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YONG DEOK INVERTED SCULPTURE

이용덕의 역상조각: 순간의 지속

이 연구서는 토탈미술관이 2024년 6월에 개최한 이용덕展 《순간의 지속 THE MOMENT NOT A MOMENT》과 연계 심포지엄을 바탕으로 확장된 연구의 결과물이다. 전시는 이용덕이 1984년에 창안한 독창적인 표현형식인 ‘역상(易像)조각’을 집중 조명하며, 그가 40여 년에 걸쳐 진행해 온 조형 실험의 과정을 아울렀다. 전시와 함께 진행한 심포지엄에는 국내 현대미술계를 대표하는 미술사학자, 비평가, 전시기획자가 참여하여 이용덕의 조형 세계와 그의 역상조각에 대한 미학적·미술사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논의했다. 

역상 조각은 조각의 입체적인 형상을 역으로 뒤집어(invert) 음각으로 파인 형태가 마치 양각처럼 돌출된 효과를 내는 반전 기법을 활용한다. 이 과정에서 작품은 현실과 비현실, 존재와 비존재를 교차하여 관객에게 익숙한 형상이 환영으로 변하는 순간을 경험하게 한다. 이용덕은 실재가 어떻게 우리의 인식론적인 경험을 구성하는 지에 대해 오랜 시간 천착했으며, 그의 조형 세계는 전시를 통해 그 흐름과 맥락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냈다.    -책을 펴내며 中-

e-book 링크: https://online.fliphtml5.com/vkfpd/sbfv/

저자
권혁규, 김남시, 김원방, 로버트 C. 모건, 심상용, 원애경, 정연심, 조상인, 최태만, 케이트 림

기획
엘와이디 스튜디오
원애경
토탈미술관

지원
토탈미술관
엘와이디 스튜디오

편집
엘와이디 스튜디오
원애경

디자인 
문해원

번역 
곽지수, 토드 홀로벡

사진
이용덕, 이정우, 아트조선

인쇄
경일인쇄

발행처
토탈뮤지엄프레스

 

LEE YONG DEOK INVERTED SCULPTURE:
THE MOMENT NOT A MOMENT

This research publication is an expanded outcome based on the symposium held in conjunction with Lee Yong Deok – The Persistence of the Moment: MOMENT NOT A MOMENT, an exhibition organized by the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in June 2024. The exhibition spotlighted Lee Yong Deok’s original sculptural form, Inverted Sculpture, first conceived in 1984, and traced the trajectory of his four-decade-long formal experimentation. The accompanying symposium brought together leading art historians, critics, and curator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Korean art, who engaged in in-depth discussions on the aesthetic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Lee’s sculptural practice, particularly his Inverted Sculpture.

Inverted Sculpture employs a reversal technique in which a concave form—sculpted in negative relief—creates the visual illusion of a convex figure. Through this process, the work enables viewers to experience a moment in which the familiar image appears as an apparition,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the unreal, presence and absence. Lee Yong Deok has long devoted himself to exploring how the real is constructed within our epistemological framework, and the exhibition revealed the evolution and deeper structure of his sculptural language. 
-From the Foreword-

e-book link: https://online.fliphtml5.com/vkfpd/sbfv/

AUTHORS
Kwon Hyukgue, Kim Nam-see, Kim Won Bang, Robert C. Morgan, Shim Sang Yong, AeKyung Won,
Yeon Shim Chung, Cho Sang In,
Choi Tae-Man, Kate Lim

ORGANIZED BY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CURATED BY
LYD Studio,
Aekyung Won

ASSISTED BY
Total Museum Contemporary Art
LYD Studio
Jo Uiju, Kim Taehoon, Isaac Moon

EDITED BY
LYD Studio,
Aekyung Won

DESIGN BY
Haewon Moon

TRANSLATED BY
Ji Su Kwak, Todd Holoubek

PHOTOGRAPHY BY
Lee Yong Deok, Lee Jeongwoo,
Art Chosun

PRINTED BY
Kyungil Printing Co.

PUBLISHED BY
TOTAL MUSEUM PRESS

 

《uni form: Broken Twill》

《유니 폼: 브로큰 트윌》은 패션 디자이너이자 현대미술 작가로 활동하는 최철용의 전시로, 유니폼이라는 제도적 형식을 해체하고 새로운 의미로 재구성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개인 작업을 보여주는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구성된 ‘코어그룹형 기획 전시’라는 점에서 기존 전시와는 차별화된다.

전시 제목 ‘유니 폼(uni form)’은 하나(uni)와 형식(form) 사이의 간극을 드러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띄어 썼다. 이 틈은 동일성과 규율을 상징하는 유니폼의 고정된 이미지를 흔드는 동시에, 새로운 주체와 전시 형식이 탄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상징한다. 이것을 조형적으로 구현하는 핵심 개념인 ‘브로큰 트윌(Broken Twill)’은 원래 직조 기법에서 비롯된 용어로 반복적인 패턴을 일부러 끊거나 비트는 방식을 뜻한다. 최철용은 이를 통해 유니폼의 매끈한 표면 아래 잠재한 파열과 저항의 리듬을 시각화한다.

이번 전시는 다양한 연작을 소개한다. 대표적인 시리즈 중 하나인 〈질서의 농도〉는 무채색의 군중 이미지를 통해 집단 속에서 개인이 어떻게 익명화되고, 규율, 존재의 경계가 반복과 배열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탐구한다. 〈분절된 시선의 떨림: 굴절된 능직의 시학〉에서는 ‘브로큰 트윌’이라는 직조 패턴을 통해 유니폼의 역사적·물질적·상징적 구조를 해체하고, 〈심연을 향한 은밀한 항해: 12개의 이야기〉는 일상의 사물과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무의식과 사회 구조 속에서 형성되는 긴장과 감정을 드러내면서, 유니폼을 ‘사회적 몸’의 상징으로 확장시킨다. 특히 지하 전시장 전체를 압도하는 10미터가 넘는 대형 회화 작품인 〈기억의 파편이 새기는 푸른 상흔〉은 유니콘, 권총, 군복, 우유, 알마 브라운 색상 등 상징적 이미지들이 충돌하며, 개인의 기억과 집단적 경험 속에 남은 ‘상흔’을 드러낸다. 최철용은 이처럼 다양한 관점과 기법적 실험을 기반으로 한 작품을 통해서 각각 서로 다른 감각의 진동과 해석의 틈을 드러내고, 유니폼의 표면 너머, 그 안에 켜켜이 쌓인 질서와 파열, 그리고 존재의 흔적들을 탐색한다.

