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 form: Broken Twill》

《유니 폼: 브로큰 트윌》은 패션 디자이너이자 현대미술 작가로 활동하는 최철용의 전시로, 유니폼이라는 제도적 형식을 해체하고 새로운 의미로 재구성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개인 작업을 보여주는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구성된 ‘코어그룹형 기획 전시’라는 점에서 기존 전시와는 차별화된다.

전시 제목 ‘유니 폼(uni form)’은 하나(uni)와 형식(form) 사이의 간극을 드러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띄어 썼다. 이 틈은 동일성과 규율을 상징하는 유니폼의 고정된 이미지를 흔드는 동시에, 새로운 주체와 전시 형식이 탄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상징한다. 이것을 조형적으로 구현하는 핵심 개념인 ‘브로큰 트윌(Broken Twill)’은 원래 직조 기법에서 비롯된 용어로 반복적인 패턴을 일부러 끊거나 비트는 방식을 뜻한다. 최철용은 이를 통해 유니폼의 매끈한 표면 아래 잠재한 파열과 저항의 리듬을 시각화한다.

이번 전시는 다양한 연작을 소개한다. 대표적인 시리즈 중 하나인 〈질서의 농도〉는 무채색의 군중 이미지를 통해 집단 속에서 개인이 어떻게 익명화되고, 규율, 존재의 경계가 반복과 배열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탐구한다. 〈분절된 시선의 떨림: 굴절된 능직의 시학〉에서는 ‘브로큰 트윌’이라는 직조 패턴을 통해 유니폼의 역사적·물질적·상징적 구조를 해체하고, 〈심연을 향한 은밀한 항해: 12개의 이야기〉는 일상의 사물과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무의식과 사회 구조 속에서 형성되는 긴장과 감정을 드러내면서, 유니폼을 ‘사회적 몸’의 상징으로 확장시킨다. 특히 지하 전시장 전체를 압도하는 10미터가 넘는 대형 회화 작품인 〈기억의 파편이 새기는 푸른 상흔〉은 유니콘, 권총, 군복, 우유, 알마 브라운 색상 등 상징적 이미지들이 충돌하며, 개인의 기억과 집단적 경험 속에 남은 ‘상흔’을 드러낸다. 최철용은 이처럼 다양한 관점과 기법적 실험을 기반으로 한 작품을 통해서 각각 서로 다른 감각의 진동과 해석의 틈을 드러내고, 유니폼의 표면 너머, 그 안에 켜켜이 쌓인 질서와 파열, 그리고 존재의 흔적들을 탐색한다.

아울러 전시는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을 초대하여 유니폼의 의미를 확장한다. 히토 슈타이얼은 미술관이라는 제도 자체를 ‘전장’으로 바라보며, 형식과 시선, 권력의 작동 방식을 질문한다. 안톤 셰벳코는 우크라이나의 LGBTQ+ 군인들을 기록한 사진 작업으로, 군복이라는 유니폼이 감추는 존재의 긴장을 드러낸다. 에밀리 브루 & 막심 마리옹은 상업적 영상 언어를 차용해 사랑·노동·데이터·정체성이 얽힌 관계망을 탐구하고, 문형민은 교과서 속 인물을 조각으로 재현해 사회적 역할이 개인성을 지우는 과정을 보여준다. 손구용은 반복과 리듬으로 구성된 흑백 영상 속에서 형식화되지 않은 존재의 유동성과 생기를 담담하게 포착한다.

