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ㄱ)자회 TMCA Sunday Book Club

일(ㄱ)자회는 2022년 토탈미술관 기획전시 《비커밍의 기술(Techniques of Becoming)》 연계 워크숍에서 시작되어, 정기 모임으로 자리 잡은 토탈미술관의 예술 독서 커뮤니티입니다.

매주 일요일에 진행되는 일(ㄱ)자회는 매달 한 권의 도서를 선정해 미술관에 모여 함께 읽고, 각자의 생각을 자유롭게 나누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책을 미리 완독한 뒤 정밀한 해석을 공유하기보다, 느슨하고 유연한 대화 속에서 감상과 질문을 함께 확장해가는 모임입니다.

예술가의 창작과 삶에 깊은 영향을 준 책부터, 예술가가 직접 집필한 도서까지, 다양한 도서가 일(ㄱ)자회의 추천 도서가 됩니다. 또한 매달 마지막 일요일에는 ‘야외 읽기’ 프로그램을 통해 여행, 공연, 비엔날레, 사찰 투어 등 다채로운 장소에서 모임을 확장하며, 책과 예술을 매개로 한 공동의 경험을 함께 만들어갑니다.

참석 인원과 읽을 분량, 해석의 방향은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습니다. 일(ㄱ)자회는 자유로운 함께 읽기를 지향합니다.

참여신청 | 구글폼 작성(클릭) 

 

 

2025년 7월의 일(ㄱ)자회

추천도서 |
알랭 드 보통의  『불안』을 읽습니다.

일정 |
자유읽기 7월 6일, 13일, 20일(토탈미술관) / 야외읽기 7월 27일(동강국제사진제)
*야외읽기 경비는 별도입니다.

도서 추천 작가 |
신미경(b. 1967)
신미경은 1997년부터 문화의 이동 중 발생하는 번역과 해석의 오차에 영감을 받아 다양한 “해석”들을 주제로 삼아왔다. 서양의 고전 조각상과 동양의 불교 조각상을 비누로 복제한다. 신미경의 조각상은 원작과 매우 흡사하지만 완전히 다른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비누라는 소모되는 재료는 원작의 대리석이나 동, 돌 등의 재료의 ‘견고함,’ 또는 ‘불멸적인’ 성질과 상반된다. 비누로 만든 조각상은 관람객을 불안해하기까지 한다. 문화의 차이에서 생긴 의미의 결함처럼 조각이 본래의 맥락에서 제거되면 본래의 의미와 가치는 남아있을까? 2004년에는 <화장실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비누로 만들어진 조각상들을 공공화장실에 배치하여 방문자들이 비누를 사용하게 한 뒤, 사용된 비누 조각상들을 다시 전시공간으로 가져와 전시한다. 화장실에 비치되어있던 비누들은 전시공간에 들어서는 순간 “작품”이 되고 가치와 미학적 특징은 뒤바뀐다.

TMCA Sunday Book Club began as a reading workshop held in conjunction with the Total Museum’s 2022 exhibition Techniques of Becoming, and has since evolved into a regular, ongoing reading community hosted by the museum.

Held every Sunday, 
TMCA Sunday Book Club selects one book each month and gathers at the museum to read and exchange thoughts. Rather than requiring participants to complete the book in advance or offer thorough analyses, the group fosters open-ended and flexible discussions that allow personal impressions and questions to naturally unfold.

Reading selections range from books that have profoundly influenced the lives and practices of artists, to works authored by artists themselves. On the last Sunday of each month, the group expands its scope through an “Outdoor Reading” program, which explores diverse locations such as travel destinations, performances, biennales, and temple tours—creating shared experiences centered around books and art.

There are no fixed rules about attendance, reading pace, or interpretive direction. 
TMCA Sunday Book Club values the freedom of reading together.

 How to Join: Submit your registration via the Google Form(Click here)

 

TMCA Sunday Book Club in July 2025

Book of the Month |
  Status Anxiety by Alain de Botton

Schedule |
Free Reading: July 6, 13, and 20 (at Total Museum) / Outdoor Reading: July 27 (at DIPF: Donggang International Photo Festival)
*Please note: additional costs apply for Outdoor Reading.

Book Recommended by | 
SHIN Meekyoung (b. 1967)
Since 1997, Shin Meekyoung has explored the theme of “interpretation,”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misalignments and mistranslations that occur as cultures move and shift. She replicates classical Western sculptures and traditional Buddhist statues in soap. While her works closely resemble the originals in form, they are made from entirely different materials. The ephemeral, consumable nature of soap stands in stark contrast to the durability—and supposed immortality—of materials like marble, bronze, or stone. Viewers often find her soap sculptures unsettling, as if their material impermanence reflects the slippage of meaning that occurs when cultural objects are removed from their original contexts. Can the meaning and value of a work survive such displacement?
In 2004, she began her ongoing Toilet Project. In this series, soap sculptures are placed in public restrooms where visitors are invited to use them. The partially used sculptures are then brought back into the gallery space and exhibited. Once inside the museum, these previously utilitarian objects are recontextualized as “artworks,” their value and aesthetic status fundamentally transformed.

픽셀 김 개인전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

토탈미술관은 예술을 매개로 지역의 예술 커뮤니티를 개발하고 문화예술 플랫폼을 구축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거제의 아그네스 파크와 협업하여 개최한 연례전시는 지역의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동시대 예술가의 지역 기반 활동을 활성화하고자 기획되었다. 토탈미술관은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으로 주목받는 신진 작가부터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국제적인 작가까지 아우르며 동시대 한국미술의 동향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전시에서 소개하는 픽셀 김은 일상의 경험과 사회적 사건을 자신만의 조형 언어인 ‘픽셀’로 조각내어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선율이 느껴지는 드로잉과 과감한 색채의 변주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순수한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해왔다.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은 2015년 작가의 첫 개인전 이후 10년이 흐른 시점에서, 작가와 작품에 대한 비평적 해석을 잠시 유보한 채 그의 예술 세계가 어떻게 성장하고 확장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전시는 예술가가 구축한 세계와 그 안의 감각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며, 작가의 가장 내밀한 장소이자 작품과 일상이 맞닿아 있는 작업실과 긴밀한 연결을 맺는다.