아울러 전시는 국내외 작가들의 작품을 초대하여 유니폼의 의미를 확장한다. 히토 슈타이얼은 미술관이라는 제도 자체를 ‘전장’으로 바라보며, 형식과 시선, 권력의 작동 방식을 질문한다. 안톤 셰벳코는 우크라이나의 LGBTQ+ 군인들을 기록한 사진 작업으로, 군복이라는 유니폼이 감추는 존재의 긴장을 드러낸다. 에밀리 브루 & 막심 마리옹은 상업적 영상 언어를 차용해 사랑·노동·데이터·정체성이 얽힌 관계망을 탐구하고, 문형민은 교과서 속 인물을 조각으로 재현해 사회적 역할이 개인성을 지우는 과정을 보여준다. 손구용은 반복과 리듬으로 구성된 흑백 영상 속에서 형식화되지 않은 존재의 유동성과 생기를 담담하게 포착한다.

《유니 폼: 브로큰 트윌》은 유니폼을 출발점으로 패션, 예술, 제도, 사회 구조, 정체성의 문제를 교차적으로 사유하게 한다. 동시에 ‘개인전’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작품이 함께 얽히는 플랫폼으로 기능하며, 향후 베를린의 P61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통일의 상징으로 여겨져 온 유니폼을 균열의 출발점으로 삼아, 우리가 입고 살아가는 세계의 무늬를 다시 한 번 성찰하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 작가 인터뷰
▶ 보도자료
▶ 전시 사용 설명서 및 핸드아웃
▶ 전시글(국문/영문)

일시 | 2025.08.28 (목) – 09.28 (일)

장소 | 토탈미술관 전관

초청일 | 2025.08.28 (목) 15:00

작가 | 최철용

초청작품 | 총 5점/시리즈
〈미술관은 전장이 될 수 있는가?〉, 히토 슈타이얼 , 2013
〈우리는 여기 있었다〉, 안톤 셰벳코, 2018~2020
〈진정으로 함께 한 사랑〉, 에밀리 브루 & 막심 마리옹, 2018
〈교과서 프로젝트〉, 문형민, 연도미상
〈공원에서〉, 손구용, 2024

코어그룹 | 최철용 (패션, 현대미술, 기획), 하선규 (미학이론), 안마노 (시각디자인,출판), 류도연 (서브컬처, 미디어플랫폼), 고훈철 (사진), 신보슬 (총괄기획), 윤현민 (기획), 이윤경(패션, 리서치)

영상 푸티지 구성 | 정지원

어시스턴트 | 김혜상, 이동현

전시 코디네이터 | 김민선, 김반석, 김서연, 이채령

디자인 | 안그라픽스

공간 디자인 | 꽃술 이미혜, 석운동 김지원

사진 | STUDIO WIMIRY

홍보 마케팅 | VOKE

모델링·목업 | 이은영

번역감수 | 슈프림트랜스 김태덕

아트핸들러 | 에스아트 정동춘

전시 테크니션 | 강석호

미디어 설치 | 미지아트 박근수, 박상훈, 박상록

판넬 제작 | 영신목공소

작가 지원 | 하일리 그레넷


토탈미술관
관장 | 노준의
책임큐레이터 | 신보슬
행정실장 | 원윤희
큐레이터, 에듀케이터 | 윤현민
큐레이터 | 김민선
코디네이터 | 김서연 이채령

주최·주관 | 토탈미술관

협력 |
P61
켈터본 컬렉션Kelterborn Collection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5 코리아라운드 컬처

《uni form: Broken Twill》 is an exhibition by fashion designer and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yong, which dismantles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the uniform and reconstitutes it with new meaning. Unlike conventional exhibitions, this project is conceived not only as a presentation of the artist’s individual works but also as a “core-group curatorial exhibition” organized in collaboration with experts across diverse fields.

The title “uni form” is intentionally divided into two words to highlight the tension between “uni” (one) and “form.” This gap destabilizes the fixed image of the uniform as a symbol of conformity and discipline, while at the same time opening up the possibility for new subjects and exhibition formats to emerge. The key concept underpinning this is “Broken Twill,” a term originally derived from weaving techniques that involve deliberately interrupting or twisting repetitive patterns. Choi employs this structure to visualize the ruptures and resistant rhythms latent beneath the polished surface of the uniform.

The exhibition presents a wide range of Choi’s series. Among them, Density of Order examines how individuals are anonymized within crowds through monochromatic images, exploring the ways repetition and arrangement construct discipline and the boundaries of existence. Tremor of a Gaze : Poetics of the Broken Twill deconstructs the historical, material, and symbolic structures of the uniform through the weaving pattern of broken twill. Secret Voyage into Abyss: 12 Stories reflects on unconscious tensions and emotions produced through everyday objects and bodily gestures, extending the uniform as a metaphor for the “social body.” The exhibition’s centerpiece, Blue Scars in Memory—a monumental painting over ten meters in scale that dominates the subterranean gallery—collides symbolic images such as unicorns, pistols, military uniforms, milk, and the color “Alma Brown” to reveal the scars left by both personal memory and collective experience. Through these varied perspectives and experimental techniques, Choi makes visible the vibrations of different sensory registers and interpretive gaps, probing the layered orders, ruptures, and traces of existence embedded within and beyond the uniform.

The exhibition further expands the notion of the uniform by inviting works by international and Korean artists. Hito Steyerl interrogates the museum institution itself as a “battlefield,” questioning structures of form, gaze, and power. Anton Shebetko documents LGBTQ+ soldiers in Ukraine, revealing the tensions concealed by military uniforms. Emilie Brout & Maxime Marion appropriate the language of commercial media to examine entanglements of love, labor, data, and identity. Moon Hyungmin reimagines figures from school textbooks as sculptures, showing how social roles erase individuality. Son Guyong captures the fluidity and vitality of unfixed existence through black-and-white video works structured by repetition and rhythm.

《uni form: Broken Twill》 situates the uniform as a departure point for cross-disciplinary reflection on fashion, art, institutions, social structures, and identity. Functioning beyond the conventional boundaries of a “solo exhibition,” it serves as a platform where diverse works interweave, and will extend to P61 in Berlin in the future. By treating the uniform—long regarded as a symbol of unity—as a site of fissure, the exhibition invites us to reconsider the patterns of the world we inhabit and wear.