《유니 폼: 브로큰 트윌》은 유니폼을 출발점으로 패션, 예술, 제도, 사회 구조, 정체성의 문제를 교차적으로 사유하게 한다. 동시에 ‘개인전’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작품이 함께 얽히는 플랫폼으로 기능하며, 향후 베를린의 P61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통일의 상징으로 여겨져 온 유니폼을 균열의 출발점으로 삼아, 우리가 입고 살아가는 세계의 무늬를 다시 한 번 성찰하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 작가 인터뷰
▶ 보도자료
▶ 전시 사용 설명서 및 핸드아웃
▶ 전시글(국문/영문)

일시 | 2025.08.28 (목) – 09.28 (일)

장소 | 토탈미술관 전관

초청일 | 2025.08.28 (목) 15:00

작가 | 최철용

초청작품 | 총 5점/시리즈
〈미술관은 전장이 될 수 있는가?〉, 히토 슈타이얼 , 2013
〈우리는 여기 있었다〉, 안톤 셰벳코, 2018~2020
〈진정으로 함께 한 사랑〉, 에밀리 브루 & 막심 마리옹, 2018
〈교과서 프로젝트〉, 문형민, 연도미상
〈공원에서〉, 손구용, 2024

코어그룹 | 최철용 (패션, 현대미술, 기획), 하선규 (미학이론), 안마노 (시각디자인,출판), 류도연 (서브컬처, 미디어플랫폼), 고훈철 (사진), 신보슬 (총괄기획), 윤현민 (기획), 이윤경(패션, 리서치)

영상 푸티지 구성 | 정지원

어시스턴트 | 김혜상, 이동현

전시 코디네이터 | 김민선, 김반석, 김서연, 이채령

디자인 | 안그라픽스

공간 디자인 | 꽃술 이미혜, 석운동 김지원

사진 | STUDIO WIMIRY

홍보 마케팅 | VOKE

모델링·목업 | 이은영

번역감수 | 슈프림트랜스 김태덕

아트핸들러 | 에스아트 정동춘

전시 테크니션 | 강석호

미디어 설치 | 미지아트 박근수, 박상훈, 박상록

판넬 제작 | 영신목공소

작가 지원 | 하일리 그레넷


토탈미술관
관장 | 노준의
책임큐레이터 | 신보슬
행정실장 | 원윤희
큐레이터, 에듀케이터 | 윤현민
큐레이터 | 김민선
코디네이터 | 김서연 이채령

주최·주관 | 토탈미술관

협력 |
P61
켈터본 컬렉션Kelterborn Collection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5 코리아라운드 컬처

《uni form: Broken Twill》 is an exhibition by fashion designer and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yong, which dismantles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uniform and reconstitutes it with new meaning. Unlike conventional exhibitions, this project is conceived not only as a presentation of the artist’s individual works but also as a “core-group curatorial exhibition” organized in collaboration with experts across diverse fields.

The title “uni form” is intentionally divided into two words to highlight the tension between “uni” (one) and “form.” This gap destabilizes the fixed image of the uniform as a symbol of conformity and discipline, while at the same time opening up the possibility for new subjects and exhibition formats to emerge. The key concept underpinning this is “Broken Twill,” a term originally derived from weaving techniques that involve deliberately interrupting or twisting repetitive patterns. Choi employs this structure to visualize the ruptures and resistant rhythms latent beneath the polished surface of the uniform.

The exhibition presents a wide range of Choi’s series. Among them, Density of Order examines how individuals are anonymized within crowds through monochromatic images, exploring the ways repetition and arrangement construct discipline and the boundaries of existence. Tremor of a Gaze : Poetics of the Broken Twill deconstructs the historical, material, and symbolic structures of the uniform through the weaving pattern of broken twill. Secret Voyage into Abyss: 12 Stories reflects on unconscious tensions and emotions produced through everyday objects and bodily gestures, extending the uniform as a metaphor for the “social body.” The exhibition’s centerpiece, Blue Scars in Memory—a monumental painting over ten meters in scale that dominates the subterranean gallery—collides symbolic images such as unicorns, pistols, military uniforms, milk, and the color “Alma Brown” to reveal the scars left by both personal memory and collective experience. Through these varied perspectives and experimental techniques, Choi makes visible the vibrations of different sensory registers and interpretive gaps, probing the layered orders, ruptures, and traces of existence embedded within and beyond the uniform.

