장애인 복지관과 함께 Dream Blossom Academy(DBA) 프로그램을 통해서 예술을 깊이 있게 배울 기회가 적은 발달 장애인들에게 동시대 예술 작가들과 함께하는 예술교육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DBA 프로그램은 참여자의 예술 감수성과 창작 능력을 개발하여 발달 장애인이 문화 예술인으로 설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DREAM BLOSSOM>전시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참여작가: 
고상희, 김종문, 송우석, 송지수, 신현빈, 이보림, 정문성, 정민우, 정효경, 최병철, 최재훈, 홍영훈

주관 · 주최:
서울특별시중구장애인복지관

협력:
서울특별시중구청,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토탈미술관

지원:
아산사회복지재단

 


컨퍼런스:

2019. 06. 21(금) 오후3시 – 6시

발달장애인 더하기 예술  노세환(작가)
발달장애인과 지역사회의 상생 이윤정(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 부총지배인)
미술관과 장애인복지관의 콜라보 신보슬(토탈미술관 큐레이터)
발달장애인 예술로 마주보기 오정숙(DBA홍영훈 어머니), 이소연(문화예술전담)
내가 좋아하는 것 정민우, 정문성, 이보림(DBA)

오시는 길: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41-1 인사아트센터
안국역 6번 출구 도보 6분
종각역 3번 출구 도보 9분

문의:
02. 2235. 6431

*<DREAM BLOSSOM> 전시소책자

[AI 632] Closing Party

날짜: 2019. 6. 14(금)
시간: 오후 6시 – 오후 8시
장소: 토탈미술관 전시장
클로징 퍼포먼스: 오후 6시 30분
                               해미 클레멘세비츠 <해석된 탈>                                 

 <A. I. 632>가 6월 16일(일) 막을 내립니다.
전시 종료에 앞서 클로징 파티를 마련하였으니, 오셔서 다과와 담소도 즐기시고 3주간의 워크숍 결과물도 확인해보시는건 어떨까요? 클로징 퍼포먼스로 해미 클레멘세비츠(Rémi Klemensiewicz)가 <해석된 탈>을 선보입니다.  

 




<해석된 탈> 은 탈이 가지고 있는 청각적 잠재력을 목소리로 표현하고 해석하는 퍼포먼스입니다. 관객 참여로 이루어지는 이 퍼포먼스에서 참여자는 탈을 보면서 얼굴에서 어떤 소리가 나올지 상상하고, 목소리를 라이브로 녹음하고 루프를 만들게 됩니다. 작가는 이렇게 수집된 관객들의 목소리로 음악을 만듭니다. 이를 통해서 작가는 시각(탈)과 청각(목소리)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과정을 만들어 냅니다. 

[A.I.632 워크숍 #15 #20] 홍범, 드로잉오르골


날짜:

2019. 6. 8(토)

시간:
오후 3시 – 오후 5시 (2시간)

장소:
토탈미술관 전시장

참가인원:

16 명

참가비:
없음

참가자 준비물:
드로잉재료

워크숍 참가 신청   
* 참가 신청은 온라인으로만 받고 있으며, 기타 문의사항은 아래 메일 문의 바랍니다. 
   jihyun.total@gmail.com


홍범은 공간의 인식에 있어서 사람들 고유의 지식과 상상력 그리고 그들이 가지는 상이한 기억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그의 일련의 작업들은 개개인의 직관과 상상력이 만들어낸 공간의 심적 이미지를 구현하고, 그런 심적이미지가 실제공간에 투영되어,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 일종의 인식의 순환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드로잉오르골〉은 참여자가 제작한 그림을 바탕으로 오르골이라는 장치의 메카니즘을 통해 음악으로 연주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워크숍입니다. 기본적인 오르골 작동원리를 설명하고, 오르골에서 작동하는 악보를 소개합니다. 더불어 타공을 하는 방법과, 그것이 오르골에서 음을 발생 시키는 과정, 그리고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함께 제작해 작업으로 연결하게 됩니다. 

[A.I.632 #15_워크숍 현장]

[A.I.632 워크숍 #14] Andreas Schlegel, Moving Lights


날짜:

2019. 6. 1(토) – 6. 2(일)
*양일 연계워크숍입니다. 

