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 form: Broken Twill in Berlin》

2025년 8월 서울 토탈미술관에서 개최된 《uni form: Broken Twill》은  패션과 현대예술의 경계를 넘나들며 ‘유니폼’이라는 사회적 구조를 재해석한 전시였다.  이 전시는 패션 디자이너이자 현대미술 작가인 최철용(Chul Yong CHOI)의 회화 시리즈를 중심으로 구성되었지만, 기획자, 디자이너, 연구자, 미디어 전문가로 구성된 코어그룹(Core Group)이 함께 참여하며  개인전의 형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전시 기획 모델을 제안했다.

즉, 《uni form》은 작가 개인의 조형언어를 보여주는 자리가 아니라, ‘유니폼’이라는 개념을 사회·문화·기술적 맥락에서 심화 연구하는 협업적 플랫폼으로 작동했다.  기획 단계부터 연구, 철학/미학, 매거진,  디자인, 공간 구성, 데이터 수집까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함으로써  개인전의 형식을 빌린 집단적 리서치 전시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또한 주제의 깊이 있는 탐구를 위해  최철용의 회화 외에도 다양한 초청작품이 함께 전시되었다. 이는 한명의  작가를 중심으로 하되,  그 주제를 다각도로 확장하고 해석하는 협업적 담론 구조를 형성했다는 점에서 신선하고 실험적인 전시로 평가받았다.

이러한 특징들은 《uni form》이 단발성 개인전이 아니라,  동시대 담론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는 플랫폼적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니폼’이라는 주제를 통해 집단과 개인, 규율과 자유, 제도와 감정 사이의 관계를 탐구한 이 전시는, 결과적으로 예술을 통해 ‘사회적 구조를 사유하는 실험적 장(場)’을 제안했다.

이번 베를린 에디션은 이러한 서울 전시의 철학과 구조를 계승하면서,  물리적 전시의 확장을 넘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을 본격적으로 시도한 버전이다.  토탈미술관에서 진행되었던 전시의 전 과정—기획, 설치, 기록, 대화, 이미지, 텍스트—을 데이터셋(dataset)으로 구축,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AI 창작 실험과 제너러티브 리컴포지션(generative recomposition)을 진행했다.

즉, 《uni form: Broken Twill》의 베를린 에디션은 서울 전시의 내용을 단순히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 자체를 데이터 기반 창작의 원천으로 재구성한 실험적 전시이다.  이러한 시도는 전시를 ‘결과’가 아닌 ‘과정의 집적체이자 재생 가능한 구조’로 바라보며, 예술과 기술, 인간과 인공지능이 함께 동시대의 시각적 언어를 다시 짜는 장(場)을 만들어낸다.

무엇보다 ‘유니폼’ 프로젝트는 베를린 전시를 기점으로 다른 도시로의 확장과 다양한 예술가 및 연구자와의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국제적 순환 플랫폼(global curatorial platform)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전시가 단일한 결과물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AI, 데이터, 패션, 예술, 사회학적 담론이 교차하는 살아 있는 구조로서  지속적으로 진화해 나간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일시 |  2025.11.11 (화) – 12.12 (금)

장소 |  P61 전관

초청일 | 2025.11.11 (화) 18:00 – 21:00

작가 | 최철용

코어 그룹 | 고훈철, 신보슬, 안마노, 유도연, 윤현민, 이윤경, 최철용, 하선규

참가자 | 고훈철, 신보슬, 안마노, 유도연, 윤현민, 이윤경, 최철용, 하선규

해커톤 큐레이터 | 허대찬

해커톤 멘토 | 최승준

해커톤 참가자 | 최한울, 박승준, 이은서, 김효재, 김수영, 박지원, 임도원

초청작품 | 총 5점/시리즈
We Were Here〉, 안톤 세벳코, 2018–2020
Broken Twill Study I–IV〉, 서효정, 2024–2025
Office Ladies〉, 에미 쿠사노, 2025
The Beauty of Degagement〉, 김진영, 2025
Open-flow Drift〉, 김지영 , 2025

주최/주관 | 토탈미술관(한국) / P61 (독일)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2025 Kore·A·Round Culture>

▶ 보도자료 

 

The exhibition “uni form: Broken Twill,” (uni form) held at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Seoul in August 2025, crossed the boundaries of fashion, art, and technology to reinterpret the social structure of the ‘uniform.’ Although the exhibition was centered on the painting series of fashion designer and contemporary artist Chul Yong CHOI, it also involved a Core Group consisting of curators, designers, researchers, and media specialists, proposing a new curatorial model that transcends the typical format of a solo exhibition.