The exhibition further expands the notion of the uniform by inviting works by international and Korean artists. Hito Steyerl interrogates the museum institution itself as a “battlefield,” questioning structures of form, gaze, and power. Anton Shebetko documents LGBTQ+ soldiers in Ukraine, revealing the tensions concealed by military uniforms. Emilie Brout & Maxime Marion appropriate the language of commercial media to examine entanglements of love, labor, data, and identity. Moon Hyungmin reimagines figures from school textbooks as sculptures, showing how social roles erase individuality. Son Guyong captures the fluidity and vitality of unfixed existence through black-and-white video works structured by repetition and rhythm.

《uni form: Broken Twill》 situates the uniform as a departure point for cross-disciplinary reflection on fashion, art, institutions, social structures, and identity. Functioning beyond the conventional boundaries of a “solo exhibition,” it serves as a platform where diverse works interweave, and will extend to P61 in Berlin in the future. By treating the uniform—long regarded as a symbol of unity—as a site of fissure, the exhibition invites us to reconsider the patterns of the world we inhabit and wear.

 

Date | August 28 (Thu) – September 28 (Sun), 2025

Venue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entire venue)

Opening Reception | August 28 (Thu), 2025, 3:00 PM

Artist | Chul Yong CHOI

Invited Works | 5 works/series
Is the Museum a Battlefield?, Hito STEYERL, 2013
We Were Here, Anton SHEBETKO, 2018–2020
A Truly Shared Love, Émilie BROUT & Maxime MARION, 2018
Textbook Project, Hyung Min MOON, year unknown
At the Park, Koo Yong SOHN, 2024

Core Group | Chul Yong CHOI (Fashion, Contemporary Art, Curation), Sun Kyu HA(Aesthetics, Theory, Critical Writing), Ma No AN (Graphic Design, Publishing), Do Yeon RYU (Subculture, Media Platform), Hoon Cheol KO (Photography), Nathalie Bo Seul SHIN (Artistic Direction, Curation), Hyun Min YUN (Curation), Yun Kyung LEE (Research)

Video Footage | Ji Won JUNG

Assistant | Hye Sang KIM Dong Hyun LEE

Coordinator | Min Seon KIM Seo Yeon KIM Chae Ryung LEE

Space Design | Kkotssul(Mee Hye LEE) Seokundong(Ji Won KIM)

Graphic Design | Ahn Graphics

Photograph | Studio Wimiry

PR and Marketing | VOKE

Modeling and Mockup | Eun Young LEE

Translation | Supremetrans Tae Deog GHIM

Art Handler | S-ART(Dong Chun JUNG)

Exhibition Technician | Suck Ho KANG

Media installation | Miji Art(Keun Su PARK, Sang Hun PARK, Sang Rock PARK)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MCA)
Director | Jun Eui NOH
Chief Curator | Nathalie Bo Seul SHIN
Museum Administrator | Yoon Hee WEON
Curator, Educator | Hyun Min YUN
Curator | Min Seon KIM
Coordinator | Seo Yeon KIM Chae Ryung LEE


Host/Organizer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MCA)

Co-organizer |
P61 
Kelterborn Collection

Sponsorship |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2025 Kore·A·Round Culture

픽셀 김 개인전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

토탈미술관은 예술을 매개로 지역의 예술 커뮤니티를 개발하고 문화예술 플랫폼을 구축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거제의 아그네스 파크와 협업하여 개최한 연례전시는 지역의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동시대 예술가의 지역 기반 활동을 활성화하고자 기획되었다. 토탈미술관은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으로 주목받는 신진 작가부터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국제적인 작가까지 아우르며 동시대 한국미술의 동향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전시에서 소개하는 픽셀 김은 일상의 경험과 사회적 사건을 자신만의 조형 언어인 ‘픽셀’로 조각내어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선율이 느껴지는 드로잉과 과감한 색채의 변주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순수한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해왔다.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은 2015년 작가의 첫 개인전 이후 10년이 흐른 시점에서, 작가와 작품에 대한 비평적 해석을 잠시 유보한 채 그의 예술 세계가 어떻게 성장하고 확장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전시는 예술가가 구축한 세계와 그 안의 감각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며, 작가의 가장 내밀한 장소이자 작품과 일상이 맞닿아 있는 작업실과 긴밀한 연결을 맺는다.