픽셀 김이 작업실을 떠올리며 직접 지은 전시 제목,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은 수많은 꿈과 기억을 기록하며, 자신만의 규칙과 리듬을 따라 살아가는 삶과 작업 방식을 반영한다. 또한 그의 작업실이 지닌 시공간적 특성은 전시 구조의 토대를 이루며, 작가가 세상을 감각하는 층위를 다층적으로 시각화한다.

일시: 2025년 6월 3일(화) ~ 12월 28일(일) 매주 월요일 휴관
장소: 아그네스 파크 아트 스페이스
기획: 토탈미술관
큐레이터: 김민선
코디네이터: 김서연
주최: 아그네스 파크 
사운드 디자인: 장혜민
도움: 김성원

 

*아래 내용을 클릭하시면 링크로 연결됩니다.

 

아그네스 파크 홈페이지
작가의 작업실 방문하기(영상)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has been working on various projects to develop local art communities and build cultural platforms through art. The annual exhibition, organized in collaboration with Agnes Park in Geoje, aims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local culture and art and to revitalize the community-based activities of contemporary artists. From emerging artists whose experimental and challenging works have garnered attention to international artists representing Korean art,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provides an opportunity to see the trends in contemporary Korean art. 

Pixel Kim, who is featured in this exhibition, has established a unique body of work by fragmenting and reconstructing everyday experiences and social events into his own sculptural language of ‘pixels’. Through his melodious drawings and bold color variations, Kim’s work has provided many people with pure visual pleasure. 

Ten years after the artist’s first solo exhibition in 2015, 
Dream Space and the Temporal Space of Alarms examines how his artistic world has grown and expanded, putting critical interpretations of the artist and his work on hold. To this end, the exhibition creates a space to share the world the artist has constructed and the sense of being in it, and establishe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artist’s most intimate place, his studio, where his work and daily life intersect.

The exhibition’s title, “The Dream Space and the Time Space of the Alarm,” which Pixel Kim chose himself while recalling his studio, reflects the way he lives and works, recording countless dreams and memories, and following his own rules and rhythm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his studio also form the basis of the exhibition’s structure, visualizing the layers through which the artist perceives the world.

 

Dates: June 3 (Tue) – December 28 (Sun), 2025 (closed every Monday)
Venue: Agnes Park Art Space
Organized by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Curator: Minseon Kim
Coordinator: Seoyeon Kim
Host: Agnes Park 
Sound Design: Hye Min Chang
Thanks to Sungwon Kim

 

 

TMCA CineNote | 보이지 않는 수평선: 손구용 감독전

바다와 하늘을 가로지르는 수평선.
수평선이 흐려지는 순간, 두 세계를 분할하던 선은 스스로를 드러내는 것을 멈춘다. 우리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서로의 영역으로 온화하게 침범하며 어우러지는 물질들의 교환을 응시하게 된다. 영화관을 가지 않는 시대에, 영화는 무엇을 보여줄 수 있을까? 
⟪보이지 않는 수평선⟫(invisible horizons 으로 명명한 스크리닝 프로그램은 경계를 무화하고 이미지의 실험을 감행하는 영화감독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상영 후에는 감독과 비평가가 진행하는 관객과의 대화를 진행하며 동시대 예술에서 ‘영화적인 것’이 의미하는 바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손구용 감독 @sohnkooyong
1988년 서울 출생. 총 5편의 영화 연출. 로테르담 국제영화제, 야마가타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마르델플라타 국제영화제, 대만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등 초청. 두 번째 장편 <밤 산책>으로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상 수상.

문주화 평론가 @himooncoin
2024년 씨네21 영화평론상으로 등단하여 비평할동을 시작했다. 현재 영화와 미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아트선재센터, 광주비엔날레, 부산비엔날레에서, 부산국제영화제 등에서 근무했다. 

김신재 큐레이터, 프로듀서 @sh_nj_ek_m
김신재는 주로 시간 기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제작에 동행한다. 2025년 아르코미술관 «오르트 구름», 2021년 국립현대미술관 «재난과 치유»전 위성 프로젝트 ‹반향하는 동사들›, 2023년 제23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시네미디어 포럼 주제전 «장소의 감각, 물질의 그물» 등을 기획했고, 다수의 무빙 이미지 작품 제작에 참여했다.

* TMCA 씨네노트(TMCA CineNote)는 토탈미술관이 영화적 사유와 예술적 실천이 교차하는 지점을 탐색하기 위해 마련한 상영 및 비평 프로그램이다. ‘노트(note)’라는 이름은 단순한 감상문을 넘어, 영화와 관객, 창작자와 연구자 사이의 사유의 흔적이 기록되는 장으로서의 공간을 의미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손구용 감독전
◌ 일시 : 2025. 6. 14.(SAT), 12:00 – 
◌ 장소 : 토탈미술관 지하 1층 전시장 
◌ 상영작 : <오후 풍경>, <밤 산책>, <공원에서>
◌ 관객과의 대화 : 손구용 감독, 문주화 평론가, 김신재 큐레이터 
◌ 참여방법 : 사전 신청
◌ 참가비 : 5,000원 
◌ 주최 : 토탈미술관
◌ 기획 : 문주화 평론가
◌ 협력 : 시네마 달

 참여 링크

 

 

A horizon stretches across sea and sky.
The moment it begins to blur, the line that once divided two worlds ceases to assert itself.
Freed from binary thinking, we witness the gentle intermingling of realms—an exchange of substances that defies separation.
In an age when cinema is rarely watched in a theater, what can film still reveal?