“uni form” functioned not merely as a presentation of an individual artist’s visual language but as a collaborative platform that deepened the study of the uniform concept within social, cultural, and technological contexts. Experts from various disciplines participated in every stage of the project — from research, philosophy, and design to spatial composition and data collection —
offering a new possibility of a collective research-based exhibition that borrows the form of a solo show.

To further explore the theme, the exhibition also included a number of invited works. Centered around a single artist, it constructed a multilayered structure of discourse that expanded and reinterpreted the subject from various perspectives, earning recognition for its freshness and experimental approach.

These characteristics demonstrate that “uni form” is not a one-time exhibition but a platform-like structure that continues to expand contemporary discourse.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ity and individuality, discipline and freedom, institution and emotion through the lens of the uniform, the exhibition proposed an experimental field for reflecting on social structures through art.

The Berlin edition inherits this philosophy and structure from the Seoul exhibition, taking a step further to pursue a full-fledged digital transformation. Every element of the Total Museum exhibition —exhibition planning, installation, documentation, conversations, images, and texts —
was transformed into a dataset and used as the foundation for AI-based creative experiments and generative recompositions.

Thus, “uni form: Broken Twill – Berlin Edition” does not merely replicate the Seoul exhibition
but reconstructs its process as a creative source rooted in data. This approach redefines the exhibition as not a finished result but as an accumulative and regenerative process, creating a space where art, technology,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eave together new visual languages of our time.

Above all, the “uni form” project, beginning with its Berlin presentation, is envisioned as an evolving global curatorial platform, enabling further expansion to other cities and collaborations among artists, researchers, and institutions worldwide.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a single outcome, the exhibition continues to evolve as a living structure in which AI, data, fashion, art, and social discourse dynamically intersect.

 

Date | August 28 (Thu) – September 28 (Sun), 2025

Venue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entire venue)

Opening Reception | August 28 (Thu), 2025, 3:00 PM

Artist | Chulyong Choi

Core Group | Hooncheol Ko, Nathalie Boseul Shin, Mano An, Doyeon Ryu, Hyunmin Yun, Yunkyung Lee, Chulyong Choi, Sun-kyu Ha

Participants | Hooncheol Ko, Nathalie Boseul Shin, Mano An, Doyeon Ryu, Hyunmin Yun, Yunkyung Lee, Chulyong Choi, Sun-kyu Ha

Hackathon Session
This Berlin edition presents, for the first time, the results of a digital recomposition hackathon held in Yangyang, based on the dataset constructed during the Seoul exhibition. The dataset does not remain as documentation—it becomes image again, through AI.
•  Curator: Daechan Heo
•  Mentor: Seungjun Choi
•  Participants: Sooyoung Kim, Hyojae Kim , Seungjun Park, Jiwon Park, Eunseo Lee, Do-one Im, Hanul jo 

Invited Works | 5 works/series
We Were Here〉, Anton Shebetko, 2018–2020
Broken Twill Study I–IV〉, Hyojung SEO, 2024–2025
Office Ladies〉, Emi Kusano, 2025 Open-flow Drift〉, Kim Jiyoung, 2025 The Beauty of Degagement〉, Kim Jinyoung, 2025

Host/Organizer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MCA), P61 (Berlin)

Sponsorship |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2025 Kore·A·Round Culture

▶ Press Release

《난지도·메타-복스 40: 녹아내린 모든 견고함》

《난지도·메타-복스 40: 녹아내린 모든 견고함》은 토탈미술관 개관 50주년을 앞두고 마련되었으며, 미술 제도의 형성기였던 1980년대와 빠르게 변화하는 오늘의 시점을 겹쳐 읽기를 시도한다. 이를 위해 동시대 기획자와 연구자가 협업하여 1980년대 한국 현대미술의 실험적 흐름을 이끌었던 난지도와 메타-복스 그룹의 활동을 다시 조명하고, 당시 작가들의 선언과 실천, 그리고 그 이후의 지속된 작업을 통해 예술이 제도와 현실 사이에서 어떻게 새로운 언어를 만들어왔는지를 탐구한다. ‘견고함이 녹아내린 자리’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예술의 가능성을 주목하며, 미술관 이후의 미술관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 펼쳐지기를 기대한다.  