 

Date | August 28 (Thu) – September 28 (Sun), 2025

Venue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entire venue)

Opening Reception | August 28 (Thu), 2025, 3:00 PM

Artist | Chul Yong CHOI

Invited Works | 5 works/series
Is the Museum a Battlefield?, Hito STEYERL, 2013
We Were Here, Anton SHEBETKO, 2018–2020
A Truly Shared Love, Émilie BROUT & Maxime MARION, 2018
Textbook Project, Hyung Min MOON, year unknown
At the Park, Koo Yong SOHN, 2024

Core Group | Chul Yong CHOI (Fashion, Contemporary Art, Curation), Sun Kyu HA(Aesthetics, Theory, Critical Writing), Ma No AN (Graphic Design, Publishing), Do Yeon RYU (Subculture, Media Platform), Hoon Cheol KO (Photography), Nathalie Bo Seul SHIN (Artistic Direction, Curation), Hyun Min YUN (Curation), Yun Kyung LEE (Research)

Video Footage | Ji Won JUNG

Assistant | Hye Sang KIM Dong Hyun LEE

Coordinator | Min Seon KIM Seo Yeon KIM Chae Ryung LEE

Space Design | Kkotssul(Mee Hye LEE) Seokundong(Ji Won KIM)

Graphic Design | Ahn Graphics

Photograph | Studio Wimiry

PR and Marketing | VOKE

Modeling and Mockup | Eun Young LEE

Translation | Supremetrans Tae Deog GHIM

Art Handler | S-ART(Dong Chun JUNG)

Exhibition Technician | Suck Ho KANG

Media installation | Miji Art(Keun Su PARK, Sang Hun PARK, Sang Rock PARK)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MCA)
Director | Jun Eui NOH
Chief Curator | Nathalie Bo Seul SHIN
Museum Administrator | Yoon Hee WEON
Curator, Educator | Hyun Min YUN
Curator | Min Seon KIM
Coordinator | Seo Yeon KIM Chae Ryung LEE


Host/Organizer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MCA)

Co-organizer |
P61 
Kelterborn Collection

Sponsorship |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rean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2025 Kore·A·Round Culture

일(ㄱ)자회 TMCA Sunday Book Club

일(ㄱ)자회는 2022년 토탈미술관 기획전시 《비커밍의 기술(Techniques of Becoming)》 연계 워크숍에서 시작되어, 정기 모임으로 자리 잡은 토탈미술관의 예술 독서 커뮤니티입니다.

매주 일요일에 진행되는 일(ㄱ)자회는 매달 한 권의 도서를 선정해 미술관에 모여 함께 읽고, 각자의 생각을 자유롭게 나누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책을 미리 완독한 뒤 정밀한 해석을 공유하기보다, 느슨하고 유연한 대화 속에서 감상과 질문을 함께 확장해가는 모임입니다.

예술가의 창작과 삶에 깊은 영향을 준 책부터, 예술가가 직접 집필한 도서까지, 다양한 도서가 일(ㄱ)자회의 추천 도서가 됩니다. 또한 매달 마지막 일요일에는 ‘야외 읽기’ 프로그램을 통해 여행, 공연, 비엔날레, 사찰 투어 등 다채로운 장소에서 모임을 확장하며, 책과 예술을 매개로 한 공동의 경험을 함께 만들어갑니다.

참석 인원과 읽을 분량, 해석의 방향은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습니다. 일(ㄱ)자회는 자유로운 함께 읽기를 지향합니다.

참여신청 | 구글폼 작성(클릭) 

 

 

2025년 9월의 일(ㄱ)자회

추천도서 |
 아글라야 페터라니의 
 『아이는 왜 폴렌타 속에서 끓는가』와 차학경의  『딕테』를 읽습니다.


일정 |
자유읽기 9월 7일, 14일, 21일(토탈미술관) / 야외읽기 9월 28일(구산동 도서관마을)
*야외읽기 경비는 별도입니다.

도서 추천 작가 |
방앤리: 방자영(b. 1977), 이윤준(b. 1971)
방앤리는 방자영과 이윤준으로 구성된 2인 컬렉티브로,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뉴미디어 아트 설치를 바탕으로 전개되어 온 이들의 프로젝트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키네틱 라이트, 센서 기반 악기 등이 등장하는 실험적인 무대와 닮아있다. 장소와 상황에 따라 변형되는 설치는 가변적이며 작품의 재배치에 따라 또 다른 면으로 확장되면서 일종의 프랙털 구조를 만든다. 대부분 부조리, 모순, 역설적 상황과 관련된 프로젝트의 주제는 역사적 자료와 허구적 속성을 통합하여 미디어와 테크놀로지의 관계, 우정과 협업의 개념을 재해석한 내용으로 반영된다.

 

TMCA Sunday Book Club began as a reading workshop held in conjunction with the Total Museum’s 2022 exhibition Techniques of Becoming, and has since evolved into a regular, ongoing reading community hosted by the museum.

Held every Sunday, 
TMCA Sunday Book Club selects one book each month and gathers at the museum to read and exchange thoughts. Rather than requiring participants to complete the book in advance or offer thorough analyses, the group fosters open-ended and flexible discussions that allow personal impressions and questions to naturally unfold.

Reading selections range from books that have profoundly influenced the lives and practices of artists, to works authored by artists themselves. On the last Sunday of each month, the group expands its scope through an “Outdoor Reading” program, which explores diverse locations such as travel destinations, performances, biennales, and temple tours—creating shared experiences centered around books and art.

There are no fixed rules about attendance, reading pace, or interpretive direction. 
TMCA Sunday Book Club values the freedom of reading together.

 How to Join: Submit your registration via the Google Form(Click here)

 

TMCA Sunday Book Club in August 2025

Book of the Month |
  『Why the Child is Cooking in the Polenta by Aglaia Veteranyi / 『Dictée by Theresa Hak Kyung Cha

Schedule |
Free Reading: September 7, 14, and 21 (at Total Museum) / Outdoor Reading: September 28 (at Gusandong Library Village)
*Please note: additional costs apply for Outdoor Reading.

Book Recommended by | Bang & Lee
: Jayoung Bang (b.1977), Yunjun Lee (b.1971)
Bang & Lee is a Seoul-based artist duo whose work spans various genres, including interactive and participatory projects that merge art with technology. Utilizing diverse materials and media—from kinetic lighting and optical fiber projection to generative art, 3D animation, and game engine-based videos—their installations are highly adaptable to different contexts and settings. These works often adopt a fractal-like structure, evolving as they are rearranged. Through their creative process, Bang & Lee explore themes of absurdity, contradiction, and paradox, frequently integrating historical references and fictional elemen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media, technology,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friendship. Their narratives reflect individual experiences and communal memories/history, represented in multidimensional ways through texts, drawings, paintings, three-dimensional objects, virtual reality, and video game worlds.