Invisible Horizons introduces the works of filmmakers who dissolve boundaries and experiment with the moving image. Each screening is followed by an in-depth conversation between the director and a critic, inviting the audience to reflect on what “the cinematic” means in contemporary art today.

DIRECTOR | Sohn Kooyong @sohnkooyong
Born in Seoul in 1988, Sohn Kooyong has directed five films to date. His work has been invited to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Yamagata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Mar del Plata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Taiwan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His second feature, Night Walk, won the Documentary Award at the 24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ILM CRITIC | Moon Juhwa @himooncoin
Moon Juhwa began her critical career after receiving the 2024 Cine21 Film Criticism Award. She is currently studying film and aesthetics. Her professional experience includes work at Art Sonje Center, Gwangju Biennale, Busan Biennale, an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CURATOR & PRODUCER | Kim Shinjae @sh_nj_ek_m
Shinjae Kim primarily works on time-based projects, contributing to their curation and production. Her artistic practices explore the translation of entangled senses and materials. She has curated the exhibitions Verb, Reverb – MMCA Catastrophe and Recovery Satellite Project (2021), and Sense of Place, Web of Matter, a themed exhibition at the 23rd Seoul International ALT Cinema & Media Festival (2023). She has accompanied the production of a number of moving image works.

TMCA CineNote is a screening and critical dialogue program presented by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cinematic thinking and artistic practice. The word “Note” refers not only to a written impression but also to a trace of thought—a space for resonance between film, audience, creators, and researchers.

Sohn Kooyong Retrospective
Date : Saturday, June 14, 2025, from 12:00 PM
Venue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B1 Exhibition Hall
Screenings : Afternoon Landscape, Night Walk, At the Park
Talk Session : With director Sohn Kooyong, critic Moon Juhwa, and curator Kim Shinjae
Registration : Advance booking via the link
Admission : 5,000 KRW
Hosted by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TMCA)
Curated by : Moon Juhwa
In collaboration with : Cinema DAL

The Show Must Go On_Canada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

지난 2012년 영국 런던에서 첫발을 뗀 (이하 TSMGO) 프로젝트가 2025년 4월, 캐나다 오타와에 위치한 주캐나다 한국문화원(KCCC)에서 전시된다. 이번 전시는 지난 10여 년간 다양한 도시를 순회하며 이어져 온 TSMGO의 활동을 소개하는 동시에, 한국과 캐나다의 작가-기획자 간의 새로운 연결을 모색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11명의 한국 작가들(권오상, 김도균, 노순택, 민예은, 윤석남, 이순종, 이예은, 장파, 조영주, 홍이현숙, 흑표범)이 준비한 여행 가방이 2025년 한 해 동안 캐나다의 큐레이터들과 만날 예정이다. 큐레이터들은 관심 있는 작가의 여행 가방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매칭된다. 매칭된 큐레이터는 약 7~10일 동안 가방을 보관하며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다. 큐레이터는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 가방을 두고 조용히 작품을 감상하거나, 작가나 기획자를 초청해 교류의 시간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감상 이후에는 작가에게 보내는 메시지와 함께 사진을 첨부하여 여행 가방을 반납하며, 이 자료들은 TSMGO 공식 홈페이지(https://www.theshowmustgoon.co.kr)를 통해 공개된다.

2025년 4월 15일부터 시작하는 이번 전시는 TSMGO 프로젝트의 철학과 실천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자리로, 한국 현대미술 작가들이 국경을 넘어 새로운 만남과 대화를 만들어가는 또 하나의 시작점이 될 것이다. ‘보여주는 전시’를 넘어 ‘직접 만나고 느끼는 예술 교류’의 가능성을 확장하며, 한국과 캐나다의 예술적 대화를 이어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hort history of TSMGO
2012 London, UK
2013 Singapore
2013 Kota Kinabalu, Malaysia
2013 Venice, Italy
2014 Seoul, S. Korea (exhibition version)
2014 Paris, France
2015 L.A., USA
2018 Warsaw, Poland (exhibition version)
2020 Incheon, S.Korea
2023 Ontario, Canada
2025 Ottawa, Canada 
(exhibition version)

날짜 | 2025. 04. 15(화) – 06. 27(금)
장소 | 주캐나다 한국문화원
참여작가 | 권오상, 김도균, 노순택, 민예은, 윤석남, 이순종, 이예은, 장파, 조영주, 홍이현숙, 흑표범
총괄기획 | 신보슬
큐레이터 | 박혜민
코디네이터 | 윤현민, 김민선
어시스턴트 | 이채령, 김서연
주최/주관 | 주캐나다 한국문화원(KCCC)
협력 | 토탈미술관 

The Show Must Go on

The TSMGO project, which was first launched in London, England in 2012, will be exhibited at the Korean Cultural Centre Canada (KCCC) in Ottawa, Canada in April 2025. This exhibition will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introduce TSMGO’s activities, which have been touring various cities over the past decade, and to seek new connections between Korean and Canadian writers and planners.

The suitcases prepared by 11 Korean writers (GWON Osang, KDK, NOH Suntag, MIN Ye-Eun, YUN Suknam, LEE Soonjong, LEE Yeeun, Jang Pa, CHO Youngjoo, HONG LEE Hyunsook, Black Jaguar) will meet with Canadian curators throughout 2025. Curators can apply for suitcases by interested artists, which are matched based on them. Matched curators can freely appreciate the bags while storing them for about seven to 10 days. Curators can also quietly leave their bags at their home or office, or invite writers or planners to exchange time. After the appreciation, the suitcases are returned with a photo attached along with a message to the artist, and these materials will be released on TSMGO’s official website (https://www.theshowmustgoon.co.kr ).

