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 form: Broken Twill》

《유니 폼: 브로큰 트윌》은 패션 디자이너이자 현대미술 작가로 활동하는 최철용의 전시로, 유니폼이라는 제도적 형식을 해체하고 새로운 의미로 재구성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개인 작업을 보여주는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구성된 ‘코어그룹형 기획 전시’라는 점에서 기존 전시와는 차별화된다.

전시 제목 ‘유니 폼(uni form)’은 하나(uni)와 형식(form) 사이의 간극을 드러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띄어 썼다. 이 틈은 동일성과 규율을 상징하는 유니폼의 고정된 이미지를 흔드는 동시에, 새로운 주체와 전시 형식이 탄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상징한다. 이것을 조형적으로 구현하는 핵심 개념인 ‘브로큰 트윌(Broken Twill)’은 원래 직조 기법에서 비롯된 용어로 반복적인 패턴을 일부러 끊거나 비트는 방식을 뜻한다. 최철용은 이를 통해 유니폼의 매끈한 표면 아래 잠재한 파열과 저항의 리듬을 시각화한다.

이번 전시는 다양한 연작을 소개한다. 대표적인 시리즈 중 하나인 〈질서의 농도〉는 무채색의 군중 이미지를 통해 집단 속에서 개인이 어떻게 익명화되고, 규율, 존재의 경계가 반복과 배열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탐구한다. 〈분절된 시선의 떨림: 굴절된 능직의 시학〉에서는 ‘브로큰 트윌’이라는 직조 패턴을 통해 유니폼의 역사적·물질적·상징적 구조를 해체하고, 〈심연을 향한 은밀한 항해: 12개의 이야기〉는 일상의 사물과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무의식과 사회 구조 속에서 형성되는 긴장과 감정을 드러내면서, 유니폼을 ‘사회적 몸’의 상징으로 확장시킨다. 특히 지하 전시장 전체를 압도하는 10미터가 넘는 대형 회화 작품인 〈기억의 파편이 새기는 푸른 상흔〉은 유니콘, 권총, 군복, 우유, 알마 브라운 색상 등 상징적 이미지들이 충돌하며, 개인의 기억과 집단적 경험 속에 남은 ‘상흔’을 드러낸다. 최철용은 이처럼 다양한 관점과 기법적 실험을 기반으로 한 작품을 통해서 각각 서로 다른 감각의 진동과 해석의 틈을 드러내고, 유니폼의 표면 너머, 그 안에 켜켜이 쌓인 질서와 파열, 그리고 존재의 흔적들을 탐색한다.

아울러 전시는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을 초대하여 유니폼의 의미를 확장한다. 히토 슈타이얼은 미술관이라는 제도 자체를 ‘전장’으로 바라보며, 형식과 시선, 권력의 작동 방식을 질문한다. 안톤 셰벳코는 우크라이나의 LGBTQ+ 군인들을 기록한 사진 작업으로, 군복이라는 유니폼이 감추는 존재의 긴장을 드러낸다. 에밀리 브루 & 막심 마리옹은 상업적 영상 언어를 차용해 사랑·노동·데이터·정체성이 얽힌 관계망을 탐구하고, 문형민은 교과서 속 인물을 조각으로 재현해 사회적 역할이 개인성을 지우는 과정을 보여준다. 손구용은 반복과 리듬으로 구성된 흑백 영상 속에서 형식화되지 않은 존재의 유동성과 생기를 담담하게 포착한다.

《유니 폼: 브로큰 트윌》은 유니폼을 출발점으로 패션, 예술, 제도, 사회 구조, 정체성의 문제를 교차적으로 사유하게 한다. 동시에 ‘개인전’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작품이 함께 얽히는 플랫폼으로 기능하며, 향후 베를린의 P61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통일의 상징으로 여겨져 온 유니폼을 균열의 출발점으로 삼아, 우리가 입고 살아가는 세계의 무늬를 다시 한 번 성찰하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일시 | 2025.08.28 (목) – 09.28 (일)

장소 | 토탈미술관 전관

초청일 | 2025.08.28 (목) 15:00

작가 | 최철용

초청작품 | 총 5점/시리즈
 〈미술관은 전장이 될 수 있는가?〉, 히토 슈타이얼 , 2013
〈우리는 여기 있었다〉, 안톤 셰벳코, 2018~2020
〈진정으로 함께 한 사랑〉, 에밀리 브루 & 막심 마리옹, 2018
〈교과서 프로젝트〉, 문형민, 연도미상
〈공원에서〉, 손구용, 2024