픽셀 김 개인전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

토탈미술관은 예술을 매개로 지역의 예술 커뮤니티를 개발하고 문화예술 플랫폼을 구축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거제의 아그네스 파크와 협업하여 개최한 연례전시는 지역의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동시대 예술가의 지역 기반 활동을 활성화하고자 기획되었다. 토탈미술관은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작품으로 주목받는 신진 작가부터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국제적인 작가까지 아우르며 동시대 한국미술의 동향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전시에서 소개하는 픽셀 김은 일상의 경험과 사회적 사건을 자신만의 조형 언어인 ‘픽셀’로 조각내어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한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선율이 느껴지는 드로잉과 과감한 색채의 변주를 통해 많은 이들에게 순수한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해왔다.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은 2015년 작가의 첫 개인전 이후 10년이 흐른 시점에서, 작가와 작품에 대한 비평적 해석을 잠시 유보한 채 그의 예술 세계가 어떻게 성장하고 확장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전시는 예술가가 구축한 세계와 그 안의 감각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며, 작가의 가장 내밀한 장소이자 작품과 일상이 맞닿아 있는 작업실과 긴밀한 연결을 맺는다.

픽셀 김이 작업실을 떠올리며 직접 지은 전시 제목, “꿈의 공간과 또는 알람의 시간공간”은 수많은 꿈과 기억을 기록하며, 자신만의 규칙과 리듬을 따라 살아가는 삶과 작업 방식을 반영한다. 또한 그의 작업실이 지닌 시공간적 특성은 전시 구조의 토대를 이루며, 작가가 세상을 감각하는 층위를 다층적으로 시각화한다.

일시: 2025년 6월 3일(화) ~ 12월 28일(일) 매주 월요일 휴관
장소: 아그네스 파크 아트 스페이스
기획: 토탈미술관
큐레이터: 김민선
코디네이터: 김서연
주최: 아그네스 파크 
사운드 디자인: 장혜민
도움: 김성원

 

*아래 내용을 클릭하시면 링크로 연결됩니다.

 

아그네스 파크 홈페이지
작가의 작업실 방문하기(영상)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has been working on various projects to develop local art communities and build cultural platforms through art. The annual exhibition, organized in collaboration with Agnes Park in Geoje, aims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local culture and art and to revitalize the community-based activities of contemporary artists. From emerging artists whose experimental and challenging works have garnered attention to international artists representing Korean art,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provides an opportunity to see the trends in contemporary Korean art. 

Pixel Kim, who is featured in this exhibition, has established a unique body of work by fragmenting and reconstructing everyday experiences and social events into his own sculptural language of ‘pixels’. Through his melodious drawings and bold color variations, Kim’s work has provided many people with pure visual pleasure. 

Ten years after the artist’s first solo exhibition in 2015, 
Dream Space and the Temporal Space of Alarms examines how his artistic world has grown and expanded, putting critical interpretations of the artist and his work on hold. To this end, the exhibition creates a space to share the world the artist has constructed and the sense of being in it, and establishes a close connection with the artist’s most intimate place, his studio, where his work and daily life intersect.

The exhibition’s title, “The Dream Space and the Time Space of the Alarm,” which Pixel Kim chose himself while recalling his studio, reflects the way he lives and works, recording countless dreams and memories, and following his own rules and rhythm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his studio also form the basis of the exhibition’s structure, visualizing the layers through which the artist perceives the world.

 

Dates: June 3 (Tue) – December 28 (Sun), 2025 (closed every Monday)
Venue: Agnes Park Art Space
Organized by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Curator: Minseon Kim
Coordinator: Seoyeon Kim
Host: Agnes Park 
Sound Design: Hye Min Chang
Thanks to Sungwon Kim

 

 

TMCA CineNote | 보이지 않는 수평선: 손구용 감독전

바다와 하늘을 가로지르는 수평선.
수평선이 흐려지는 순간, 두 세계를 분할하던 선은 스스로를 드러내는 것을 멈춘다. 우리는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서로의 영역으로 온화하게 침범하며 어우러지는 물질들의 교환을 응시하게 된다. 영화관을 가지 않는 시대에, 영화는 무엇을 보여줄 수 있을까? 
⟪보이지 않는 수평선⟫(invisible horizons 으로 명명한 스크리닝 프로그램은 경계를 무화하고 이미지의 실험을 감행하는 영화감독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상영 후에는 감독과 비평가가 진행하는 관객과의 대화를 진행하며 동시대 예술에서 ‘영화적인 것’이 의미하는 바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손구용 감독 @sohnkooyong
1988년 서울 출생. 총 5편의 영화 연출. 로테르담 국제영화제, 야마가타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마르델플라타 국제영화제, 대만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등 초청. 두 번째 장편 <밤 산책>으로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상 수상.

문주화 평론가 @himooncoin
2024년 씨네21 영화평론상으로 등단하여 비평할동을 시작했다. 현재 영화와 미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아트선재센터, 광주비엔날레, 부산비엔날레에서, 부산국제영화제 등에서 근무했다. 

김신재 큐레이터, 프로듀서 @sh_nj_ek_m
김신재는 주로 시간 기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제작에 동행한다. 2025년 아르코미술관 «오르트 구름», 2021년 국립현대미술관 «재난과 치유»전 위성 프로젝트 ‹반향하는 동사들›, 2023년 제23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시네미디어 포럼 주제전 «장소의 감각, 물질의 그물» 등을 기획했고, 다수의 무빙 이미지 작품 제작에 참여했다.

* TMCA 씨네노트(TMCA CineNote)는 토탈미술관이 영화적 사유와 예술적 실천이 교차하는 지점을 탐색하기 위해 마련한 상영 및 비평 프로그램이다. ‘노트(note)’라는 이름은 단순한 감상문을 넘어, 영화와 관객, 창작자와 연구자 사이의 사유의 흔적이 기록되는 장으로서의 공간을 의미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손구용 감독전
◌ 일시 : 2025. 6. 14.(SAT), 12:00 – 
◌ 장소 : 토탈미술관 지하 1층 전시장 
◌ 상영작 : <오후 풍경>, <밤 산책>, <공원에서>
◌ 관객과의 대화 : 손구용 감독, 문주화 평론가, 김신재 큐레이터 
◌ 참여방법 : 사전 신청
◌ 참가비 : 5,000원 
◌ 주최 : 토탈미술관
◌ 기획 : 문주화 평론가
◌ 협력 : 시네마 달

 참여 링크

 

 

A horizon stretches across sea and sky.
The moment it begins to blur, the line that once divided two worlds ceases to assert itself.
Freed from binary thinking, we witness the gentle intermingling of realms—an exchange of substances that defies separation.
In an age when cinema is rarely watched in a theater, what can film still reveal?