The exhibition, which starts on April 15, 2025, will be an intensive demonstration of 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the TSMGO project, and will be another starting point for Korean contemporary artists to create new encounters and conversations across borders. I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continue artistic dialogue between Korea and Canada,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in-person artistic exchange” beyond “showy exhibitions.”

Date | 2025. 04. 15(TUE) – 06. 27(FRI)
Venue | Korea Cultural Centre Canada
Artists | GWON Osang, KDK, NOH Suntag, MIN Ye-Eun, YUN Suknam, LEE Soonjong, LEE Yeeun, Jang Pa, CHO Youngjoo, HONG LEE Hyunsook, Black Jaguar
Project Manager | Nathalie Boseul SHIN
Curator | PARK Hyemin
Coordinator | YUN Hyunmin, KIM Minseon
Assistant | LEE Chaeryng, KIM Seoyeon
Host/Organizer | Korea Culture Centre Canada(KCCC)
Co-organizer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TMCA)

Focus On #4 최찬숙

토탈 미술관에서 진행하는 《FOCUS ON》은 무빙 이미지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를 선정하여 작품을 집중적으로 보는 기획 프로그램입니다. 〈Focus on # 1 Gary Hill〉, 〈Focus on # 2 정연두〉, 〈Focus on # 3 오민>에 이어, 〈Focus on # 4〉에서는 이주의 공동체, 밀려나는 몸의 기억과 접촉하여 서사학적 실험을 진행해 온 최찬숙 작가의 작품을 함께 감상하고자 합니다.

참여 작가 : 
최찬숙

일시 : 매 회차 오후 7시 정시 상영 시작
Part 1: 2025년 4월 21일(월) 
Part 2: 2025년 4월 28일(월) 
Part 3: 2025년 5월 12일(월) 

상영 시간표

[Part 1] 
가장 얇은 목소리증언들
Void of Void, 3분 16초, 2013
flash, 2분 33초, 2015
Re-move, 26분 30초, 2010-2017
밋찌나(서울), 10분 03초, 2019
60호, 13분, 2019
Poetry: 인공태양, 2분, 2020

[Part 2] 
밀려나고 새어 나오는
약속의 땅 리서치 필름, 10분 28초, 2014
Poetry: 밀려나고 새어 나오는, 2분 39초, 2020
블랙 에어(단채널 버전), 12분 20초, 2020
Poetry: 그들의 영토에서 빛이 새고 있다, 3분, 2020
큐비트 투 아담, 36분, 2021
준비되지 않은 시간의 무지개, 2분 21초, 2013

[Part 3] 
넘어지는 모든 것들
독일인의 사랑, 22분 12초, 2006
LISTEN, 9분 16초, 2009
밋찌나(베를린), 18분 30초, 2020
더 텀블 올 댓 폴, 29분 13초, 2024

<Focus On #4 최찬숙> 리플렛

책임 큐레이터 : 신보슬
큐레이터 : 김민선, 윤현민
코디네이터 : 김서연, 이채령

《FOCUS ON》 is a program presented by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at focuses on the work of selected artists whose work is based on moving images. Following <Focus on #1 Gary Hill>, <Focus on #2  Yeondo Jung>, and <Focus on #3 Min Oh>, <Focus on #4> will showcase the work of Chansook Choi, who has been conducting narrative experiments in contact with migrant communities and the memory of bodies being pushed away.

Artist :
Chansook Choi

Date : Each screening starts at 7:00 PM sharp.
Part 1: Monday 21 April 2025
Part 2: Monday 28 April 2025
Part 3: Monday 12 May 2025

Screening Schedule

[Part 1] The Thinnest Voices, Testimonies
Void of Void, 3min 16sec, 2013
flash, 2min 33sec, 2015
Re-move, 26min 30sec, 2010-2017
Mitkyina (Seoul 1-Ch ver.), 10min 03sec, 2019
60ho, 13min, 2019
Poetry: Artificial Sun, 2min, 2020

[Part 2] Pushed Away and Leaking Out
The Promised Land Research, 10min 28sec, 2014
Poetry: pushed away and leaking out, 2min 39sec, 2020
Black Air (1-Ch ver.), 12min 20sec, 2020
Poetry: It leaks, Light Leaks From Their Land, 3min, 2020
qbit to adam, 36min, 2021
Gravity’s Rainbow in Unprepared Time, 2min 21sec, 2013

[Part 3] All That Fall
Deutsche liebe, 22min 12sec, 2006
LISTEN, 9min, 16sec, 2009
Mitkyina (Berlin 1-Ch ver.), 18min 30sec, 2020
THE TUMBLE all that fall, 29min 13sec, 2024

Head Curator : Nathalie Boseul Shin
Curator : Minseon Kim, Hyunmin Yun
Coordinator : Seoyeon Kim, Chaeryung Lee

2025 Total Academy

모집요강

장 소: 토탈미술관 
개강일시: 2025년 3월 5일(수), 6일(목) 오전 10시
수강기간: 2025년 3월-6월 / 9월-11월 오전 10-12시
수강신청: 2025년 2월 28일(금) 까지