픽셀 김이 작업실을 떠올리며 직접 지은 전시 제목,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은 수많은 꿈과 기억을 기록하며, 자신만의 규칙과 리듬을 따라 살아가는 삶과 작업 방식을 반영한다. 또한 그의 작업실이 지닌 시공간적 특성은 전시 구조의 토대를 이루며, 작가가 세상을 감각하는 층위를 다층적으로 시각화한다.

일시: 2025년 6월 3일(화) ~ 12월 28일(일) 매주 월요일 휴관
장소: 아그네스 파크 아트 스페이스
기획: 토탈미술관
큐레이터: 김민선
코디네이터: 김서연
주최: 아그네스 파크 
사운드 디자인: 장혜민
도움: 김성원

 

*아래 내용을 클릭하시면 링크로 연결됩니다.

 

아그네스 파크 홈페이지
작가의 작업실 방문하기(영상)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has been working on various projects to develop local art communities and build cultural platforms through art. The annual exhibition, organized in collaboration with Agnes Park in Geoje, aims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local culture and art and to revitalize the community-based activities of contemporary artists. From emerging artists whose experimental and challenging works have garnered attention to international artists representing Korean art,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provides an opportunity to see the trends in contemporary Korean art. 

Pixel Kim, who is featured in this exhibition, has established a unique body of work by fragmenting and reconstructing everyday experiences and social events into his own sculptural language of ‘pixels’. Through his melodious drawings and bold color variations, Kim’s work has provided many people with pure visual pleasure. 

Ten years after the artist’s first solo exhibition in 2015, 
Dream Space and the Temporal Space of Alarms examines how his artistic world has grown and expanded, putting critical interpretations of the artist and his work on hold. To this end, the exhibition creates a space to share the world the artist has constructed and the sense of being in it, and establishe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artist’s most intimate place, his studio, where his work and daily life intersect.

The exhibition’s title, “The Dream Space and the Time Space of the Alarm,” which Pixel Kim chose himself while recalling his studio, reflects the way he lives and works, recording countless dreams and memories, and following his own rules and rhythm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his studio also form the basis of the exhibition’s structure, visualizing the layers through which the artist perceives the world.

 

Dates: June 3 (Tue) – December 28 (Sun), 2025 (closed every Monday)
Venue: Agnes Park Art Space
Organized by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Curator: Minseon Kim
Coordinator: Seoyeon Kim
Host: Agnes Park 
Sound Design: Hye Min Chang
Thanks to Sungwon Kim

 

 

2023 토탈미술관 소장품전 “안녕하세요, 노준의입니다”

전시명 :

2023 토탈미술관 소장품전 “안녕하세요, 노준의입니다”

참여작가 : 

고영훈, 김구림, 김근중, 김동영, 김용철, 김종학, 김차섭, 김춘수, 김태화, 김형대, 문 범, 박승규, 백 진, 신성희, 엄정순, 유연희, 윤동천, 이강희, 이경성, 이기봉, 이병용, 이승조, 이정지, 이태현, 정영렬, 제여란, 조덕현, 최명영, 한만영, 한 묵

일 시 : 2023년 3월3일-4월 9일

관람시간 : 12시~18시 입장마감 17:30 / 매주 월요일 휴관

관람요금 : 무료

주최 : 토탈미술관

주관 : 토탈미술관

토탈미술상을 비롯하여 소장품을 중심으로 구성된 전시로 토탈미술관은 설립 이래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을 소장하고 전시해왔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소장품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보입니다.