일시 | 2025.10.30 (목) – 11.23 (일)
관람 시간
 | 오후 1시 – 오후 6시(월 휴관)
장소 | 토탈미술관 전관
초청일 | 2025.10.30 (목) 17:00

작가 | 
박방영, 신영성, 하용석(난지도), 김찬동, 하민수, 홍승일(메타-복스)

심포지엄  <난지도와 메타-복스: 80년대 미술 운동의 재해석>
2025.11.8 (토) 오후 2시
토탈미술관 1층 아카데미실 
심포지엄 연구자 김찬동, 김주원, 심진솔, 조수진
좌장 
|  하용석
사회
 | 김민선

아카이빙 프로젝트 연구자  |  강부민, 김강리, 이승준

토탈미술관
관장 | 노준의
책임큐레이터 | 신보슬
행정실장 | 원윤희
큐레이터, 에듀케이터 | 윤현민
큐레이터 | 김민선
코디네이터 | 김서연 이채령

그래픽 디자인 | 황기훈
아트핸들러 | 에스아트
미디어 설치 | 미지아트

주최·주관 | 토탈미술관

후원 | 서울시

사진 컨텐츠 지원 | 서울특별시, (사)서울특별시미술관협의회

▶ 보도자료 
▶ 전시 서문
▶ 
전시 도면

Nanjido·Meta-Vox 40: All that is solid melts into air  is organized in anticipat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ttempting to overlay readings of the 1980s—a formative period for the art institution—with the rapidly changing present. To this end, contemporary curators and researchers collaborate to reexamine the activities of the Nanjido and Meta-Vox groups, which led the experimental currents of Korean contemporary art in the 1980s. Through the declarations and practices of artists at that time, and their subsequent ongoing work, it explores how art has forged new languages between the institution and reality. Focusing on the possibilities of art newly emerging from ‘where solidity has melted away,’ we anticipate the unfolding of a forum for discussion to explore the museum beyond the museum. 

Date | October 30th (Thu) – November 23rd (Sun). 2025
Opening Hours | 1 pm – 6 pm (Closed Every Monday)
Venue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entire venue)
Opening Reception | October 30th, 2025 (Thu) 5 pm

Artists 
Bak Bang Young, Shin Young Seong, Ha Yong Seok(Nanjido), Kim Chan Dong, Ha Min-su, Hong Seungil(Meta-Vox)

Symposium 
<Nanjido and Meta-Vox: Reinterpreting the Art Movements of the 1980s>
November 8th, 2025 (Sat) 2 pm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1F Academy Room 
Symposium Researchers Kim Chan Dong, Kim Ju Weon, Shim Jin Sol, Cho Soojin

Archiving Project Researchers Kang Bu Min, Kim Kangri, Lee Seung June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MCA)
Director | Jun Eui NOH
Chief Curator | Nathalie Bo Seul SHIN
Museum Administrator | Yoon Hee WEON
Curator, Educator | Hyun Min YUN
Curator | Min Seon KIM
Coordinator | Seo Yeon KIM Chae Ryung LEE

Graphic Design | Hwang Kee Hoon
Art Handler | S-ART
Media installation | Miji Art

Host/Organizer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MCA)

Sponsorship | 
Seoul City

《TOTAL SUPPORT 2025》

토탈미술관은 1976년 개관한 한국 최초의 사립 현대미술관으로, 예술의 다양한 장르를 수용하고 현대미술의 실험적 도전을 꾸준히 지원해 왔습니다. 이러한 전통과 정신을 바탕으로, 미술관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고자 후원전 《Total Support 2025》를 오는 10월 15일부터 23일까지 개최합니다.

2025년, 토탈미술관은 《uni form: Broken Twill》로 한 해의 문을 열었습니다. 코어 그룹과 초대 작품을 통해 개인전의 새로운 형식을 실험한 이 전시는 다가오는 11월에는 독일로 이어져 국제 교류의 장을 확장할 예정입니다. 한국 현대미술을 해외와 연결하고 문화예술의 폭넓은 소통을 실현하려는 노력은 지난 4월 주캐나다 한국문화원에서 개최된 《The Show Must Go On: Canada》 전시로부터 그 흐름을 이어왔습니다. 한편 국내에서는 7월부터 천안과 파주에서 소장품 전시를 선보이고 있으며, 경상남도 거제시에서 픽셀 킴과 정민수의 개인전을 개최하며 지역 사회 속 현대미술의 접근성을 확대해 왔습니다.

토탈미술관의 교육 프로그램 또한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30여년 동안 지속되어온 대표 프로그램 〈토탈아카데미〉는 현대미술뿐 아니라 건축, 음악, 무용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문화예술의 폭넓은 접점을 확장해왔습니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2024년에 새롭게 출범한 〈토탈세미나〉는 지난 1년간 동시대 작가들의 작업을 깊이 탐구하며 새로운 담론을 열어가고 있고, 매주 월요일 열리는 〈월요살롱〉은 400회를 돌파하며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 예술 담론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더불어 일요독서모임 〈일(ㄱ)자회〉는 책을 매개로 예술적 교감을 나누는 공동체로 자리 잡았으며, 올해 새롭게 시작된 〈AT&D SCHOOL〉은 ‘학교’라는 형식 안에서 미디어아트를 향한 전문적이고도 창의적인 탐구를 열어가고 있습니다.