시간:
오전 11시 – 오후5시 (5시간/오후 1시 – 오후 2시 점심시간)

장소:
토탈미술관 전시장

참가인원:
10 명

참가비:
없음

참가자 준비물:
노트북

워크숍 참가 신청
* 참가 신청은 온라인으로만 받고 있으며, 기타 문의사항은 아래 메일로 문의 바랍니다. 
    jihyun.total@gmail.com


독일 작가인 안드레아는 도시를 둘러싼 개인, 사회에 관심을 가지고 리서치를 기반으로 한 오브젝트들을 제작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의 많은 작업들은 협력에 기반한 워크숍, 퍼포먼스, 설치 등으로 이뤄집니다. 〈Moving Lights〉 에서는 LED 조명을 이용하는 작업을 소개합니다. 워크숍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컴퓨터를 사용하여 조명을 연결하고 움직이는 방법을 배웁니다. 이러한 과정은 오픈소스에 기반한 프로그래밍 작업, 그리고 관객과의 인터랙션, 네트워크 프로세스를 통해 완성되어집니다. 워크숍이 끝나면 참가자 그룹들은 코드, 빛 그리고, 나무구조로 만들어진 장소특정적인 작품을 완성하게 됩니다.

[A.I.632 #14_워크숍 현장]

[A.I.632 워크숍 #12] Rémi Klemensiewicz, Auditory Recognition


날짜:

2019. 6. 1(토)

시간:
오전 2시 – 오후4시 (2시간)

장소:
토탈미술관 전시장

참가인원:
10 명

참가비:
없음

워크숍 참가 신청
* 참가 신청은 온라인으로만 받고 있으며, 기타 문의사항은 아래 메일로 문의 바랍니다. 
    jihyun.total@gmail.com


프랑스 작가인 Rémi Klemensiewicz 는 소리에 초점을 두고 이를 주된 재료로 사용하며, 전시에서부터 라이브 퍼포먼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는 작업들을 통해 여러 요소들과 표현 방식들의 결합을 중심으로 연구와 실험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Auditory Réecognition〉는 간단하지만 다른 관여도의 레벌을 가진 각기 다른 타입의 유형의 물건들을 사용하여 사운드(소리)와 시각적인 신호의 일치에 관한 아이디어와 개념을 자극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통적인 한국의 탈을 이용한 ‘목소리’라는 청각적 신호와 그것을 해석하는 다양한 견해들, 혹은 일상의 물건들을 가지고 소리를 수집, 보는 대상과 말하는 대상, 그리고 해석의 다양함들을 토론하게 됩니다.

[A.I.632 #12_워크숍 현장]

[A.I.632 워크숍 #11, #16] midiDICE, 주사위로 음악만들기


날짜:

2019. 5. 31(금) / 2019. 6. 04(화)

시간:
오후 4시 – 오후 5시 30분 (1시간 30분)

장소:
토탈미술관 전시장

참가인원:
8 명

참가비:
재료비 5,000원

참가자 준비물:
스마트폰

워크숍 참가 신청   
* 참가 신청은 온라인으로만 받고 있으며, 기타 문의사항은 아래 메일 문의 바랍니다. 
   jihyun.total@gmail.com


midiDICE(미디다이스)는 ‘뭐라도 재미있는 것을 만들어 보자’라는 모토 아래 결성된 IT 베이스의 미디어 프로젝트 팀입니다. 주로 게임, 인공지능, 웹 등의 매체에서 생성음악과 비주얼을 통해 창작자-감상자 간의 벽을 허무는 작업을 진행해 왔습니다. 주사위로 음악만들기〉 에서는 주사위를 굴려 나만의 작은 음악 조각을 만들고, 이를 작은 패턴 그림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내가 만든 음악 조각은 집에 가져갈 수도 있고, 다른 사람들의 음악 조각과 이어붙여 하나의 곡을 만들어볼 수도 있습니다. 여러 사람들이 함께 음악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덧붙여나가 전시가 끝날 때엔 하나로 조합된 곡과 이미지가 만들어집니다. 이를 통해 놀이와 집단 상호작용의 과정이 창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A.I.632 #11_워크숍 현장]

[A.I.632 워크숍 #10] 이재욱, HIKING TEST


날짜:

2019. 5. 31(금)

시간:
오후 3시 – 오후 5시 (2시간)

장소:
토탈미술관 전시장
*토탈미술관 전시장에서 모여 작가님과 함께 형제봉 등산로로 이동합니다.