코어그룹 | 최철용 (패션, 현대미술, 기획), 하선규 (미학이론), 안마노 (시각디자인,출판), 류도연 (서브컬처, 미디어플랫폼), 고훈철 (사진), 신보슬 (총괄기획), 윤현민 (기획), 이윤경(패션, 리서치)

영상 푸티지 구성 | 정지원

어시스턴트 | 김혜상, 이동현

전시 코디네이터 | 김민선, 김반석, 김서연, 이채령

디자인 | 안그라픽스

공간 디자인 | 꽃술 이미혜, 석운동 김지원

사진 | STUDIO WIMIRY

홍보 마케팅 | VOKE

모델링·목업 | 이은영

번역감수 | 슈프림트랜스 김태덕

아트핸들러 | 에스아트 정동춘

전시 테크니션 | 강석호

미디어 설치 | 미지아트 박근수, 박상훈, 박상록

판넬 제작 | 영신목공소

작가 지원 | 하일리 그레넷

토탈미술관

관장 | 노준의

책임큐레이터 | 신보슬

행정실장 | 원윤희

큐레이터, 에듀케이터 | 윤현민

큐레이터 | 김민선

코디네이터 | 김서연 이채령

주최·주관 | 토탈미술관

협력 | P61, 켈터본 컬렉션Kelterborn Collection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5 코리아라운드 컬처

《uni form: Broken Twill》 is an exhibition by fashion designer and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yong, which dismantles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uniform and reconstitutes it with new meaning. Unlike conventional exhibitions, this project is conceived not only as a presentation of the artist’s individual works but also as a “core-group curatorial exhibition” organized in collaboration with experts across diverse fields.

The title “uni form” is intentionally divided into two words to highlight the tension between “uni” (one) and “form.” This gap destabilizes the fixed image of the uniform as a symbol of conformity and discipline, while at the same time opening up the possibility for new subjects and exhibition formats to emerge. The key concept underpinning this is “Broken Twill,” a term originally derived from weaving techniques that involve deliberately interrupting or twisting repetitive patterns. Choi employs this structure to visualize the ruptures and resistant rhythms latent beneath the polished surface of the uniform.

The exhibition presents a wide range of Choi’s series. Among them, Density of Order examines how individuals are anonymized within crowds through monochromatic images, exploring the ways repetition and arrangement construct discipline and the boundaries of existence. Tremor of a Gaze : Poetics of the Broken Twill deconstructs the historical, material, and symbolic structures of the uniform through the weaving pattern of broken twill. Secret Voyage into Abyss: 12 Stories reflects on unconscious tensions and emotions produced through everyday objects and bodily gestures, extending the uniform as a metaphor for the “social body.” The exhibition’s centerpiece, Blue Scars in Memory—a monumental painting over ten meters in scale that dominates the subterranean gallery—collides symbolic images such as unicorns, pistols, military uniforms, milk, and the color “Alma Brown” to reveal the scars left by both personal memory and collective experience. Through these varied perspectives and experimental techniques, Choi makes visible the vibrations of different sensory registers and interpretive gaps, probing the layered orders, ruptures, and traces of existence embedded within and beyond the uniform.

The exhibition further expands the notion of the uniform by inviting works by international and Korean artists. Hito Steyerl interrogates the museum institution itself as a “battlefield,” questioning structures of form, gaze, and power. Anton Shebetko documents LGBTQ+ soldiers in Ukraine, revealing the tensions concealed by military uniforms. Emilie Brout & Maxime Marion appropriate the language of commercial media to examine entanglements of love, labor, data, and identity. Moon Hyungmin reimagines figures from school textbooks as sculptures, showing how social roles erase individuality. Son Guyong captures the fluidity and vitality of unfixed existence through black-and-white video works structured by repetition and rhythm.

《uni form: Broken Twill》 situates the uniform as a departure point for cross-disciplinary reflection on fashion, art, institutions, social structures, and identity. Functioning beyond the conventional boundaries of a “solo exhibition,” it serves as a platform where diverse works interweave, and will extend to P61 in Berlin in the future. By treating the uniform—long regarded as a symbol of unity—as a site of fissure, the exhibition invites us to reconsider the patterns of the world we inhabit and wear.