Invisible Horizons introduces the works of filmmakers who dissolve boundaries and experiment with the moving image. Each screening is followed by an in-depth conversation between the director and a critic, inviting the audience to reflect on what “the cinematic” means in contemporary art today.

DIRECTOR | Sohn Kooyong @sohnkooyong
Born in Seoul in 1988, Sohn Kooyong has directed five films to date. His work has been invited to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Yamagata International Documentary Film Festival,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Mar del Plata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Taiwan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His second feature, Night Walk, won the Documentary Award at the 24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ILM CRITIC | Moon Juhwa @himooncoin
Moon Juhwa began her critical career after receiving the 2024 Cine21 Film Criticism Award. She is currently studying film and aesthetics. Her professional experience includes work at Art Sonje Center, Gwangju Biennale, Busan Biennale, an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CURATOR & PRODUCER | Kim Shinjae @sh_nj_ek_m
Shinjae Kim primarily works on time-based projects, contributing to their curation and production. Her artistic practices explore the translation of entangled senses and materials. She has curated the exhibitions Verb, Reverb – MMCA Catastrophe and Recovery Satellite Project (2021), and Sense of Place, Web of Matter, a themed exhibition at the 23rd Seoul International ALT Cinema & Media Festival (2023). She has accompanied the production of a number of moving image works.

TMCA CineNote is a screening and critical dialogue program presented by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cinematic thinking and artistic practice. The word “Note” refers not only to a written impression but also to a trace of thought—a space for resonance between film, audience, creators, and researchers.

Sohn Kooyong Retrospective
Date : Saturday, June 14, 2025, from 12:00 PM
Venue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B1 Exhibition Hall
Screenings : Afternoon Landscape, Night Walk, At the Park
Talk Session : With director Sohn Kooyong, critic Moon Juhwa, and curator Kim Shinjae
Registration : Advance booking via the link
Admission : 5,000 KRW
Hosted by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TMCA)
Curated by : Moon Juhwa
In collaboration with : Cinema DAL

The Show Must Go On_Canada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

지난 2012년 영국 런던에서 첫발을 뗀 (이하 TSMGO) 프로젝트가 2025년 4월, 캐나다 오타와에 위치한 주캐나다 한국문화원(KCCC)에서 전시된다. 이번 전시는 지난 10여 년간 다양한 도시를 순회하며 이어져 온 TSMGO의 활동을 소개하는 동시에, 한국과 캐나다의 작가-기획자 간의 새로운 연결을 모색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11명의 한국 작가들(권오상, 김도균, 노순택, 민예은, 윤석남, 이순종, 이예은, 장파, 조영주, 홍이현숙, 흑표범)이 준비한 여행 가방이 2025년 한 해 동안 캐나다의 큐레이터들과 만날 예정이다. 큐레이터들은 관심 있는 작가의 여행 가방을 신청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매칭된다. 매칭된 큐레이터는 약 7~10일 동안 가방을 보관하며 자유롭게 감상할 수 있다. 큐레이터는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 가방을 두고 조용히 작품을 감상하거나, 작가나 기획자를 초청해 교류의 시간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감상 이후에는 작가에게 보내는 메시지와 함께 사진을 첨부하여 여행 가방을 반납하며, 이 자료들은 TSMGO 공식 홈페이지(https://www.theshowmustgoon.co.kr)를 통해 공개된다.

2025년 4월 15일부터 시작하는 이번 전시는 TSMGO 프로젝트의 철학과 실천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자리로, 한국 현대미술 작가들이 국경을 넘어 새로운 만남과 대화를 만들어가는 또 하나의 시작점이 될 것이다. ‘보여주는 전시’를 넘어 ‘직접 만나고 느끼는 예술 교류’의 가능성을 확장하며, 한국과 캐나다의 예술적 대화를 이어가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hort history of TSMGO
2012 London, UK
2013 Singapore
2013 Kota Kinabalu, Malaysia
2013 Venice, Italy
2014 Seoul, S. Korea (exhibition version)
2014 Paris, France
2015 L.A., USA
2018 Warsaw, Poland (exhibition version)
2020 Incheon, S.Korea
2023 Ontario, Canada
2025 Ottawa, Canada 
(exhibition version)

날짜 | 2025. 04. 15(화) – 06. 27(금)
장소 | 주캐나다 한국문화원
참여작가 | 권오상, 김도균, 노순택, 민예은, 윤석남, 이순종, 이예은, 장파, 조영주, 홍이현숙, 흑표범
총괄기획 | 신보슬
큐레이터 | 박혜민
코디네이터 | 윤현민, 김민선
어시스턴트 | 이채령, 김서연
주최/주관 | 주캐나다 한국문화원(KCCC)
협력 | 토탈미술관 

The Show Must Go on

The TSMGO project, which was first launched in London, England in 2012, will be exhibited at the Korean Cultural Centre Canada (KCCC) in Ottawa, Canada in April 2025. This exhibition will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introduce TSMGO’s activities, which have been touring various cities over the past decade, and to seek new connections between Korean and Canadian writers and planners.

The suitcases prepared by 11 Korean writers (GWON Osang, KDK, NOH Suntag, MIN Ye-Eun, YUN Suknam, LEE Soonjong, LEE Yeeun, Jang Pa, CHO Youngjoo, HONG LEE Hyunsook, Black Jaguar) will meet with Canadian curators throughout 2025. Curators can apply for suitcases by interested artists, which are matched based on them. Matched curators can freely appreciate the bags while storing them for about seven to 10 days. Curators can also quietly leave their bags at their home or office, or invite writers or planners to exchange time. After the appreciation, the suitcases are returned with a photo attached along with a message to the artist, and these materials will be released on TSMGO’s official website (https://www.theshowmustgoon.co.kr ).

The exhibition, which starts on April 15, 2025, will be an intensive demonstration of 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the TSMGO project, and will be another starting point for Korean contemporary artists to create new encounters and conversations across borders. I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continue artistic dialogue between Korea and Canada,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in-person artistic exchange” beyond “showy exhibitions.”