아울러, 미술관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민 속에서 시작된 〈바틱 스토리〉는 올해도 홍익대학교 섬유미술패션디자인과와 협력하여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학생들과 인도네시아 바틱 장인들이 함께하는 이 프로젝트는 예술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는 모범적인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Total Support 2025》는 토탈미술관의 비전에 동참하는 작가들과 함께합니다. 부디 참석하시어 따뜻한 관심과 후원을 보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토탈미술관은 귀한 성원에 보답할 수 있도록 더욱 풍성한 기획과 프로그램으로 찾아뵙겠습니다.

토탈미술관 관장

노 준 의 드림

 

일시 | 2025.10.15 (수) – 10.23 (목)

장소 | 토탈미술관 전관

오프닝 | 2025.10.15 (수) 13:00

참여작가 | 강석호 고영애 김구림 김기라 김도희 김동연 김승연 김윤신 김장희 김태협 노정란 리  경 민예은 박서보 박석원 방앤리 배지현 변승훈 안규철 양순열 양정화 우종택 원성원 유  희 윤명로 이강소 이상민 이상현 이순종 이승조 이예은 이용덕 이용백 정경선 정보원 정  현 정혜진 제유성 최명영 최병소 최철용 탁양지 픽셀김 함  섭 황규태 흑표범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which opened in 1976 as Korea’s first private contemporary art museum, has consistently embraced diverse art genres and supported experimental challenges in contemporary art. Building on this tradition and spirit, we are hosting the fundraising exhibition 《Total Support 2025》 from October 15 to 23 to collaboratively build a sustainable future for the museum.

In 2025, the Total Museum opened the year with the exhibition 《uni form: Broken Twill》. This exhibition, which experimented with new formats for solo shows through core group and invited works, is set to expand its international reach by traveling to Germany this November. This effort to connect Korean contemporary art with the world and realize broad communication in culture and arts follows the momentum from 《The Show Must Go On: Canada》 held at the Korean Cultural Centre in Canada this past April. Domestically, we have been showcasing collection exhibitions in Cheonan and Paju since July, and have expanded the accessibility of contemporary art within local communities by holding solo exhibitions for Pixel Kim and Minsoo Jeong in Geoje-si, Gyeongsangnam-do.

The Total Museum of Art’s educational programs are also continuing apace. The flagship program, 〈Total Academy〉, which has been running for over 30 years, embraces various genres including not only contemporary art but also architecture, music, and dance, expanding the broad contact points of culture and art. Based on this experience, the newly launched 〈Total Seminar〉 in 2024 has been deeply exploring the works of contemporary artists and opening new discourses over the past year. Furthermore, the weekly 〈Monday Salon〉 has surpassed its 400th session, continuing artistic discussions with experts from diverse fields. In addition, the Sunday book club 〈Sunday Book Club〉 has established itself as a community that shares artistic communion through books, and the newly launched 〈AT&D SCHOOL〉 this year is pioneering professional and creative explorations of media art within the format of a ‘school.’

Moreover, 〈Batik Story〉, which began out of a concern for the museum’s social responsibility, is being held this year in collaboration with the Department of Fiber Art and Fashion Design at Hongik University. This project, bringing together students from Korea and Batik artisans from Indonesia, serves as an exemplary case for practicing the sustainability and social value of art.

《Total Support 2025》 is held with artists who share the TMCA’s vision. We earnestly request your warm interest and support by attending. The Total Museum of Art will continue to present richer planning and programs to reciprocate your valued encouragement.

Sincerely,

Noh Jun-Eui, 
Director of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Date | October 15 (Wed) – October 23 (Thu), 2025

Venue | Total Museum of Art, All Galleries

Opening | October 15 (Wed), 2025, 13:00

Artists | Sukho Kang, Young-yae Ko, Koolim Kim, Gira Kim, Dohee Kim, Dongyeon Kim, Seungyeon Kim, Yoonshin Kim, Janghee Kim, Taehyeop Kim, Jeongran Roh, Kyung Lee, Ye-eun Min, Seo-Bo Park, Seok-Won Park, Bang & Lee, Jihyun Bae, Seunghun Byun, Kyuchul Ahn, Soonyul Yang, Jeonghwa Yang, Jongtaek Woo, Sungwon Won, Hee Yoo, Myungro Yoon, Gangso Lee, Sangmin Lee, Sanghyun Lee, Soonjong Lee, Seungjoh Lee, Yeeun Lee, Yongdeok Lee, Yongbaek Lee, Kyeongseon Jung, Bowon Jung, Hyun Jung, Hyejin Jeong, Yoosung Je, Myoungyoung Choi, Byungso Choi, Chulyong Choi, Yangji Tak, Pixel Kim, Sub Ham, Kyu Tai Hwang, Black Jaguar

일(ㄱ)자회 TMCA Sunday Book Club

일(ㄱ)자회는 2022년 토탈미술관 기획전시 《비커밍의 기술(Techniques of Becoming)》 연계 워크숍에서 시작되어, 정기 모임으로 자리 잡은 토탈미술관의 예술 독서 커뮤니티입니다.