 

Date | August 28 (Thu) – September 28 (Sun), 2025

Venue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entire venue)

Opening Reception | August 28 (Thu), 2025, 3:00 PM

Artist | Chul Yong CHOI

Invited Works | 5 works/series
Is the Museum a Battlefield?, Hito STEYERL, 2013
We Were Here, Anton SHEBETKO, 2018–2020
A Truly Shared Love, Émilie BROUT & Maxime MARION, 2018
Textbook Project, Hyung Min MOON, year unknown
At the Park, Koo Yong SOHN, 2024

Core Group | Chul Yong CHOI (Fashion, Contemporary Art, Curation), Sun Kyu HA(Aesthetics, Theory, Critical Writing), Ma No AN (Graphic Design, Publishing), Do Yeon RYU (Subculture, Media Platform), Hoon Cheol KO (Photography), Nathalie Bo Seul SHIN (Artistic Direction, Curation), Hyun Min YUN (Curation), Yun Kyung LEE (Research)

Video Footage | Ji Won JUNG

Assistant | Hye Sang KIM Dong Hyun LEE

Coordinator | Min Seon KIM Seo Yeon KIM Chae Ryung LEE

Space Design | Kkotssul(Mee Hye LEE) Seokundong(Ji Won KIM)

Graphic Design | Ahn Graphics

Photograph | Studio Wimiry

PR and Marketing | VOKE

Modeling and Mockup | Eun Young LEE

Translation | Supremetrans Tae Deog GHIM

Art Handler | S-ART(Dong Chun JUNG)

Exhibition Technician | Suck Ho KANG

Media installation | Miji Art(Keun Su PARK, Sang Hun PARK, Sang Rock PARK)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MCA)

Director | Jun Eui NOH

Chief Curator | Nathalie Bo Seul SHIN

Museum Administrator | Yoon Hee WEON

Curator, Educator | Hyun Min YUN

Curator | Min Seon KIM

Coordinator | Seo Yeon KIM Chae Ryung LEE


Host/Organizer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MCA)

Co-organizer | P61 Kelterborn Collection

Sponsorship |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 2025 Kore·A·Round Culture

일(ㄱ)자회 TMCA Sunday Book Club

일(ㄱ)자회는 2022년 토탈미술관 기획전시 《비커밍의 기술(Techniques of Becoming)》 연계 워크숍에서 시작되어, 정기 모임으로 자리 잡은 토탈미술관의 예술 독서 커뮤니티입니다.

매주 일요일에 진행되는 일(ㄱ)자회는 매달 한 권의 도서를 선정해 미술관에 모여 함께 읽고, 각자의 생각을 자유롭게 나누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책을 미리 완독한 뒤 정밀한 해석을 공유하기보다, 느슨하고 유연한 대화 속에서 감상과 질문을 함께 확장해가는 모임입니다.

예술가의 창작과 삶에 깊은 영향을 준 책부터, 예술가가 직접 집필한 도서까지, 다양한 도서가 일(ㄱ)자회의 추천 도서가 됩니다. 또한 매달 마지막 일요일에는 ‘야외 읽기’ 프로그램을 통해 여행, 공연, 비엔날레, 사찰 투어 등 다채로운 장소에서 모임을 확장하며, 책과 예술을 매개로 한 공동의 경험을 함께 만들어갑니다.

참석 인원과 읽을 분량, 해석의 방향은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습니다. 일(ㄱ)자회는 자유로운 함께 읽기를 지향합니다.

참여신청 | 구글폼 작성(클릭) 

 

2025년 8월의 일(ㄱ)자회

추천도서 |
프리드리히 뒤렌마트의  『약속』을 읽습니다.

일정 |
자유읽기 8월 10일, 17일, 24일(토탈미술관) / 야외읽기 8월 31일(동강국제사진제)
*야외읽기 경비는 별도입니다.