수 강 료: 각 강좌 – 연 200만원
2강좌 수강 시 – 평생회원 연 250만원 / 일반회원 연 300만원

접 수 처
02-379 3994, 7037 / totalmuseum@empas.com

계좌번호: 하나은행 283-890014-90904 / 노준의
 ——————————————————————————

수요 강좌 | 인간이 노래한 신들의 이야기/미지의 영화와 함께 떠나는 역사와 문화여행

3월
05일_인간은 왜 신들이 필요했었나
12일_여명기 문명의 초인적 현상들
19일_<영 인디애나 존스-큐피드의 위협>, 1993
26일_페렌츠 몰나르 원작, <팔 거리의 아이들>, 1969

4월
02일_에리히 케스트너의 <하늘을 나는 교실>, 1954
09일_답사
16일_헬라스 의식을 자아내는 베
23일_멈추지 않는 파문의 헬라스 신화
30일_포도와 올리브와 흙으로 빚은 노래

5월
07일_에른스트 마리시카 감독 <씨씨>, 1955
14일_<씨씨 – 젊은 황후>, 1956
21일_<씨씨 – 운명의 나날>, 1957
28일_스탠리 도넌 감독, <어린 왕자>, 1974

6월
04일_죽음과 전쟁의 신이 다스리는 발할라11일_로랑 티라르 감독, <몰리에르>, 2007

방 학 기 간

9월
03일_신화에 비치는 동양의 의식 구조
10일_아마테라스에서 와다츠미까지의 흐름17일_허버트 로스 감독, <니진스키>, 1980 (1)
24일_허버트 로스 감독, <니진스키>, 1980 (2)

10월
01일_신에서 영웅으로 내려오는 시나리오08일_추석연휴
15일_영화에 녹아들은 신화의 그림자
22일_빈센트 미넬리 뮤지컬, <키스메트>, 1955
29일_<영 인디애나 존스 – 위험한 첩보 활동>, 1992

11월
05일_먼지처럼 사라져도 남아있는 감동
12일_상실한 차문화의 형이상학적 가치

일반회원
• 입회비 10만원 별도
• 미술관 무료 입장 및 각종 행사 초대
• 국내외 미술관, 건축물 및 문화유적 답사 (비용별도)
• 작가 스튜디오 탐방

평생회원
• 평생회비 100만원 별도
• 일반회원 혜택 + 
• 주택설계, 리모델링 상담 및 건축가 소개
• 오디오 관련 무료 상담 

 

 ——————————————————————————

목요 강좌 | 현대건축을 보는 눈/특강

3월
06일_현대건축 오딧세이
13일_더 나은 삶을 위한 도시, 공간을 바라보는 시선
20일_건축의 투명성과 불 투명성 (동시대중심)
27일_두 번의 세계대전과 바우하우스의 이데올로기: “예술과 기술, 새로운 통합”이라는 꿈의 실체

4월
03일_동아시아 도시와 현대건축
10일_답사
17일_건축으로 질문하는 법
24일_Retro Modernism (우리건축의 현대성 확인)

5월
01일_사마르칸트의 건축유산
08일_오른쪽과 왼쪽의 균형을 찾는 것 춤, 춤, 춤
15일_미술관과 ESG
22일_쿤스트 할의 기둥
29일_스타일인가 스피릿인가?

6월
05일_한국에는 없는 마을
12일_모마(MOMA)의 정체성과 영구 갱신에 나선 소장전 전시: 2025년의 상황

방 학 기 간

9월
04일_현대건축 오딧세이 II
11일_건축의 사회적 참여
18일_로켓 지브롤터 (버트 랭카스터 매컬리)
25일_북유럽 도시와 현대건축

10월
02일_인간의 해체와 건축의 미래
09일_추석연휴
16일_건축의 공공성, 공공과 사유의 경계
23일_국제적 전시와 장소 특정성 의제의 재고찰: 하랄트 제만의 탈미적 비전을 중심으로
30일_탈성장시대, 삼시세끼의 풍경

11월
06일_고고학자와 발명가
13일_일본근대와 현대건축

토탈미술관 '에듀케이터' 모집 공고

토탈미술관은 ()한국사립미술관협회가 문화체육관광부 지원으로 실시하는 ‘2025 사립미술관 전문인력 지원사업에 따라 아래와 같이 에듀케이터를 모집하오니 많은 응모 바랍니다

  1. 모집인원 : 총 1명
  1. 근무기간 : 2025년 3월 1일(예정) ~ 2025년 12월 31일
  1. 근무시간 : 주 5일, 주 40시간 근무, 출퇴근시간 09:30~18:00
  1. 응시자격 요건: 에듀케이터

    – 정1급 이상 학예사자격증 소지자로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 정2급 이상 학예사자격증 소지자로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 자격증(3급 학예사교사(석사학위 이상중 하나소지자로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 자격증(문화예술교육사준학예사교사(학사학위 이상중 하나소지자로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로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1년 이상 경력자

    – [인구감소지역인구감소 관심지역 한정평생교육사 자격증 소지자

    [제한사항

    1) 등록 미술관 요건에 따라 자체채용한 학예사(4대보험 가입 필수)가 아닌 별도 인력이어야 함.

    2) 해당 기관에 4대보험이 가입되어 있는 인력은 채용대상 아님.

    (예외) 1. 2023년 본 사업 지원 전문인력 연속채용 가능

    2. 본 사업 최초 공고일 기준, 근무 중인 2023년 본 협회 지원 예비학예인력(20242월까지 지원 중이며, 전문인력 자격요건을 충족한 경우)을 금년도 본 사업 지원인력으로 채용하기를 원할 경우, 사업 규정에 따른 공개채용 절차를 진행하여 신규채용할 수 있음. 채용 확정 후 4대보험 해지 및 재가입 필수

    3) 재학생 및 휴학생 채용 불가 (, 졸업예정자, 수료자, 야간대학원 재학생은 가능)

    4) 타 기관에서 고용 중인 경우 채용 불가 (본 사업에서 4대보험 전체가입 필수)

    5) 대표(또는 관장) 및 기존 임직원과의 관계가 친인척(8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인 경우 채용 불가

    (예외)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하며, 의 적격자가 문체부의 최종 승인을 획득한 경우만 허용함

    서울·경기도·광역시 제외한 지역에 위치한 미술관

    미술관 자체 공모를 2회 실시하였음에도 지원인력 자격요건을 충족하는 신청자

    비동거 자녀 및 친척 중 4대보험 전체 가입이 가능한 적격자

    ㆍ배우자는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음.