매주 일요일에 진행되는 일(ㄱ)자회는 매달 한 권의 도서를 선정해 미술관에 모여 함께 읽고, 각자의 생각을 자유롭게 나누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책을 미리 완독한 뒤 정밀한 해석을 공유하기보다, 느슨하고 유연한 대화 속에서 감상과 질문을 함께 확장해가는 모임입니다.

예술가의 창작과 삶에 깊은 영향을 준 책부터, 예술가가 직접 집필한 도서까지, 다양한 도서가 일(ㄱ)자회의 추천 도서가 됩니다. 또한 매달 마지막 일요일에는 ‘야외 읽기’ 프로그램을 통해 여행, 공연, 비엔날레, 사찰 투어 등 다채로운 장소에서 모임을 확장하며, 책과 예술을 매개로 한 공동의 경험을 함께 만들어갑니다.

참석 인원과 읽을 분량, 해석의 방향은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습니다. 일(ㄱ)자회는 자유로운 함께 읽기를 지향합니다.

참여신청 | 구글폼 작성(클릭) 

 

 

2025년 10월의 일(ㄱ)자회

추천도서 |
 최봉영의 
 『한국말 말차림법』과 조 메노스키의  『킹 세종 더 그레이트』를 읽습니다.


일정 |
자유읽기 10월 12일, 19일(토탈미술관) / 야외읽기 10월 26일(수원시립미술관)
*야외읽기 경비는 별도입니다.

도서 추천 작가 |
정연두(b.1969)
정연두는 서울대학교 조소과를 졸업하고 런던 골드스미스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 서울에 거주하는 정은 사진과 비디오부터 퍼포먼스를 직간접적으로 포함하는 설치 작품까지 다양한 매체에 집중해 왔다. 작가는 일상적인 사람들의 일상적인 경험에서 소재를 찾고, 보이지 않는 서사를 탐구하고 평범한 잔여물에서 비롯된 가능성을 조사하며, 이 과정에서 그는 타인과 상호 작용하고 협업하는 관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예술과 삶, 예술의 주체와 객체 사이를 이동하는 문턱을 만든다. 정연두는 2007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올해의 작가’ 상을 수상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2023), 울산미술관(2022), 플로리다 웨스트 팜 비치 노튼 미술관(2017), 아트선재센터 서울(2017)에서 주요 개인전을 열었다.

 

TMCA Sunday Book Club began as a reading workshop held in conjunction with the Total Museum’s 2022 exhibition Techniques of Becoming, and has since evolved into a regular, ongoing reading community hosted by the museum.

Held every Sunday, 
TMCA Sunday Book Club selects one book each month and gathers at the museum to read and exchange thoughts. Rather than requiring participants to complete the book in advance or offer thorough analyses, the group fosters open-ended and flexible discussions that allow personal impressions and questions to naturally unfold.

Reading selections range from books that have profoundly influenced the lives and practices of artists, to works authored by artists themselves. On the last Sunday of each month, the group expands its scope through an “Outdoor Reading” program, which explores diverse locations such as travel destinations, performances, biennales, and temple tours—creating shared experiences centered around books and art.

There are no fixed rules about attendance, reading pace, or interpretive direction. 
TMCA Sunday Book Club values the freedom of reading together.

 How to Join: Submit your registration via the Google Form(Click here)

 

TMCA Sunday Book Club in October 2025

Book of the Month |
  『Why the Child is Cooking in the Polenta by Aglaia Veteranyi / 『Dictée by Joe Menosky

Schedule |
Free Reading: October 12, 19(at Total Museum) / Outdoor Reading: October 26 (at Suwon Museum of Art)
*Please note: additional costs apply for Outdoor Reading.