도서 추천 작가 |
최 건(b. 1976)
1999년 그래피티를 시작한 최건은 ‘그래피티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 질문을 끊임없이 다시 돌아보게 만드는 다양한 방식의 그래피티(라고 부를 수 있을지조차 애매한)를 실험하고 있다. 거리에서 이뤄지는 작업을 소재, 대상의 구분 없이 끌어들여 오거나 택배, 방, 흙, 가구, 액션캠, 건물, 천, 지도 앱 등으로 이것저것 발명한다.
유전적 병증을 계기로 나를 벗어난 시각은 어떻게 가능할까 고민하던 중 사물이 보는 것을 ‘물경(thingscape)’으로 이름 붙이고, ‘물경’에 접근하는 여러가지 방법을 궁리하고 있다.

도서 추천의 변 | <8월엔 추리소설이죠>
지난 6월 마지막 주 야외 읽기, 양양으로 가는 차 안.
‘여름엔 추리소설이죠.’
다음 책으로 어떤 게 좋을까 하다 타고 있던 다섯 모두 이 말에 끄덕였더랬지요.
이런 저런 이야기 중에 스위스 작가 뒤렌마트의 『약속』이 떠올랐습니다.

이 작품은 추리소설이라고 하기엔 앞 뒤가 딱딱 맞아 떨어지지 않아요. 미스터리로 보기엔 두근두근함이 좀 모자라고요.
설렁설렁 『약속』을 읽다보면 랑시에르의 어려운 말도 어쩐지 알 것 같은 기분이 됩니다.

“픽션을 일상적 경험과 구별하는 것은 결여된 현실성이 아니라 과도한 합리성이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 9장에서 정식화한 테제이다.”
자크 랑시에르, 『픽션의 가장자리』, 최의연 옮김, 오월의봄, 2024.

그런 뜻에서 프리드리히 뒤렌마트의 작품을 소설의 정합성을 비껴가는 ‘반(反)추리소설’로 보면 어떨까요?

어쨌든 앞 뒤가 잘 맞지 않아도 덜 두근두근거려도, 추리소설이든 반추리소설이든 

8월엔 『약속』이죠, 아무렴요.

2025년 7월 23일

최건

TMCA Sunday Book Club began as a reading workshop held in conjunction with the Total Museum’s 2022 exhibition Techniques of Becoming, and has since evolved into a regular, ongoing reading community hosted by the museum.

Held every Sunday, 
TMCA Sunday Book Club selects one book each month and gathers at the museum to read and exchange thoughts. Rather than requiring participants to complete the book in advance or offer thorough analyses, the group fosters open-ended and flexible discussions that allow personal impressions and questions to naturally unfold.

Reading selections range from books that have profoundly influenced the lives and practices of artists, to works authored by artists themselves. On the last Sunday of each month, the group expands its scope through an “Outdoor Reading” program, which explores diverse locations such as travel destinations, performances, biennales, and temple tours—creating shared experiences centered around books and art.

There are no fixed rules about attendance, reading pace, or interpretive direction. 
TMCA Sunday Book Club values the freedom of reading together.

 How to Join: Submit your registration via the Google Form(Click here)

 

TMCA Sunday Book Club in August 2025

Book of the Month |
  The Pledge: Requiem for the Detective Novel by Friedrich Dürrenmatt

Schedule |
Free Reading: August 10, 17, and 24 (at Total Museum) / Outdoor Reading: August 31 (at DIPF: Donggang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Please note: additional costs apply for Outdoor Reading.

Book Recommended by | CHOI Geon
 (b. 1976)
Since beginning graffiti in 1999, Choi Geon has been experimenting with various forms of what might—or might not—be called graffiti, constantly revisiting the fundamental question: What is graffiti? His practice draws from and intervenes in street-based work, unconstrained by materials or subject matter. From delivery boxes, rooms, soil, furniture, and action cameras to buildings, fabric, and map apps, he invents through an eclectic range of mediums and situations. Prompted by a genetic illness, he began to question the possibility of seeing beyond the self. This led him to coin the term “thingscape”, referring to what is seen by objects rather than by humans. He continues to explore and devise multiple approaches to access this nonhuman perspective.