  1. 급여

    구분

    자격요건 및 차등기준

    정부지원

    관 자부담

    급여액

    의무(*)

    자율

    에듀케이터

     

    1급 이상 학예사자격증 소지자로, 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2,130,000

    500,000

    2,630,000+

    2급 이상 학예사자격증 소지자로, 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2,024,000

    2,524,000+

    자격증(3급 학예사, 교사(석사학위 이상) 중 하나) 소지자로, 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1,918,000

    2,418,000+

    자격증(문화예술교육사, 준학예사, 교사(학사학위 이상) 중 하나) 소지자로, 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1,812,000

    2,312,000+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로, 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1년 이상 경력자

    [인구감소지역, 인구감소 관심지역 한정] 평생교육사 자격증 소지자

    1,759,000

    2,259,000+

※ 급여액은 본인부담 보험료 및 세금 포함 금액임

  1. ‘에듀케이터의 업무 범위
에듀케이터 수행 가능 업무
기획 상설교육 운영 결과물 관리

[기획안 수립]
① 교육방향, 비전, 중단기 기획안 수립
② 대상별 기획안 작성
③ 교육비 책정(재료비+기초비용)
④ 디지털, 키오스크, LED패널, 미디어 월 등 활용

[전시연계교육]
① 큐레이터와 협업으로 전시 기획 참여, 관련 제반 정보 습득, 연구
② 전시감상 가이드 작성

[강사진, 강연자 구성]
① 교육 프로그램 강사 자료조사, 섭외

[진행]
① 강사진과 사전 협의, 교육, 강의자료 작성(공통, 강의별)
② 체험: 설명(이론), 실기 과정의 공간, 시설
③ 비대면: 세부 시나리오, 미술관 전시 및 교육 연계(오프라인)

[작품 해설]
① 작품 해설(도슨트)

[토탈미술관 상설교육]
-토탈 아카데미
-토탈 세미나
-월요살롱
-토탈렉쳐(비정기)
① 교육대상자 모집, 접수(홈페이지, 타기관 게시홍보, SNS 관리, 우편물, 직접 방문위한 공문, 홍보물 작성, 접수)
② 회차별 클래스 구성 및 관리(자료제공, 준비물, 교통편, 간식 등)
③ 교육실 관리
④ 자료 아카이빙

① 교육 및 체험 결과물 보관, 발송, 전시
② 자체평가 및 만족도 조사
③ 참여자 대상 만족도 조사
④ 교육지도안 제작
⑤ 대상 교육 매뉴얼 작성
  1. 전형방법

(1) 서류제출
○ 제출기한 : 2월 21일(금) 17:00까지
○ 제출방법 :이메일 제출 info@totalmuseum.org
 – 이메일 제목: [토탈미술관/2025년 에듀케이터지원 이름] 표기 필수
 – 파일명: [토탈미술관] 2025_에듀케이터지원_이름

제출서류
지원서 양식 다운로드 (
자기소개서 및 개인정보활용동의서 포함지원자 작성양식)
에듀케이터 지원서
해당 자격증 사본 1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1
최종학교 성적증명서 1
경력증명서(기관 발행) 1부씩(해당자에 한함)

(2) 면접
면접 대상자 통보 및 일정 등 :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25224()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 연락)
면접심사: 2025225()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함)
최종합격자 발표: 2025225()

추후 지원서에 기재한 내용 중 증명할 수 없거나 허위가 있을 경우에는 합격이 취소됨 

2025년 토탈미술관 ‘예비 학예인력’ 모집 공고

토탈미술관은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가 문화체육관광부 지원으로 실시하는 ‘2025 사립미술관 예비학예인력 지원사업’에 따라 아래와 같이 예비 학예인력을 모집하오니 많은 응모 바랍니다.

  1. 모집인원 : 총 1명
  1. 근무기간 : 2025년 3월 1일(예정) ~ 2025년 12월 31일
  1. 근무시간 : 주 5일, 주 40시간 근무, 출퇴근시간 09:30~18:00
  1. 응시자격
예비 학예인력
1) 준학예사 필기시험 합격자
2) 전문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전공 불문)
※위의 1) 또는 2)의 요건 중 어느 하나를 충족해야 함
[제한사항]
1) 해당 기관에 4대보험이 가입되어 있는 인력 
    (예외) 2024년 본 사업 지원 예비학예인력 연속채용 가능
2) 재학생 채용 불가(, 휴학생, 졸업예정자, 야간대학원 재학생은 가능)
3) 4대보험 전체가입 불가한 자 (, 조기연금 및 타 연금 수령자는 가능)
4) 대표(또는 관장) 및 기존 임직원과의 관계가 친인척(8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인 자
 ㆍ배우자는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음.
  1. 급여: 2,130,000원
    ※ 급여액은 본인부담 보험료 및 세금 포함 금액임
  1. 예비 학예인력의 업무 범위
예비 학예인력  수행 가능 업무
연구ㆍ전시 교육 소장품 관리

[연구]
① 미술관 소장품 연구, 분석
 – 시대, 장르, 작가별
 – 대표소장품 집중연구
② 미술사 주제 연구
③ 주요 동향과 이슈 
 – 국내외 주요 미술사조, 이슈와 분석
 – 미술관 관련 내용 중점 분석
 – 전시, 교육과 연계된 내용

