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90년에 처음 공연된 ‘광부의 춤’은 식민지 시대에 광산 입구인 오루로Oruro[1]에서 생겨났으며 오늘날의 디아블라다Diablada, 악마 춤Devil Dance으로 진화했다. 이 춤은 악Evil과 칠죄종Seven Deadly Sins[2][2]와의 싸움을 상징한다: 오직 러스트Lust(성욕)의 죄만이 볼리비아에서 토종 치나 수빠이china supay[3][3]의 모습으로 살아남았다. 카니발 기간 동안 그녀는 곰들과 콘도르의 호위를 받으며, 그녀의 모든 매력을 이용하여 구경꾼들을 유혹한다. 신화의 춤은 안데스인들의 현실(삶)에서 없어서는 안될 몫을 한다.

[1] Oruro오루로:  볼리비아의 도시로 오루로 주의 주도이며 면적은 1,633km², 높이는 3,735m, 인구는 264,700명이다. 세계적인 주석 광산으로 알려져 있다.

[2] 칠죄종Seven Deadly Sins은 그 자체가 죄이면서 동시에 인간이 자기 자신의 뜻에 따라 범하는 모든 죄의 근원이 되는 것을 일곱 가지로 분류한 것을 일컫는 그리스도교의 용어이다. 칠죄종은 초기 그리스도교 시절부터 사용된 용어로서 인간이 죄를 범하기 쉬운 경향에 대해 교회가 가르치고 훈육하기 위하기 위해 대두되었다.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교만, 인색, 시기, 분노, 음욕, 탐욕, 나태가 칠죄종에 속하는 죄로 분류된다.

[3] China supay https://blog.naver.com/yupanqui/30184594484

The jean cloth originated in 16th-century Genoa, used by its far-travelling sailors, and was worn by poor working people. Denim started around the same time in France. Especially receptive to indigo, denim won out as the cloth but in a 20th-century marriage, jean(s) supplied the name.

청바지 천은 16세기 제노아에서 유래했다. 이는 먼 곳을 여행하는 선원들이나 가난한 노동자들이 입는 옷에 쓰였다. 데님은 프랑스에서 비슷한 시기에 시작되었다. 천으로 사용되던 데님은 20세기에 들어 인디고와의 결혼을 통해 진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Read more

With women at the forefront, the partial success of a strike at the Misr Spinning and Weaving Company in Mahalla, Egypt created a precedent for further strikes in the industry, and for community support two years later when a general strike in the same city became a pioneering attack on the Mubarak regime.

이집트 마할라의 미스르 방적·직조 회사에서 여성들이 앞장서 일으킨 파업은 부분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이는 이후 방직산업에서 일어난 파업의 전례가 되었다. 2년 뒤 같은 도시에서 일어난 총파업이 무바라크 정권에 대한 선도적인 공격이 되면서 공동체의 지원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

 Read more

ome images have to pay a price in order to remain in the public imaginary. Something is kept, but it is stripped of everything, like when a museum buys a piece: especially in Peru, it loses all its value and all its political power.

어떤 이미지들은 대중들의 상상 속에 남으려면 대가를 치러야 한다. 어떤 것은 보관되어 있지만, 박물관이 작품을 살 때와 같이 모든 것을 박탈당한다: 특히 페루에서는 박물관의 모든 가치와 정치력을 상실한다.

 Read more

Chuspa / Coca Bag                   23

태평양 연안의 천연 해도면Gossypium barbadense cotton[1]에 다섯 가지의 천연색으로 수를 놓은 [이]가방은 고대 페루 농업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다양한 종류의 식물, 씨앗, 나무 그리고 뿌리들을 보여주는 직물의 매우 특이한 예이다. 시각적인 반전 현상 때문에 특정 문양graphic이 흥미롭게 드러난다. 가방을 뒤집어보면 [뿌리 무늬]가 양팔을 흔들며 활보하는 모습처럼 보인다. 페루의 몇몇 식물군을 제외하고는 [식물이] 직물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지 못했다. 바르톨로메 데 아르잔 데 오르수아 이 벨라 Bartolomé de Arzáns de Orsúa y Vela[2]는 1555년 포토시의 한 행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행렬이 지나가는 길 바닥에는 30~40개 이상의 부족연합에서 가져온 원주민들의 애정을 담은 풍성한 양모와 면 망토를 깔았고, 헌신하는 마음으로 며칠 동안이나 다양한 향기로운 꽃들과 허브로 카펫을 덮어 지역의 자연적인 아름다움이 그들의 부족한 수작업의 결점을 보완하게 하였다

[1] 해도면Gossypium barbadense cotton:목화솜 식물의 일종이다. 고급 면직물에 사용되는 길이 34 밀리미터 이상의 ELS 섬유를 뽑아내기 위해 재배된다.