픽셀 김 개인전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

토탈미술관은 예술을 매개로 지역의 예술 커뮤니티를 개발하고 문화예술 플랫폼을 구축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거제의 아그네스 파크와 협업하여 개최한 연례전시는 지역의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동시대 예술가의 지역 기반 활동을 활성화하고자 기획되었다. 토탈미술관은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으로 주목받는 신진 작가부터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국제적인 작가까지 아우르며 동시대 한국미술의 동향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전시에서 소개하는 픽셀 김은 일상의 경험과 사회적 사건을 자신만의 조형 언어인 ‘픽셀’로 조각내어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선율이 느껴지는 드로잉과 과감한 색채의 변주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순수한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해왔다.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은 2015년 작가의 첫 개인전 이후 10년이 흐른 시점에서, 작가와 작품에 대한 비평적 해석을 잠시 유보한 채 그의 예술 세계가 어떻게 성장하고 확장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전시는 예술가가 구축한 세계와 그 안의 감각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며, 작가의 가장 내밀한 장소이자 작품과 일상이 맞닿아 있는 작업실과 긴밀한 연결을 맺는다.

픽셀 김이 작업실을 떠올리며 직접 지은 전시 제목,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은 수많은 꿈과 기억을 기록하며, 자신만의 규칙과 리듬을 따라 살아가는 삶과 작업 방식을 반영한다. 또한 그의 작업실이 지닌 시공간적 특성은 전시 구조의 토대를 이루며, 작가가 세상을 감각하는 층위를 다층적으로 시각화한다.

일시: 2025년 6월 3일(화) ~ 12월 28일(일) 매주 월요일 휴관
장소: 아그네스 파크 아트 스페이스
기획: 토탈미술관
큐레이터: 김민선
코디네이터: 김서연
주최: 아그네스 파크 
사운드 디자인: 장혜민
도움: 김성원

 

*아래 내용을 클릭하시면 링크로 연결됩니다.

 

아그네스 파크 홈페이지
작가의 작업실 방문하기(영상)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has been working on various projects to develop local art communities and build cultural platforms through art. The annual exhibition, organized in collaboration with Agnes Park in Geoje, aims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local culture and art and to revitalize the community-based activities of contemporary artists. From emerging artists whose experimental and challenging works have garnered attention to international artists representing Korean art,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provides an opportunity to see the trends in contemporary Korean art. 

Pixel Kim, who is featured in this exhibition, has established a unique body of work by fragmenting and reconstructing everyday experiences and social events into his own sculptural language of ‘pixels’. Through his melodious drawings and bold color variations, Kim’s work has provided many people with pure visual pleasure. 

Ten years after the artist’s first solo exhibition in 2015, 
Dream Space and the Temporal Space of Alarms examines how his artistic world has grown and expanded, putting critical interpretations of the artist and his work on hold. To this end, the exhibition creates a space to share the world the artist has constructed and the sense of being in it, and establishe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artist’s most intimate place, his studio, where his work and daily life intersect.

The exhibition’s title, “The Dream Space and the Time Space of the Alarm,” which Pixel Kim chose himself while recalling his studio, reflects the way he lives and works, recording countless dreams and memories, and following his own rules and rhythm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his studio also form the basis of the exhibition’s structure, visualizing the layers through which the artist perceives the world.

 

Dates: June 3 (Tue) – December 28 (Sun), 2025 (closed every Monday)
Venue: Agnes Park Art Space
Organized by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Curator: Minseon Kim
Coordinator: Seoyeon Kim
Host: Agnes Park 
Sound Design: Hye Min Chang
Thanks to Sungwon Kim

 

 

월요살롱 Monday Salon

작업과 생각이 만나는 작은 살롱

토탈미술관의 ‘월요살롱’은 매주 월요일 오후 3시, 미술관에서 열리는 비공식 예술 대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프랑스 출신 조각가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가 뉴욕 자택에서 열었던 ‘Sunday Salon’에서 영감을 받아 시작되었습니다. 부르주아의 살롱처럼, 월요살롱 또한 작품을 중심으로 작가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느슨하지만 진지한 대화를 나누는 자리입니다.

월요살롱은 완성된 작품이나 발표뿐 아니라, 진행 중인 아이디어와 고민, 스케치 단계의 생각, 말로 다듬어지지 않은 감각까지도 자유롭게 나눌 수 있는 자리입니다. 시각예술뿐만 아니라 문학, 디자인, 건축, 기술,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터들이 함께하며, 각자의 질문과 경험이 다른 이의 관점과 만나며 새로운 연결과 가능성을 만들어내고자 합니다.

미술관이 휴관인 월요일 오후, 전시의 조명이 꺼진 공간에서 열리는 이 작은 모임은, 오히려 예술의 본질에 더 가까이 다가가는 실험의 장이 됩니다.