[전시 기획(보조)]

① 전시기획안 작성
② 전시도록 제작, 원고 및 보도자료 작성, 홍보, 개막 및 결산 등 전시 기획 제반 업무

[서류 작성]
① 출품작 목록 작성
② <역대 개최전시 요약표> 및 <관련인사연락처> 작성
③ 해외 주요 박물관/미술관 전시계획표 작성
④ 전시진행일지 작성

[자료 분석]
① 출품작 현황 분석
② 예상관람객 분석

[작품 해설]
① 작품 해설(도슨트)

[도록제작]
① 관련자료 번역
② 사진촬영
③ 원고 교정 도록 발송

[작품설치]
① 출품작이 전시장 내로 반입된 후 디스플레이 작업, 동선 흐름 및 작품설치
② 설치 위치가 확정된 이후, 명패 및 설명판 부착

① 교육프로그램 작성 보조 : 교육대상자 분석, 발달단계 및 수요 조사, 차시별 시나리오 작성, 교사 및 학생 교육자료 작성
② 교육프로그램 개발 참여(보조)
③ 교육 프로그램 공지(모집공고)
④ 참가신청자 접수 및 주소록 정리
⑤ 원고 취합, 교정
⑥ 교재 작성 보조 및 배포
⑦ 교육기자재 준비 및 관리
⑧ 행사 소모품 준비
⑨ 행사진행 보조
⑩ 사진촬영
⑪ 타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조사, 설문조사 수행 및 분석
⑫ 행사정리
① 운송 및 포장업무 지원
② 상태검사 보조
③ 전시비품 (구입, 조달)
④ 작품설치
⑤ 라벨 부착작업
⑥ 소장품 카드 작성 보조, 작성형식 및 용어 연구
  1. 전형방법

(1) 서류제출
○ 제출기한 : 2025년 2월 21일 (금) 17시까지 
○ 제출방법 : 이메일 제출 info@totalmuseum.org
   – 이메일 제목: [토탈미술관/2025년 예비학예인력지원 이름] 표기 필수
   – 파일명: [토탈미술관] 2025_예비학예인력지원_이름

○ 제출서류
지원서 양식 다운로드
예비학예인력 지원서(자기소개서 및 개인정보활용동의서 포함)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1
최종학교 성적증명서 1
경력증명서(기관 발행) 1부씩(해당자에 한함)
자격증 사본 1부씩(해당자에 한함)

(2) 면접
○ 면접 대상자 통보 및 일정 등: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25년 2월 24일 (월)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 연락)
면접심사: 2025년 2월 25일 (화)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함)
최종합격자 발표: 2025년 2월 25일 (화)

○ 추후 지원서에 기재한 내용 중 증명할 수 없거나 허위가 있을 경우에는 합격이 취소됨

토탈미술관 '2025년 문화예술기관 연수단원' 모집

토탈미술관에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지원으로 실시하는 ‘2025년도 문화예술기관 연수단원 지원사업’의 참여 기관으로 선정되어 아래와 같이 연수단원을 모집합니다. 문화예술분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실무 현장 실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연수단원을 모집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모집인원 : 총 1명(미술관 운영 전분야의 업무 보조)

2. 근무조건 :
• 급여 : 2,100,000원(세전)
• 근무 기간 : 2025. 3. 1 ~ 2025. 12. 31(총 10개월)
• 근무 시간 : 주 5일, 주 40시간(점심시간 1시간 제외)
• 근무지 : 서울시 종로구 평창 32길 8 토탈미술관
※ 유연근무제 운영으로 주말근무 가능자

3. 자격요건:

연수단원
• 나이 : 만 34세 이하(1990.1.1. 이후 출생자) (*청년고용촉진특별법 제2조 제1호 준용)
• 전공 : 문화예술분야 대학 또는 대학원 전공 졸업자(또는 2025년 2월 졸업예정자)

[제한사항]
– 대학교 재학생, 휴학생, 졸업유예자는 지원 불가.(단, 석사 수료자는 가능)
_ 비전공자의 경우 문화예술 전공에 준하는 자격증 또는 3개월 이상 & 350시간 이상 교육과정 이수자*
* 3개월 이상 교육과정 : 공공‧민간기관에서 운영하는 3개월 이상 & 350시간 이상 수료 과정만 인정
**교육 이수시간 기준 :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훈련의 직종별 훈련기준」 적용

4. 전형일정:
• 서류심사(채용 자격 요건 및 직무적합성 평가)
– 제출기한: 2025.02.06. 목 ~ 2025. 2. 20. 목 오후 5시
–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25. 2. 24. 월. / 서류합격자에 한해 개별 연락
• 면접심사: 2025. 2. 25. 화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함)
• 최종합격자 발표 : 2025. 2. 25. 화
• 채용예정일 : 2025. 3. 1. 토

– 채용예정일이 공휴일(유급휴일)인 관계로 실제 출근시작일은 2025. 3. 4. 화요일로 대체
– 추후 지원서에 기재한 내용 중 증명할 수 없거나 허위가 있을 경우에는 합격이 취소됨

5. 접수방법
• 제출서류: 입사지원서(지정양식)
※ 지원양식홈페이지 공지사항 첨부파일 다운로드

• 이메일 제출: info@totalmuseum.org
※ 이메일 제목 : [토탈미술/2025년_문화예술기관연수단원지원_이름] 표기 필수
※ 파일명: [토탈미술관]2025년_문화예술기관연수단원지원_이름