[2] 바르톨로메 데 아르잔 데 오르수아 이 벨라 Bartolomé de Arzáns de Orsúa y Vela: 페루 포토시 출생 ‘History of the imperial Villa Potosí’ 역사문학 작품을 저술한 작가이며 이 서적은  Alto Perú 학자들에게 중요한 자료이다.

| This Indian labour-intensive dying process was a Holy Grail to Europeans. In an act of intellectual property theft, a comprehensive how-to guide book was published in 1763 describing how cotton, after being dyed, should be soaked in either oil of sesamum or in melted hog’s lard. It was then analysed to re-make the process for mass production.

인도인들의 노동집약적인 염색 과정은 유럽인들에게는 성배Holy Grail와 같았다. 1763년에는 염색을 한 후 목화를 참기름이나 녹인 돼지 기름에 어떻게 담가야 하는지 설명하는 포괄적인 안내서가 출판되었는데, 이는 지식재산권을 도용하여 만들어진 것이었다. 이후 이 과정은 대량 생산을 위한 공정을 다시 만들기 위해 분석되었다.

 Read more

Women sewing machinists at the Ford Motor Company struck with the demand: End Sex Discrimination in Pay Grading. They did not win all their demands but a significant pay rise and broke the idea that only men were ‘breadwinners’.

포드 자동차 회사의 바느질 기계공들은 ‘성차별적 임금지불을 그만두라’고 요구하며 회사에 맞섰다. 기계공들의 모든 요구가 수용되지는 않았지만 그들은 상당한 임금 인상을 얻어냈고, 남성들만이 ‘가장breadwinners’이라는 관념을 깼다.

 Read more

소니아 아비안의 작업은 아카이브와 리서치로 시작한다. 비디오, 회화, 오브젝트(object),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담론과 역사적 사진을 이데올로기의 수단으로 분석한다. 그녀는 특정 성(gender)이 차지하는 위치에 대한 정당성과 현재와의 연결 관계를 통해 사진들에서 보여주는 권력 구조에 관심이 있다. 소니아 아비안은 1966년 아르헨티나에서 태어나 포사다스Posadas와 바르셀로나Barcelona에서 공부했다.

Balls of Wool                                    12

안데스 산맥의 대표적인 실(實)은 Z-꼬임 Z-spun과 S-꼬임S-plied인데, Z-꼬임은  파냐[1]paña 또는 우연(右撚)라고 하고 반대 방향으로 꼬여진 실들은 요께 lloq’e[2](lloque) 또는 좌연(左撚)라고 부른다. 남성적인 파냐는 영혼의 세계로 가는 길이고, 여성적인 요께는 치유나 점술과 같은 실용적인 마술에 접근하는 길이다. 요께는 보호장치로 손목이나 발목에 착용할 수 있으며, 치유 의식 중 부상 또는 병든 부분을 감싸고 있다가 [나중에] 그 실을 강에 버린다. 임산부들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허리춤에 실을 묶는다. 

Read More

In what was a Portuguese industrial laboratory on the previously uninhabited Cape Verde islands, this blue-andwhite cotton cloth was being produced in the 16th century by the first vertically integrated production of cloth, starting with the growing and harvesting of cotton and dye plant, and using slave labour.

포르투갈의 산업 연구소가 세워지기 전까지 사람이 살지 않았던 케이프 베르데 섬에서 16세기에 이 청백색 면직물 [바라풀라]은 생산되었다. 이는 면화와 염료 식물을 재배, 수확하고 노예 노동력을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생산된 최초의 수직적으로 결합된 직물이다.

 Read more

The textile workers of Vichuga in the USSR struck against ‘socialist competition’, and for the right to grow their own food. Despite selective repression, gains were implemented on a countrywide basis.

구소련USSR의 비추가Vichuga의 섬유 노동자들은 ‘사회주의 경쟁’에 맞서서, 그리고 그들 자신의 식량을 재배할 권리를 위해 싸웠다. 선별적 억압에도 불구하고, 이득gain은 전국적인 기준으로 시행되었다.

 Read more

GHOST ARTIST / SHAMANIC ACTION VERBS: disperse, loosen, distribute, cast off, wash off, grind, shoo away, destroy, detach, cast out, dismember, kill.

유령 예술가 / 주술적 행위 동사: 퍼뜨리기, 느슨하게 하기, 나누기, 뿌리치기, 씻어내기, 갈기, 쫓아내기, 파괴하기, 떼어내기, 내쫓기, 사지를 자르기, 죽이기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