  • 일시: 매주 월요일 오후 3시

  • 장소: 토탈미술관 (서울 종로구 평창동)

  • 참가 방법: 비공개 또는 회차별 신청제 (공지사항 참고)

  • 문의: info@totalmuseum.org

“3시 정각에 다시 오세요!”
뉴욕 첼시, 루이스 부르주아의 집 앞에서 시작된 작은 문장처럼, 토탈미술관의 월요살롱도 매주 정각에 조용히 문을 엽니다.

An intimate gathering of works in progress and shared thoughts

Monday Salon is a weekly informal gathering held every Monday at 3 PM at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spired by Louise Bourgeois’s legendary Sunday Salons in her Chelsea home, this program invites creators from various fields to engage in open-ended, thoughtful conversations around art, ideas, and process.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completed works or formal presentations, Monday Salon welcomes works in progress, unpolished thoughts, sketches, and lingering questions. It is a space for sharing artistic and intellectual processes as they unfold — not as outcomes, but as beginnings.

The salon brings together creators from diverse disciplines — including visual art, literature, design, architecture, technology, and ecology — encouraging cross-disciplinary exchange and unexpected encounters. Each session offers an opportunity to listen, speak, and reflect in a relaxed but attentive setting.

On Monday afternoons, when the museum is officially closed and the lights in the exhibition halls are dimmed, this quiet gathering becomes a space where art might come closest to its essence.

  • Time: Every Monday at 3 PM

  • Location: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Pyeongchang-dong, Seoul

  • Participation: By invitation or session-based registration (see announcements)

  • Contact: info@totalmuseum.org

“Come back exactly at 3 PM.”
As Louise Bourgeois once said through the glass door of her home, Monday Salon opens quietly, every week, right on time.

뉴욕 첼시에 있는 팥 앙금 같은 빛깔의 집에 도착했다. 7개의 가파른 계단을 올라가 벨을 눌렀다. 경계심을 잔뜩 얼굴에 담은 한 중년 여자가 이중 유리문 너머에서 소리쳤다.
“ 3시 정각에 다시 오세요!” 
일요일 오후 3시 정각. 루이스 부르주아의 집에서 ‘선데이 살롱’이 열리는 날이다. 미대생, 화가, 시인들이 집 앞에 모여들었다. 23명이 각자의 작품을 들고 부르주아의 집에 한 줄로 서서 들어갔다. 좁고 낡은 현관 복도를 지나자 더 낡은 거실이 나왔다. 조그만 의자가 네모꼴로 놓여 있었고, 실내는 저녁처럼 어두웠다. 거실은 마치 두 개의 뇌가 마주 보고 있는 모습 같다. 오른쪽엔 책장이 벽 한가득, 왼쪽 베니어 판에는 부르주아의 전시 스크랩이 다닥다닥 붙어 있다. 마티스의 말년 작업인 오려진 색종이가 유일한 다른 작가의 작품인 듯했다. 부르주아의 조그만 작업 책상엔 손님들을 위한 음료와 술, 초콜릿이 준비되어 있었고 한편엔 수북이 쌓인 미술 도구들과 서류 더미들이 있었다. 4개의 고물 램프들이 각자의 빛을 밝히고 있었고 오래된 철제 캐비닛 더미들은 책상을 지지했다. 책상 뒤 편엔 바나나 우윳빛 페인트 칠이 바랜 개선문같이 생긴 입구가 있었는데 그곳의 간유리 문은 거실과 부엌을 구분 짓고 있었다. 부르주아 같은 대가가 이런 곳에서 산다니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검소한 집이었다. 그는 평생을 아주 부유하게 산 사람인데, 작업을 제외한 다른 곳에는 일절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는 작가다운 열정이 전해졌다(그는 고령임에도 작업량이 상당하다). 세련된 내면에 더 마음이 끌리는 이곳이 나는 차츰 좋아졌다.