Date | 2025. 04. 15(TUE) – 06. 27(FRI)
Venue | Korea Cultural Centre Canada
Artists | GWON Osang, KDK, NOH Suntag, MIN Ye-Eun, YUN Suknam, LEE Soonjong, LEE Yeeun, Jang Pa, CHO Youngjoo, HONG LEE Hyunsook, Black Jaguar
Project Manager | Nathalie Boseul SHIN
Curator | PARK Hyemin
Coordinator | YUN Hyunmin, KIM Minseon
Assistant | LEE Chaeryng, KIM Seoyeon
Host/Organizer | Korea Culture Centre Canada(KCCC)
Co-organizer |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TMCA)

Focus On #4 최찬숙

토탈 미술관에서 진행하는 《FOCUS ON》은 무빙 이미지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를 선정하여 작품을 집중적으로 보는 기획 프로그램입니다. 〈Focus on # 1 Gary Hill〉, 〈Focus on # 2 정연두〉, 〈Focus on # 3 오민>에 이어, 〈Focus on # 4〉에서는 이주의 공동체, 밀려나는 몸의 기억과 접촉하여 서사학적 실험을 진행해 온 최찬숙 작가의 작품을 함께 감상하고자 합니다.

참여 작가 : 
최찬숙

일시 : 매 회차 오후 7시 정시 상영 시작
Part 1: 2025년 4월 21일(월) 
Part 2: 2025년 4월 28일(월) 
Part 3: 2025년 5월 12일(월) 

상영 시간표

[Part 1] 
가장 얇은 목소리증언들
Void of Void, 3분 16초, 2013
flash, 2분 33초, 2015
Re-move, 26분 30초, 2010-2017
밋찌나(서울), 10분 03초, 2019
60호, 13분, 2019
Poetry: 인공태양, 2분, 2020

[Part 2] 
밀려나고 새어 나오는
약속의 땅 리서치 필름, 10분 28초, 2014
Poetry: 밀려나고 새어 나오는, 2분 39초, 2020
블랙 에어(단채널 버전), 12분 20초, 2020
Poetry: 그들의 영토에서 빛이 새고 있다, 3분, 2020
큐비트 투 아담, 36분, 2021
준비되지 않은 시간의 무지개, 2분 21초, 2013

[Part 3] 
넘어지는 모든 것들
독일인의 사랑, 22분 12초, 2006
LISTEN, 9분 16초, 2009
밋찌나(베를린), 18분 30초, 2020
더 텀블 올 댓 폴, 29분 13초, 2024

<Focus On #4 최찬숙> 리플렛

책임 큐레이터 : 신보슬
큐레이터 : 김민선, 윤현민
코디네이터 : 김서연, 이채령

《FOCUS ON》 is a program presented by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that focuses on the work of selected artists whose work is based on moving images. Following <Focus on #1 Gary Hill>, <Focus on #2  Yeondo Jung>, and <Focus on #3 Min Oh>, <Focus on #4> will showcase the work of Chansook Choi, who has been conducting narrative experiments in contact with migrant communities and the memory of bodies being pushed away.

Artist :
Chansook Choi

Date : Each screening starts at 7:00 PM sharp.
Part 1: Monday 21 April 2025
Part 2: Monday 28 April 2025
Part 3: Monday 12 May 2025

Screening Schedule

[Part 1] The Thinnest Voices, Testimonies
Void of Void, 3min 16sec, 2013
flash, 2min 33sec, 2015
Re-move, 26min 30sec, 2010-2017
Mitkyina (Seoul 1-Ch ver.), 10min 03sec, 2019
60ho, 13min, 2019
Poetry: Artificial Sun, 2min, 2020

[Part 2] Pushed Away and Leaking Out
The Promised Land Research, 10min 28sec, 2014
Poetry: pushed away and leaking out, 2min 39sec, 2020
Black Air (1-Ch ver.), 12min 20sec, 2020
Poetry: It leaks, Light Leaks From Their Land, 3min, 2020
qbit to adam, 36min, 2021
Gravity’s Rainbow in Unprepared Time, 2min 21sec, 2013

[Part 3] All That Fall
Deutsche liebe, 22min 12sec, 2006
LISTEN, 9min, 16sec, 2009
Mitkyina (Berlin 1-Ch ver.), 18min 30sec, 2020
THE TUMBLE all that fall, 29min 13sec, 2024

Head Curator : Nathalie Boseul Shin
Curator : Minseon Kim, Hyunmin Yun
Coordinator : Seoyeon Kim, Chaeryung Lee

2025 Total Academy

모집요강

장 소: 토탈미술관 
개강일시: 2025년 3월 5일(수), 6일(목) 오전 10시
수강기간: 2025년 3월-6월 / 9월-11월 오전 10-12시
수강신청: 2025년 2월 28일(금) 까지

수 강 료: 각 강좌 – 연 200만원
2강좌 수강 시 – 평생회원 연 250만원 / 일반회원 연 300만원

접 수 처
02-379 3994, 7037 / totalmuseum@empas.com

계좌번호: 하나은행 283-890014-90904 / 노준의
 ——————————————————————————

수요 강좌 | 인간이 노래한 신들의 이야기/미지의 영화와 함께 떠나는 역사와 문화여행

3월
05일_인간은 왜 신들이 필요했었나
12일_여명기 문명의 초인적 현상들
19일_<영 인디애나 존스-큐피드의 위협>, 1993
26일_페렌츠 몰나르 원작, <팔 거리의 아이들>, 1969

4월
02일_에리히 케스트너의 <하늘을 나는 교실>, 1954
09일_답사
16일_헬라스 의식을 자아내는 베
23일_멈추지 않는 파문의 헬라스 신화
30일_포도와 올리브와 흙으로 빚은 노래

5월
07일_에른스트 마리시카 감독 <씨씨>, 1955
14일_<씨씨 – 젊은 황후>, 1956
21일_<씨씨 – 운명의 나날>, 1957
28일_스탠리 도넌 감독, <어린 왕자>, 1974

6월
04일_죽음과 전쟁의 신이 다스리는 발할라11일_로랑 티라르 감독, <몰리에르>, 2007

방 학 기 간

9월
03일_신화에 비치는 동양의 의식 구조
10일_아마테라스에서 와다츠미까지의 흐름17일_허버트 로스 감독, <니진스키>, 1980 (1)
24일_허버트 로스 감독, <니진스키>, 1980 (2)