Book Recommended by | Bang & Lee
: Jayoung Bang (b.1977), Yunjun Lee (b.1971)
Yeondoo Jung (b.1969)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Sculpture and received an MFA from Goldsmiths, University of London. Currently based in Seoul, Korea, Jung has focused on a variety of mediums ranging from photography and video to installation work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ing performance. Often finding his subject matter in the quotidian experiences of everyday people, he interrogates invisible narratives and examines possibilities that stem from banal residues. In this process, he uses a relational method of interacting and collaborating with others, creating a threshold for moving between art and life, as well as the subject and object of art. Jung was the recipient of the “Artist of the Year” award b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in 2007, and has held major solo exhibitions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2023); Ulsan Art Museum (2022); Norton Museum of Art, West Palm Beach, Florida (2017); Art Sonje Center, Seoul (2017); Musée d’Art Contemporain du Val-de-Marne (MAC VAL), Vitry-sur-Seine (2015); Art Tower Mito (2014); PLATEAU, Samsung Museum of Art, Seoul (2014); K11 Art space, Shanghai (2013); and PERFORMA 09, New York (2009), among other venues.

픽셀 김 개인전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

토탈미술관은 예술을 매개로 지역의 예술 커뮤니티를 개발하고 문화예술 플랫폼을 구축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거제의 아그네스 파크와 협업하여 개최한 연례전시는 지역의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동시대 예술가의 지역 기반 활동을 활성화하고자 기획되었다. 토탈미술관은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으로 주목받는 신진 작가부터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국제적인 작가까지 아우르며 동시대 한국미술의 동향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전시에서 소개하는 픽셀 김은 일상의 경험과 사회적 사건을 자신만의 조형 언어인 ‘픽셀’로 조각내어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선율이 느껴지는 드로잉과 과감한 색채의 변주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순수한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해왔다.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은 2015년 작가의 첫 개인전 이후 10년이 흐른 시점에서, 작가와 작품에 대한 비평적 해석을 잠시 유보한 채 그의 예술 세계가 어떻게 성장하고 확장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전시는 예술가가 구축한 세계와 그 안의 감각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며, 작가의 가장 내밀한 장소이자 작품과 일상이 맞닿아 있는 작업실과 긴밀한 연결을 맺는다.

픽셀 김이 작업실을 떠올리며 직접 지은 전시 제목,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은 수많은 꿈과 기억을 기록하며, 자신만의 규칙과 리듬을 따라 살아가는 삶과 작업 방식을 반영한다. 또한 그의 작업실이 지닌 시공간적 특성은 전시 구조의 토대를 이루며, 작가가 세상을 감각하는 층위를 다층적으로 시각화한다.

일시: 2025년 6월 3일(화) ~ 12월 28일(일) 매주 월요일 휴관
장소: 아그네스 파크 아트 스페이스
기획: 토탈미술관
큐레이터: 김민선
코디네이터: 김서연
주최: 아그네스 파크 
사운드 디자인: 장혜민
도움: 김성원

 

*아래 내용을 클릭하시면 링크로 연결됩니다.

 

아그네스 파크 홈페이지
작가의 작업실 방문하기(영상)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has been working on various projects to develop local art communities and build cultural platforms through art. The annual exhibition, organized in collaboration with Agnes Park in Geoje, aims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local culture and art and to revitalize the community-based activities of contemporary artists. From emerging artists whose experimental and challenging works have garnered attention to international artists representing Korean art,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provides an opportunity to see the trends in contemporary Korean art. 

Pixel Kim, who is featured in this exhibition, has established a unique body of work by fragmenting and reconstructing everyday experiences and social events into his own sculptural language of ‘pixels’. Through his melodious drawings and bold color variations, Kim’s work has provided many people with pure visual pleasure. 

Ten years after the artist’s first solo exhibition in 2015, 
Dream Space and the Temporal Space of Alarms examines how his artistic world has grown and expanded, putting critical interpretations of the artist and his work on hold. To this end, the exhibition creates a space to share the world the artist has constructed and the sense of being in it, and establishe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artist’s most intimate place, his studio, where his work and daily life intersect.

The exhibition’s title, “The Dream Space and the Time Space of the Alarm,” which Pixel Kim chose himself while recalling his studio, reflects the way he lives and works, recording countless dreams and memories, and following his own rules and rhythm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his studio also form the basis of the exhibition’s structure, visualizing the layers through which the artist perceives the world.

 

Dates: June 3 (Tue) – December 28 (Sun), 2025 (closed every Monday)
Venue: Agnes Park Art Space
Organized by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Curator: Minseon Kim
Coordinator: Seoyeon Kim
Host: Agnes Park 
Sound Design: Hye Min Chang
Thanks to Sungwon Kim

 

 

월요살롱 Monday Salon

작업과 생각이 만나는 작은 살롱

토탈미술관의 ‘월요살롱’은 매주 월요일 오후 3시, 미술관에서 열리는 비공식 예술 대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프랑스 출신 조각가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가 뉴욕 자택에서 열었던 ‘Sunday Salon’에서 영감을 받아 시작되었습니다. 부르주아의 살롱처럼, 월요살롱 또한 작품을 중심으로 작가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모여 느슨하지만 진지한 대화를 나누는 자리입니다.