3시 45분, 모마(MoMA)의 전 큐레이터이자, 상파울루 비엔날레 디렉터였던 파울로 헐켄호프(현 리우데자네이루 MNBA미술관 디렉터)의 도움을 받으며 부르주아가 워커에 의지해 천천히 거실로 들어왔다. 130cm 정도의 키에 바짝 마른 몸, 가느다란 발목엔 검정 양말과 고동색 운동화를 신었다. 은회색 카디건, 흰 티셔츠, 금빛 귀고리, 흰 모자…. 그가 빨간 모직 담요를 무릎에 덮으며 책상 옆 파란 소파에 앉았다. 그 모습은 마치 17세기 네덜란드 초상화에서 튀어나온 것 같았다. 사람들을 쳐다보는 눈빛이 반짝거렸다. 마음씨 좋은 할머니같다가도 얼핏 스치는 인상은 날카롭고 다부졌다.

시계 반대 방향으로 23명의 사람들의 자신의 작품에 대한 설명이 시작되었고 파울로는 의견을 이야기했다. 방 안의 열기는 대단했다. 부르주아는 딱 한 번, 친구인 필리스가 시를 낭송할 때 박수를 쳤고 그 외의 작품에는 연신 고개를 끄덕이며,“ 오케이, 오케이”,“ 화인!”,“베리 나이스!”,“ 댓스 굿!”같은 짧은 말들을 성의있게 소리냈다. 저녁 6시 30분, 인사를 하고 손때 묻은 가죽 책 같은 그 집을 나섰다.”

(루이스 브루주아와의 인터뷰, 2008.10.28. GQ에서 발췌)

 

▶  월요살롱 참가신청서 (발표자)

▶  월요살롱 인스타그램

▶ Issu
    2016년 월요살롱
    2017년 월요살롱
    2018년 월요살롱
    2019년 월요살롱 

Arriving at a House the Color of Red Bean Paste in Chelsea, New York

I arrived at a house in Chelsea, New York, its color reminiscent of red bean paste. Climbing the seven steep steps, I rang the doorbell. A middle-aged woman, her face filled with caution, shouted from behind the double-glass door,
“Come back exactly at 3 PM!”

It was Sunday afternoon, precisely 3 PM — the time for Sunday Salon at Louise Bourgeois’s home. Art students, painters, and poets had gathered outside, each holding their own works. One by one, the 23 visitors entered the house, forming a line. Passing through a narrow, aged hallway, we stepped into an even more worn living room. Small chairs were arranged in a square. The dimly lit room felt like dusk had already fallen.

The space felt like two brains facing each other — one wall lined with bookshelves, the other paneled with plywood covered in clippings from Bourgeois’s past exhibitions. The only artwork by another artist seemed to be a paper cutout from Matisse’s late period. On Bourgeois’s small work desk were drinks, alcohol, and chocolates for the guests, alongside heaps of art materials and stacks of documents. Four antique lamps cast their individual glows, and a pile of old steel cabinets supported the desk. Behind it stood an archway painted in faded banana milk color, resembling a miniature triumphal arch. Its frosted glass door separated the living room from the kitchen.

It was hard to believe that a great figure like Louise Bourgeois lived in such modest surroundings. She had lived a life of wealth, yet you could feel her artist’s passion in how she spared no energy outside her work. Despite her age, her artistic output was still formidable. The more time I spent in this house, the more I grew to love its quiet elegance and inner sophistication.

At 3:45 PM, with the help of Paulo Herkenhoff — former curator at MoMA and director of the São Paulo Biennale, now director of MNBA in Rio de Janeiro — Bourgeois entered the living room with the aid of a walker. She stood about 130 cm tall, with a slender frame. On her thin ankles were black socks and brown sneakers. She wore a silver-gray cardigan, a white T-shirt, golden earrings, and a white hat. She settled into a blue sofa next to her desk, a red wool blanket draped over her knees. She looked like a figure straight out of a 17th-century Dutch portrait. Her eyes sparkled as she scanned the room. At times, she seemed like a kindly grandmother; at others, there was a flash of sharp intensity and quiet strength.

Going counterclockwise, each of the 23 visitors introduced their work. Paulo offered his insights. The energy in the room was palpable. Bourgeois clapped only once — when her friend Phyllis recited a poem. For the rest, she nodded earnestly and responded with short, sincere phrases:
“Okay, okay.”
“Fine!”
“Very nice!”
“That’s good!”

At 6:30 PM, we said our goodbyes and stepped out of that house — worn like a well-loved leather book.

(Excerpt from an interview with Louise Bourgeois, GQ Korea, October 2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