10월
01일_신에서 영웅으로 내려오는 시나리오08일_추석연휴
15일_영화에 녹아들은 신화의 그림자
22일_빈센트 미넬리 뮤지컬, <키스메트>, 1955
29일_<영 인디애나 존스 – 위험한 첩보 활동>, 1992

11월
05일_먼지처럼 사라져도 남아있는 감동
12일_상실한 차문화의 형이상학적 가치

일반회원
• 입회비 10만원 별도
• 미술관 무료 입장 및 각종 행사 초대
• 국내외 미술관, 건축물 및 문화유적 답사 (비용별도)
• 작가 스튜디오 탐방

평생회원
• 평생회비 100만원 별도
• 일반회원 혜택 + 
• 주택설계, 리모델링 상담 및 건축가 소개
• 오디오 관련 무료 상담 

 

 ——————————————————————————

목요 강좌 | 현대건축을 보는 눈/특강

3월
06일_현대건축 오딧세이
13일_더 나은 삶을 위한 도시, 공간을 바라보는 시선
20일_건축의 투명성과 불 투명성 (동시대중심)
27일_두 번의 세계대전과 바우하우스의 이데올로기: “예술과 기술, 새로운 통합”이라는 꿈의 실체

4월
03일_동아시아 도시와 현대건축
10일_답사
17일_건축으로 질문하는 법
24일_Retro Modernism (우리건축의 현대성 확인)

5월
01일_사마르칸트의 건축유산
08일_오른쪽과 왼쪽의 균형을 찾는 것 춤, 춤, 춤
15일_미술관과 ESG
22일_쿤스트 할의 기둥
29일_스타일인가 스피릿인가?

6월
05일_한국에는 없는 마을
12일_모마(MOMA)의 정체성과 영구 갱신에 나선 소장전 전시: 2025년의 상황

방 학 기 간

9월
04일_현대건축 오딧세이 II
11일_건축의 사회적 참여
18일_로켓 지브롤터 (버트 랭카스터 매컬리)
25일_북유럽 도시와 현대건축

10월
02일_인간의 해체와 건축의 미래
09일_추석연휴
16일_건축의 공공성, 공공과 사유의 경계
23일_국제적 전시와 장소 특정성 의제의 재고찰: 하랄트 제만의 탈미적 비전을 중심으로
30일_탈성장시대, 삼시세끼의 풍경

11월
06일_고고학자와 발명가
13일_일본근대와 현대건축

토탈미술관 '에듀케이터' 모집 공고

토탈미술관은 ()한국사립미술관협회가 문화체육관광부 지원으로 실시하는 ‘2025 사립미술관 전문인력 지원사업에 따라 아래와 같이 에듀케이터를 모집하오니 많은 응모 바랍니다

  1. 모집인원 : 총 1명
  1. 근무기간 : 2025년 3월 1일(예정) ~ 2025년 12월 31일
  1. 근무시간 : 주 5일, 주 40시간 근무, 출퇴근시간 09:30~18:00
  1. 응시자격 요건: 에듀케이터

    – 정1급 이상 학예사자격증 소지자로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 정2급 이상 학예사자격증 소지자로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 자격증(3급 학예사교사(석사학위 이상중 하나소지자로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 자격증(문화예술교육사준학예사교사(학사학위 이상중 하나소지자로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로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1년 이상 경력자

    – [인구감소지역인구감소 관심지역 한정평생교육사 자격증 소지자

    [제한사항

    1) 등록 미술관 요건에 따라 자체채용한 학예사(4대보험 가입 필수)가 아닌 별도 인력이어야 함.

    2) 해당 기관에 4대보험이 가입되어 있는 인력은 채용대상 아님.

    (예외) 1. 2023년 본 사업 지원 전문인력 연속채용 가능

    2. 본 사업 최초 공고일 기준, 근무 중인 2023년 본 협회 지원 예비학예인력(20242월까지 지원 중이며, 전문인력 자격요건을 충족한 경우)을 금년도 본 사업 지원인력으로 채용하기를 원할 경우, 사업 규정에 따른 공개채용 절차를 진행하여 신규채용할 수 있음. 채용 확정 후 4대보험 해지 및 재가입 필수

    3) 재학생 및 휴학생 채용 불가 (, 졸업예정자, 수료자, 야간대학원 재학생은 가능)

    4) 타 기관에서 고용 중인 경우 채용 불가 (본 사업에서 4대보험 전체가입 필수)

    5) 대표(또는 관장) 및 기존 임직원과의 관계가 친인척(8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인 경우 채용 불가

    (예외)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하며, 의 적격자가 문체부의 최종 승인을 획득한 경우만 허용함

    서울·경기도·광역시 제외한 지역에 위치한 미술관

    미술관 자체 공모를 2회 실시하였음에도 지원인력 자격요건을 충족하는 신청자

    비동거 자녀 및 친척 중 4대보험 전체 가입이 가능한 적격자

    ㆍ배우자는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음.

  1. 급여

    구분

    자격요건 및 차등기준

    정부지원

    관 자부담

    급여액

    의무(*)

    자율

    에듀케이터

     

    1급 이상 학예사자격증 소지자로, 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2,130,000

    500,000

    2,630,000+

    2급 이상 학예사자격증 소지자로, 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2,024,000

    2,524,000+

    자격증(3급 학예사, 교사(석사학위 이상) 중 하나) 소지자로, 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1,918,000

    2,418,000+

    자격증(문화예술교육사, 준학예사, 교사(학사학위 이상) 중 하나) 소지자로, 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6개월 이상 경력자

    1,812,000

    2,312,000+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로, 등록 미술관·박물관·비영리 문화예술기관 교육 1년 이상 경력자

    [인구감소지역, 인구감소 관심지역 한정] 평생교육사 자격증 소지자

    1,759,000

    2,259,000+

※ 급여액은 본인부담 보험료 및 세금 포함 금액임

  1. ‘에듀케이터의 업무 범위
에듀케이터 수행 가능 업무
기획 상설교육 운영 결과물 관리

[기획안 수립]
① 교육방향, 비전, 중단기 기획안 수립
② 대상별 기획안 작성
③ 교육비 책정(재료비+기초비용)
④ 디지털, 키오스크, LED패널, 미디어 월 등 활용

[전시연계교육]
① 큐레이터와 협업으로 전시 기획 참여, 관련 제반 정보 습득, 연구
② 전시감상 가이드 작성

[강사진, 강연자 구성]
① 교육 프로그램 강사 자료조사, 섭외

[진행]
① 강사진과 사전 협의, 교육, 강의자료 작성(공통, 강의별)
② 체험: 설명(이론), 실기 과정의 공간, 시설
③ 비대면: 세부 시나리오, 미술관 전시 및 교육 연계(오프라인)