월요살롱은 완성된 작품이나 발표뿐 아니라, 진행 중인 아이디어와 고민, 스케치 단계의 생각, 말로 다듬어지지 않은 감각까지도 자유롭게 나눌 수 있는 자리입니다. 시각예술뿐만 아니라 문학, 디자인, 건축, 기술,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크리에이터들이 함께하며, 각자의 질문과 경험이 다른 이의 관점과 만나며 새로운 연결과 가능성을 만들어내고자 합니다.

미술관이 휴관인 월요일 오후, 전시의 조명이 꺼진 공간에서 열리는 이 작은 모임은, 오히려 예술의 본질에 더 가까이 다가가는 실험의 장이 됩니다.

  • 일시: 매주 월요일 오후 3시

  • 장소: 토탈미술관 (서울 종로구 평창동)

  • 참가 방법: 비공개 또는 회차별 신청제 (공지사항 참고)

  • 문의: info@totalmuseum.org

“3시 정각에 다시 오세요!”
뉴욕 첼시, 루이스 부르주아의 집 앞에서 시작된 작은 문장처럼, 토탈미술관의 월요살롱도 매주 정각에 조용히 문을 엽니다.

An intimate gathering of works in progress and shared thoughts

Monday Salon is a weekly informal gathering held every Monday at 3 PM at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spired by Louise Bourgeois’s legendary Sunday Salons in her Chelsea home, this program invites creators from various fields to engage in open-ended, thoughtful conversations around art, ideas, and process.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completed works or formal presentations, Monday Salon welcomes works in progress, unpolished thoughts, sketches, and lingering questions. It is a space for sharing artistic and intellectual processes as they unfold — not as outcomes, but as beginnings.

The salon brings together creators from diverse disciplines — including visual art, literature, design, architecture, technology, and ecology — encouraging cross-disciplinary exchange and unexpected encounters. Each session offers an opportunity to listen, speak, and reflect in a relaxed but attentive setting.

On Monday afternoons, when the museum is officially closed and the lights in the exhibition halls are dimmed, this quiet gathering becomes a space where art might come closest to its essence.

  • Time: Every Monday at 3 PM

  • Location: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Pyeongchang-dong, Seoul

  • Participation: By invitation or session-based registration (see announcements)

  • Contact: info@totalmuseum.org

“Come back exactly at 3 PM.”
As Louise Bourgeois once said through the glass door of her home, Monday Salon opens quietly, every week, right on time.

뉴욕 첼시에 있는 팥 앙금 같은 빛깔의 집에 도착했다. 7개의 가파른 계단을 올라가 벨을 눌렀다. 경계심을 잔뜩 얼굴에 담은 한 중년 여자가 이중 유리문 너머에서 소리쳤다.
“ 3시 정각에 다시 오세요!” 
일요일 오후 3시 정각. 루이스 부르주아의 집에서 ‘선데이 살롱’이 열리는 날이다. 미대생, 화가, 시인들이 집 앞에 모여들었다. 23명이 각자의 작품을 들고 부르주아의 집에 한 줄로 서서 들어갔다. 좁고 낡은 현관 복도를 지나자 더 낡은 거실이 나왔다. 조그만 의자가 네모꼴로 놓여 있었고, 실내는 저녁처럼 어두웠다. 거실은 마치 두 개의 뇌가 마주 보고 있는 모습 같다. 오른쪽엔 책장이 벽 한가득, 왼쪽 베니어 판에는 부르주아의 전시 스크랩이 다닥다닥 붙어 있다. 마티스의 말년 작업인 오려진 색종이가 유일한 다른 작가의 작품인 듯했다. 부르주아의 조그만 작업 책상엔 손님들을 위한 음료와 술, 초콜릿이 준비되어 있었고 한편엔 수북이 쌓인 미술 도구들과 서류 더미들이 있었다. 4개의 고물 램프들이 각자의 빛을 밝히고 있었고 오래된 철제 캐비닛 더미들은 책상을 지지했다. 책상 뒤 편엔 바나나 우윳빛 페인트 칠이 바랜 개선문같이 생긴 입구가 있었는데 그곳의 간유리 문은 거실과 부엌을 구분 짓고 있었다. 부르주아 같은 대가가 이런 곳에서 산다니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검소한 집이었다. 그는 평생을 아주 부유하게 산 사람인데, 작업을 제외한 다른 곳에는 일절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는 작가다운 열정이 전해졌다(그는 고령임에도 작업량이 상당하다). 세련된 내면에 더 마음이 끌리는 이곳이 나는 차츰 좋아졌다.