존경하는 관객 여러분,
한국 최초의 사립 현대미술관인 토탈미술관에서 여러분을 맞이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토탈미술관은 설립 이래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을 소장하고 전시해왔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토탈미술관의 소장품 중에서도 90년대 토탈미술상 수상작을 비롯한 가장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보입니다.
전시중인 작품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이야기와 그들이 소통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소장품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소장품으로 선정되었는지외에 작품에 대한 분석과 해설도 함께 제공하여, 관객 여러분들이 미술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미술관 방문의 즐거움을 더욱 풍부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는 우리나라 미술계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를 바라볼 수 있는 기회로 다양한 작품들과 함께 여러분들의 눈과 마음을 즐겁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2023 토탈미술관 소장품전>을 통해 새로운 시각과 감성을 경험하고, 미술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Chat GPT by 토탈미술관학예팀: pm 1:05 20.Feb.

Between Particles and Waves 2

Between Particles and Waves 2_BPAW2

메타버스 전시 기간: 22. 10. 10 – 23. 10. 10

오프닝: 22. 11. 11 pm 11:11 

참여작가: 김시훈, 여상희, IVAAIU CITY, 양자주, Add fuel,  Vhils,  John Fekner, Jann Vormann,  Brad Downey, Michael Johansson,  Octavi Serra, Esther Stocker

 기획총괄 : 토탈미술관 (신보슬 책임큐레이터)

Production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Project Director: Nathalie  Boseul Shin)

공동기획 : Brad Downey, Jan Vormann, 양자주(양경민)

Co-planners: Brad Downey, Jan Vormann, Jazoo Yang (Yang Gyeong-min)

게스트 큐레이터 : 조앤킴(김주원)

Guest Curator: Joanne Kim (Kim Joo-won)

코디네이터 : 구예담 , 윤현민

Coordinators: Koo Ye-dam, Yun Hyunmin

Website(클릭)

Instagram(클릭)

작년에 진행된 <Between Particles and Waves 1>은 전 세계 도시의 공공장소에서 국제 예술가 그룹을 재결합하는 최초의 전시회를 열었다. 2,800만X2,800 만X256 블록의 가상 공간에 제작된 작품은 유명 유튜버 ‘SURRY’가 건설하는 과정을 전시했다.

토탈미술관은 2022년도에 공공미술 한국 작가 작품을 추가하여 <Between Particles and Waves시즌 2를 맞이한다. 마인크래프트 세계 안에서는 학교, 전시장, 회사를 만들고 타인과 교류하며, 그 안에서 ‘나’의 정체성을 투영한 아바타와 상호작용한다. 가상공간에서 일상생활이 가능함에 따라 사적 공간보다 공공 공간에 더 가까워지고 공공 공간으로서 메타버스에 대한 다양한 실험활동을 시도한다. 또한 메타버스 속에서 게임을 액세스하는 모든 사람이 환경에 몰입하고 현장에서 작품을 경험할 수 있도록 실현한다.

                                                                              Minecraft Server: BPAW2.Apexmc.co

<비커밍의 기술>

일 시 : 2022년 11월 1일(화) ~ 11월 30일(수)
관람시간 : 11시~18시 (입장마감 17시 30분) / 매주 월요일 휴관
관람예매: 네이버 예약 (현장에서 네이버 예약 가능)
관람요금 : 무료 

참여작가 : 노순택, 안정윤, 이동근, 이은희, 방정아, 차혜림, 흑표범, 니클라스 골드바흐, 다니엘 G. 안두하르, 로버트 가브리스, 쉬 쩌위, 아사 손야스도터, 이네스 도우약 & 존 바커, 에바 에거만, TJ 컷핸드, P. 스태프