[작품 해설]
① 작품 해설(도슨트)

[토탈미술관 상설교육]
-토탈 아카데미
-토탈 세미나
-월요살롱
-토탈렉쳐(비정기)
① 교육대상자 모집, 접수(홈페이지, 타기관 게시홍보, SNS 관리, 우편물, 직접 방문위한 공문, 홍보물 작성, 접수)
② 회차별 클래스 구성 및 관리(자료제공, 준비물, 교통편, 간식 등)
③ 교육실 관리
④ 자료 아카이빙

① 교육 및 체험 결과물 보관, 발송, 전시
② 자체평가 및 만족도 조사
③ 참여자 대상 만족도 조사
④ 교육지도안 제작
⑤ 대상 교육 매뉴얼 작성
  1. 전형방법

(1) 서류제출
○ 제출기한 : 2월 21일(금) 17:00까지
○ 제출방법 :이메일 제출 info@totalmuseum.org
 – 이메일 제목: [토탈미술관/2025년 에듀케이터지원 이름] 표기 필수
 – 파일명: [토탈미술관] 2025_에듀케이터지원_이름

제출서류
지원서 양식 다운로드 (
자기소개서 및 개인정보활용동의서 포함지원자 작성양식)
에듀케이터 지원서
해당 자격증 사본 1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1
최종학교 성적증명서 1
경력증명서(기관 발행) 1부씩(해당자에 한함)

(2) 면접
면접 대상자 통보 및 일정 등 :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25224()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 연락)
면접심사: 2025225()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함)
최종합격자 발표: 2025225()

추후 지원서에 기재한 내용 중 증명할 수 없거나 허위가 있을 경우에는 합격이 취소됨 

2025년 토탈미술관 ‘예비 학예인력’ 모집 공고

토탈미술관은 (사)한국사립미술관협회가 문화체육관광부 지원으로 실시하는 ‘2025 사립미술관 예비학예인력 지원사업’에 따라 아래와 같이 예비 학예인력을 모집하오니 많은 응모 바랍니다.

  1. 모집인원 : 총 1명
  1. 근무기간 : 2025년 3월 1일(예정) ~ 2025년 12월 31일
  1. 근무시간 : 주 5일, 주 40시간 근무, 출퇴근시간 09:30~18:00
  1. 응시자격
예비 학예인력
1) 준학예사 필기시험 합격자
2) 전문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전공 불문)
※위의 1) 또는 2)의 요건 중 어느 하나를 충족해야 함
[제한사항]
1) 해당 기관에 4대보험이 가입되어 있는 인력 
    (예외) 2024년 본 사업 지원 예비학예인력 연속채용 가능
2) 재학생 채용 불가(, 휴학생, 졸업예정자, 야간대학원 재학생은 가능)
3) 4대보험 전체가입 불가한 자 (, 조기연금 및 타 연금 수령자는 가능)
4) 대표(또는 관장) 및 기존 임직원과의 관계가 친인척(8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인 자
 ㆍ배우자는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음.
  1. 급여: 2,130,000원
    ※ 급여액은 본인부담 보험료 및 세금 포함 금액임
  1. 예비 학예인력의 업무 범위
예비 학예인력  수행 가능 업무
연구ㆍ전시 교육 소장품 관리

[연구]
① 미술관 소장품 연구, 분석
 – 시대, 장르, 작가별
 – 대표소장품 집중연구
② 미술사 주제 연구
③ 주요 동향과 이슈 
 – 국내외 주요 미술사조, 이슈와 분석
 – 미술관 관련 내용 중점 분석
 – 전시, 교육과 연계된 내용

[전시 기획(보조)]

① 전시기획안 작성
② 전시도록 제작, 원고 및 보도자료 작성, 홍보, 개막 및 결산 등 전시 기획 제반 업무

[서류 작성]
① 출품작 목록 작성
② <역대 개최전시 요약표> 및 <관련인사연락처> 작성
③ 해외 주요 박물관/미술관 전시계획표 작성
④ 전시진행일지 작성

[자료 분석]
① 출품작 현황 분석
② 예상관람객 분석

[작품 해설]
① 작품 해설(도슨트)

[도록제작]
① 관련자료 번역
② 사진촬영
③ 원고 교정 도록 발송

[작품설치]
① 출품작이 전시장 내로 반입된 후 디스플레이 작업, 동선 흐름 및 작품설치
② 설치 위치가 확정된 이후, 명패 및 설명판 부착

① 교육프로그램 작성 보조 : 교육대상자 분석, 발달단계 및 수요 조사, 차시별 시나리오 작성, 교사 및 학생 교육자료 작성
② 교육프로그램 개발 참여(보조)
③ 교육 프로그램 공지(모집공고)
④ 참가신청자 접수 및 주소록 정리
⑤ 원고 취합, 교정
⑥ 교재 작성 보조 및 배포
⑦ 교육기자재 준비 및 관리
⑧ 행사 소모품 준비
⑨ 행사진행 보조
⑩ 사진촬영
⑪ 타 미술관 교육프로그램 조사, 설문조사 수행 및 분석
⑫ 행사정리
① 운송 및 포장업무 지원
② 상태검사 보조
③ 전시비품 (구입, 조달)
④ 작품설치
⑤ 라벨 부착작업
⑥ 소장품 카드 작성 보조, 작성형식 및 용어 연구
  1. 전형방법

(1) 서류제출
○ 제출기한 : 2025년 2월 21일 (금) 17시까지 
○ 제출방법 : 이메일 제출 info@totalmuseum.org
   – 이메일 제목: [토탈미술관/2025년 예비학예인력지원 이름] 표기 필수
   – 파일명: [토탈미술관] 2025_예비학예인력지원_이름

○ 제출서류
지원서 양식 다운로드
예비학예인력 지원서(자기소개서 및 개인정보활용동의서 포함)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1
최종학교 성적증명서 1
경력증명서(기관 발행) 1부씩(해당자에 한함)
자격증 사본 1부씩(해당자에 한함)

(2) 면접
○ 면접 대상자 통보 및 일정 등: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25년 2월 24일 (월)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 연락)
면접심사: 2025년 2월 25일 (화)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함)
최종합격자 발표: 2025년 2월 25일 (화)

○ 추후 지원서에 기재한 내용 중 증명할 수 없거나 허위가 있을 경우에는 합격이 취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