기계적 유희 机械游戏

사천미술학원 2024학술연구프로젝트,중국
四川美术学院2024年学科建设项目,中国

▪️ 전시명: 기계적 유희 机械游戏

▪️ 전시기간 展览时间: 2024.11.21(목)-12.19(목)

▪️ 관람시간: 화~일요일(월요일휴관), 13시-18시(입장마감 5시30분)

▪️ 오프닝 开幕式: 2024.11.21(수) 17시

▪️ 장소: 토탈서울관 (종로구 평창32길 8)

▪️ 참여작가 艺术家
팡마오쿤 庞茂琨
리촨 李川
한양 韩杨
후타오 胡滔
순아오 孙奥
장샹 张翔
AI장차오 AI张超
원징 文静
닝자웨이 宁佳伟
당루이 党蕊
김태준 金泰俊(韩)
송강 SongGang(意)
베른트 할프헤어 Bernd Habherr(德)

▪️ 주최기관 主办单位
쓰촨미술학원 실험예술학원 四川美术学院实验艺术学院
사단법인 한국미디어아트협회 韩国媒体艺术协会
토탈미술관 共计美术馆(韩国)

포럼 论坛
2024.11.21.(목) 15:30

▪️포럼진행자
论坛主持 김태준 金泰俊, 양광잉 杨光影

▪️포럼참가자 论坛学者
리촨 李川
양광잉 杨光影
김창겸 Kim Changkyum(韩)
이돈아 Lee Donah(韩)
김범수 Kim Bumsu(韩)
송강 SongGang(意)
베른트 할프헤어 Bernd Habherr(德)
당루이 党蕊
이정성 李程成
이이군 李怡君
왕자익 王梓翊
범육훤 范育珲

▪️통역 翻译
김호연 金祜衍

▪️학술지원 学术支持
팡마오쿤 庞茂琨
리촨 李川
양광잉 杨光影
장양 张杨

기술이 삶의 모든 영역에 스며들고 신자유주의가 일상적 가치관을 지배하는 오늘날, 우리는 어디로 나아가고 있는가? “기계적 유희”는 이러한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이 전시는 중국, 한국, 독일, 이탈리아의 예술가들이 함께 현재 전세계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기술 가속화와 신자유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고 있는 현실을 예술적 시각으로 들여다봅니다.

전시는 예술이라는 매개를 통해 인간 존재의 의미와 사회적 관계의 변화를 심도 있게 다룹니다. 기술 발전이 가져온 기회와 도전 속에서 예술가들은 각자의 문화적 배경과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과 인간, 그리고 사회 간의 복잡한 관계를 재조명합니다. 그들의 작품은 단순히 시대의 문제를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실과 가상, 개인과 집단 사이의 다층적인 연결고리를 탐구합니다.

작품들은 설치미술, 영상, 회화, 조각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술이 인간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조명합니다. 이 전시는 특히 다음과 같은 질문을 중심으로 합니다: 기술이 주도하는 시대에 인간은 여전히 자신의 운명을 통제할 수 있는가? 그리고 오늘날 인간 존재의 의미는 무엇인가?

어떤 작품은 기술 발전의 무분별함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으며, 또 다른 작품들은 유머와 풍자를 통해 신자유주의로 인해 가속화된 사회적 불평등을 드러냅니다. 예술가들의 시선은 우리로 하여금 일상의 작은 순간을 되돌아보고, 우리가 미처 보지 못했던 진실에 눈을 뜨게 합니다.

“기계적 유희”는 단순히 관람을 위한 전시가 아닙니다. 이는 인간성과 기술, 그리고 사회적 구조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장입니다. 기술과 자본이라는 이중적 동력 아래에서 인간의 주체성을 재발견하고, 존재의 본질을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전시는 기술 발전의 거센 흐름 속에서 스스로의 본질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선사하며, 인간다움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던집니다. “기계적 유희”는 우리가 어떤 미래를 만들어갈 것인지, 그리고 그 속에서 인간으로서 어떤 역할을 할 것인지를 고민하게 하는 깊이 있는 여정을 제시 할 것입니다.

김태준

“机械游戏”是一场由中国四川美术学院的师生联合韩国、德国、意大利的国际艺术家共同参与的艺术展览。展览的主题聚焦于当下全球社会普遍面临的科技加速主义以及新自由主义思想泛滥的影响。展览以艺术为载体,探讨了人类共同面对的现实处境以及存在意义这一深刻的哲学命题。面对全球化和技术带来的机遇与挑战,艺术家们以各自的视角,试图通过艺术创作重新审视人与社会、人与技术的复杂关系,提出对现实生活的多重反思。

艺术家们从自身文化背景和生活经验出发,关注那些往往被日常生活忽视的细节。无论是从社会现实的切面入手,还是从个体生命体验中发掘灵感,他们的作品均表现出对人类存在的深切关怀。这种关怀不仅停留在表层的社会批判,还深入到思考个体与集体、现实与虚拟之间的多重维度。

展览的作品呈现出多样化的形式和风格,通过装置艺术、影像艺术,绘画与雕塑等媒介共同探讨了科技飞速发展对人类日常生活的影响。展览中的一个核心问题是:在技术主导的时代,人类是否仍然能够掌控自身命运,或者说,当今时代下人存在的意义究竟是什么?艺术家们通过作品对这些问题做出了回应,有些作品表现了对技术无序发展的担忧,有些则以幽默和讽刺的方式揭示出新自由主义所带来的深层社会问题。

“机械游戏”不仅是一次艺术展览,更是一次对人类现状的哲学式追问。艺术家们通过不同的文化视角和创作形式,激发了对全球性问题的思考:我们如何在技术与资本的双重驱动下重新定义人类的生存意义?此次展览强调了“人”的主体性,提醒人们不要在技术发展的洪流中失去对自我存在的反思。

金泰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