지난해 토탈미술관에서 이뤄진 《사실, 망자는 죽지 않았다》는 한스 D. 크리스트와 이리스 드레슬러가 총괄기획한 제3회 베르겐 어셈블리의 주제로, 삶과 죽음, 인간과 비인간, 주체와 객체, 비장애와 장애, 과거와 미래라는 이분법을 뛰어넘는 삶에 대한 고찰을 다루었다.
2022년에는  《사실, 망자는 죽지 않았다》 전시에 이어서 《비커밍의 기술》을 기획하였으며, 신자유주의와 신식민주의의 지배적인 권력 구조와 관계를 조명하고, (비)물질적 자연에 속한 여러 가지 종류의 기관, 제도, 네트워크, 건축, 유통망 등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어서 국제 사회와 경제를 지탱하고 관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인프라(소셜 미디어, 스마트 기술, 기계 시스템 등)에 초점을 맞추고, 기관과 제도가 어떤 방식으로 사회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상황을 다룬다. 또한 이번 전시에서는 성차별주의, 인종차별주의, 비규범적인 신체나 인간 이상의 신체를 향한 병리적 차별 및 폭력과 복잡하게 얽힌 것을 예술로서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주최, 주관 : 토탈미술관

큐레이터: 신보슬

협력큐레이터 : 임수영

코디네이터: 이민지, 윤현민, 정보영, 최다혜

에듀케이터: 최주현

※ 본 사진은 (사)서울특별시미술관협의회에서 서울시 보조금을 지원받아 제작하였습니다.

 <Techniques of Becoming>

Period: 2022. 11. 1 ~ 2022.11.30
Time: 11 am –  6 pm (entry by 17:30)
Venue: Total Museum 1-B1
Admission: free


Artist: Suntag Noh, JeongYoon Ahn, DongKeun Lee, Eunhee Lee, Jeonga Bang, Hyelim Cha, Black Jaguar, Niklas Goldbach, Daniel G. Andújar, Robert Gabris, Che-Yu Hsu, Åsa Sonjasdotter, Ines Doujak&John Barker, Eva Egermann, TJ Cuthand, P. Staff


The Korean iteration of Actually, The Dead Are Not Dead, originally curated by Hans D. Christ and Iris Dressler for the third edition of Bergen Assembly, was held at Total Museum of Art in 2021. Bringing together works of over 40 artists and collectives, the exhibition sought to explore ways to challenge and question existing binaries of life and death, human and non-human, subject and object, abled and disabled bodies, past and future.

 

메타버스 프로젝트: Yellow Island, Beyond View (online only)

*이 전시는 온라인에서만 진행됩니다*

[ Yellow lsland ]

Yellow lsland는 4.16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간입니다. 누구나 Yellow lsland에 방문하여 그들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Exhibition: 21.07.08 – 22. 04. 30
노순택 <누구나 그런 배에 탈 수 있었습니다>
서영석 <노란우산 프로젝트>

* 제페토 Yellow lsland 링크 (클릭)
* 제페토 Yellow lsland 코드: 2A4NC2

참여작가: 
노순택, 서영석

총괄기획: 
신보슬

큐레이팅:
김해나, 부재헌, 김은주, 리춘란

[ Beyond View ]

현실과 가상을 잇는 ‘Beyond view’는 사진 작품의 감상부터 그 이후의 과정을들 새로운 방식으로 경험하게 합니다.
작품을 매개로 전문가와 비전문가가 앞으로 변모하는 사진 매체를 함께 경험하며 다양한 주제로 소통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던 기존의 사진, 가지고 있는 시야를 넘어서 새로운 사진의 의미를 찾고 더 넓을 시야를 가져보게 합니다.

Exhibition: 
윤정미 < The pink & blue project >

* 제페토 Beyond View 링크 (클릭)
* 제페토 Beyond View 코드: 3638E45 

참여작가: 
윤정미

총괄기획: 
신보슬

큐레이팅:
나채원, 박선영, 여시영, 후운 (Me and Myverse)
TEAM Myverse X MAHO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