3시 45분, 모마(MoMA)의 전 큐레이터이자, 상파울루 비엔날레 디렉터였던 파울로 헐켄호프(현 리우데자네이루 MNBA미술관 디렉터)의 도움을 받으며 부르주아가 워커에 의지해 천천히 거실로 들어왔다. 130cm 정도의 키에 바짝 마른 몸, 가느다란 발목엔 검정 양말과 고동색 운동화를 신었다. 은회색 카디건, 흰 티셔츠, 금빛 귀고리, 흰 모자…. 그가 빨간 모직 담요를 무릎에 덮으며 책상 옆 파란 소파에 앉았다. 그 모습은 마치 17세기 네덜란드 초상화에서 튀어나온 것 같았다. 사람들을 쳐다보는 눈빛이 반짝거렸다. 마음씨 좋은 할머니같다가도 얼핏 스치는 인상은 날카롭고 다부졌다.

시계 반대 방향으로 23명의 사람들의 자신의 작품에 대한 설명이 시작되었고 파울로는 의견을 이야기했다. 방 안의 열기는 대단했다. 부르주아는 딱 한 번, 친구인 필리스가 시를 낭송할 때 박수를 쳤고 그 외의 작품에는 연신 고개를 끄덕이며,“ 오케이, 오케이”,“ 화인!”,“베리 나이스!”,“ 댓스 굿!”같은 짧은 말들을 성의있게 소리냈다. 저녁 6시 30분, 인사를 하고 손때 묻은 가죽 책 같은 그 집을 나섰다.”

(루이스 브루주아와의 인터뷰, 2008.10.28. GQ에서 발췌)

 

▶  월요살롱 참가신청서 (발표자)

▶  월요살롱 인스타그램

▶ Issu
    2016년 월요살롱
    2017년 월요살롱
    2018년 월요살롱
    2019년 월요살롱 

Arriving at a House the Color of Red Bean Paste in Chelsea, New York

I arrived at a house in Chelsea, New York, its color reminiscent of red bean paste. Climbing the seven steep steps, I rang the doorbell. A middle-aged woman, her face filled with caution, shouted from behind the double-glass door,
“Come back exactly at 3 PM!”

It was Sunday afternoon, precisely 3 PM — the time for Sunday Salon at Louise Bourgeois’s home. Art students, painters, and poets had gathered outside, each holding their own works. One by one, the 23 visitors entered the house, forming a line. Passing through a narrow, aged hallway, we stepped into an even more worn living room. Small chairs were arranged in a square. The dimly lit room felt like dusk had already fallen.

The space felt like two brains facing each other — one wall lined with bookshelves, the other paneled with plywood covered in clippings from Bourgeois’s past exhibitions. The only artwork by another artist seemed to be a paper cutout from Matisse’s late period. On Bourgeois’s small work desk were drinks, alcohol, and chocolates for the guests, alongside heaps of art materials and stacks of documents. Four antique lamps cast their individual glows, and a pile of old steel cabinets supported the desk. Behind it stood an archway painted in faded banana milk color, resembling a miniature triumphal arch. Its frosted glass door separated the living room from the kitchen.

It was hard to believe that a great figure like Louise Bourgeois lived in such modest surroundings. She had lived a life of wealth, yet you could feel her artist’s passion in how she spared no energy outside her work. Despite her age, her artistic output was still formidable. The more time I spent in this house, the more I grew to love its quiet elegance and inner sophistication.

At 3:45 PM, with the help of Paulo Herkenhoff — former curator at MoMA and director of the São Paulo Biennale, now director of MNBA in Rio de Janeiro — Bourgeois entered the living room with the aid of a walker. She stood about 130 cm tall, with a slender frame. On her thin ankles were black socks and brown sneakers. She wore a silver-gray cardigan, a white T-shirt, golden earrings, and a white hat. She settled into a blue sofa next to her desk, a red wool blanket draped over her knees. She looked like a figure straight out of a 17th-century Dutch portrait. Her eyes sparkled as she scanned the room. At times, she seemed like a kindly grandmother; at others, there was a flash of sharp intensity and quiet strength.

Going counterclockwise, each of the 23 visitors introduced their work. Paulo offered his insights. The energy in the room was palpable. Bourgeois clapped only once — when her friend Phyllis recited a poem. For the rest, she nodded earnestly and responded with short, sincere phrases:
“Okay, okay.”
“Fine!”
“Very nice!”
“That’s good!”

At 6:30 PM, we said our goodbyes and stepped out of that house — worn like a well-loved leather book.

(Excerpt from an interview with Louise Bourgeois, GQ Korea, October 2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