참가인원:
6-8 명

참가비:
없음

참가자 준비물:
없음

워크숍 참가 신청   
* 참가 신청은 온라인으로만 받고 있으며, 기타 문의사항은 아래 메일 문의 바랍니다. 
   jihyun.total@gmail.com


이재욱 작가의 〈Road Test, Hiking Test〉는 두가지 주어진 상황에서 무용수의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펴보는 워크숍입니다. 첫번째 상황인 가 도로였다면, 두번째 상황인 〈Hiking Test〉는 평창동 소재의 형제봉 등산로입니다. 등산로에서 특별한 규율없이 등산로를 따라가게 됩니다. 등산 길 중간 나무, 꽃, 풀의 향을 맡으며, 무용수는 자연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몸으로 표현하며 목적지로 향하게 됩니다. 무용수가 움직임과 함께 향을 맡는 동안 그들의 뇌파가 기록됩니다. 모든 과정은 영상으로 기록 및 편집됩니다.

[A.I.632 #01, #10_워크숍 현장]

[A.I.632 워크숍 #09, #17] 김동현, 식물 신디사이저


날짜:
2019. 5. 29(수) / 2019. 6. 05(수) 
*동일한 워크숍으로 양일 가운데 하루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시간:
오후 3시 – 오후 6시 (3시간)

장소:
토탈미술관 전시장

참가인원:

2인 1조 총 4팀 

참가비:
없음

참가자 준비물:
노트북

워크숍 참가 신청
* 참가 신청은 온라인으로만 받고 있으며, 기타 문의사항은 아래 메일로 문의 바랍니다. 
    jihyun.total@gmail.com


김동현은 인간의 의식과 행동이 자연과 사회 전체 시스템과 공생하는 현상을 움직이는 설치 작품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식물신디사이저+LED연주〉는 작가가 설계한 수경재배 화분에 자신의 식물을 심어볼 수 있습니다. 이 식물은 손의 터치와 물의 전극을 이용하여 음악을 연주할 수 있습니다. 워크숍에서는 식물을 위한 연주기기를 기판을 조립, 코딩을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제작해볼 수 있습니다. 각자의 코딩을 통해 명령어들을 전달하여서 식물 신디사이즈를 만들고, 연주하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음악이 연주될 때마다 LED조명이 함께 움직이며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듯이 켜지게 됩니다.

[A.I.632 #09_워크숍 현장]

[A.I.632 워크숍 #08, #19] 김해인, 표정안무장치 만들기


날짜:

2019. 5. 28(화) / 2019. 6. 07(금) 
*동일한 워크숍으로 양일 가운데 하루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시간:
오후 3시 – 오후 6시 (3시간)

장소:
토탈미술관 전시장

참가인원:
4 명

참가비:
없음

참가자 준비물:
없음

워크숍 참가 신청
* 참가 신청은 온라인으로만 받고 있으며, 기타 문의사항은 아래 메일로 문의 바랍니다. 
    jihyun.total@gmail.com


인터렉티브 영상 설치 작업을 기반으로 하는 미디어 작가 김해인은 디지털 미디어를 비롯,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시각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표정안무장치 만들기〉는 작품 ‘표정리모콘’과 연계된 워크샵으로, 작품에서 파생된 ‘표정리모콘’ 키트를 활용하여, 작품에 등장하는 얼굴 안무 장치를 만듭니다. 워크샵에서 관객은 먼저 무표정인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고, 프린트하게 됩니다. 재조합하는 과정에서 관객은 왜곡되고, 과장된 자신의 얼굴 표정을 통해, 익숙했던 스스로가 낯설어지는 과정을 경험하게되고, 기계 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통제되는 듯한 스스로의 모습을 타자화 된 시선으로 바라보게 됩니다. 이 워크숍을 통해 통해 권력의 통제에 의해 타자화 되는 타인들의 모습을 담고 있는 작품의 메시지를 함께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AI632 #19_워크숍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