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nses: 과잉과 결핍 사이에서 호흡하다

2019. 11. 15(금) – 12. 01(일)

The Senses; 과잉과 결핍 사이에서 호흡하다

참여작가: 
강승희, 김기라x김형규, 김지민, 노세환, 안옥현, 윤보현, 이준, 전명은, 최수앙, 아델린 쿠에, 첸 사이 후아 콴, 이잠 라만, 유릭 라우

큐레이터:
이승아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라살 예술대학교

운송:
디아트올

설치:
미지아트

그래픽 디자인:
강경탁

토탈미술관은 오는 2019년 11월 15일부터 12월 1일까지 <The Senses; 과잉과 결핍 사이에서 호흡하다>전을 개최합니다.

<The Senses; 과잉과 결핍 사이에서 호흡하다>전에 참여한 14명의 한국과 싱가포르의 작가들은 이론과 기술, 과학을 작품 안에 적극 포용하지만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소통매체인 감각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자본과 권력, 기술, 사회 제반을 아우르는 다양한 분석과 사유의 이미지를 구현합니다. 이들의 작품이 보여주는 다양한 감각의 변환과 확장은 오늘날의 다종다양한 소통매체의 일방향적 확장성에서 벗어나 소통의 근본적 토대가 되는 감각과 지각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조각, 사진, 설치, 영상의 다양한 매체를 바탕으로 인간의 감각을 사유하고 새롭게 경험, 지각하는 이 전시가 잃어버린 감각을 다시금 경험하고 사유하는 기회가 될 수 있길 기대합니다. 따듯한 많은 관심과 격려 부탁드립니다.

*The Senses_전시보도자료_국문_다운로드
*The Senses_Leaflet_DOWNLOAD

영상제작: 
서울특별시미술관협의회

15 November (Fri.) – 1 December (Sun.) 2019

The Senses; Breathe between Excess and Deficiency

Artists: 
Seunghee Kang, Kira Kim x Hyungkyu Kim, Jimin Kim, Sean Ro, Okhyun Ahn, Bohyun Yoon, Zune Lee, Eun Chun, Xooang Choi, Adeline Kueh, Chen Sai Hua Kuan, Ezzam Rahman, Urich Lau

Curator:
Seungah Lee

Support: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Lasalle College of The Arts

Transportation: 
the art all 

Installation:
Miji Art

Graphic Design:
Gyeongtak Kang

A new exhibition by curator Seungah Lee at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opens on November 15 and will be exhibited until 1 December. The exhibition features 13 artists’ works from Korea and Singapore.

Entitled The Senses; Breathe between Excess and Deficiency, the participating artists’ works attempt to look at the idea of conversion and expansion to understand the world in fundamental cognitive senses and awaken the importance of human senses and sensations as pathways for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with one another. While the societies of today have technologically changed the spatio-temporal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objects through the acceleration of progress, this exhibition proposes a way of experiencing and ‘rethinking’ of the works that are presented in the physical and tangible world with the perspectives of the audience, who will have a chance to recall the experiences and senses they have lost through time, and pausing for a moment from the mundaneness of everyday life in all the digital information they unwittingly accept.

*The Senses_media release_ENG_DOWNLOAD

로드쇼2019: 상하이에서 충칭까지 (at. 주상하이한국문화원)

2019. 11. 02(토) – 12. 21(토)

총괄기획: 신보슬

기획팀: 신보슬, 최수영, 강진아, 이승아, 이언주, 서천의 

작가팀: 
김도균, 김시하, 김인근, 노세환, 노순택, 문형민, 박인성, 박혜민, 원성원, 이동재, 이창원, 조은재, 조익준, 최기창, 홍범

제작팀: 노세환(사진), 최윤석(영상), 시각디자인(손혜인)

코디네이터: 이하은

인턴: 김세연, 윤지현

추최/주관: 토탈미술관, 주상하이한국문화원

전시기간: 2019.11.02(토) ~ 12.21 (토) 9:00~18:00  * 일,월 휴관

전시장소: 주상하이한국문화원 3층 전시장 

* Roadshow2019_从上海到重庆_媒体资料
*导览图_Chinese
*전시안내_한국어
*로드쇼 2019 상하이에서 충칭까지  도록

 

1. 루신공원(중국)

2. 만국공묘(중국)

3. 천녕사(중국)

4. 김구피난처(중국)

5. 마곡사(한국)

6. 충징(중국)

2019. 11.01(금) – 11.07(목) 

참여작가: 강명선, 강애란, 고영애, 구자현, 김구림, 김귀현, 김기라, 김도균, 김동현, 김승연 김승영, 김용경, 김진희, 김창열, 노세환, 노순택,  노정란, 문길자, 문형민, 박종규, 백승우, 서은아, 신선희, 안규철, 안준섭, 우종택, 유영준, 유용선, 유인수, 원성원, 원애경, 이난규, 이동욱, 이동재, 이상현, 이순종, 이우환, 이원희, 이호철, 임옥상, 전병현, 정경선, 정보원, 정복수, 정소연, 제유성, 채미지, 최정화, 코디최, 한순자, Charles Arnold, Christo and Janne-Claude, Robert Motherwell, Rauschenberg, James Rosenquist, Kiki smith, Frank Stella, Hiroshi Sugimoto,  Donald Sultan, J.B Thompson, Malcolm Morley
Mark Stock, Robert Polidori, Italo Scanga, David Gerstein

참여갤러리: 가나아트센터, 갤러리세줄, 갤러리시몬, 누크갤러리, 박여숙화랑, 두루아트스페이스, CS Fine Art, PKM갤러리

미술관 후원전은 토탈미술관의 비전에 동참하는 작가들의 참여로 이루어집니다.

*Total Support 2019 리플렛 
*한겨레신문 보도기사

2019 Museum Night #3

2019. 11. 02(토) 3-7pm

워크숍 프로그램 3-5pm
가을편지 만들기
  *선착순 20명 (전화예약)
다양한 판화 및 드로잉 기법을 사용해 편지지를 만들고 편지를 작성하는 워크숍 

《콘서트: 가을편지》 5-7pm

Pf.황인교 · Vn.권오현 · Vc.김홍민
펠릭스 멘델스존: 피아노 삼중주 제1번 d단조 1 & 4 악장

성경현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 멜로디
장필리프 라모: 암탉

박혜린
프레데리크 쇼팽: 발라드 3번 내림A장조, Op. 47

김정은 · 배주은
안토닌 드보르자크: 슬라브 무곡 Op. 72 제 2번, Op. 46 제 8번

Vn. 조민정 · Pf.이현욱
세자르 프랑크: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A장조
                           1악장. Allegretto ben moderato
                           2악장. Allegro

Piotr Kupka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모음곡 5번 E단조 알라망드 / 사라반드 / 지그

임호열
클로드 드뷔시: 영상 1집
                           1. 물의 반영
                           3. 움직임

Vn. 정호진 · Pf. 황상은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폴로네이즈 제1번 D장조

Vn.정호진 · Vn. 조민정
장 마리 르클레르: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소나타 5번 E단조
                                Allegro ma poco Gavotte.
                                Andante gracisoso
                                Presto

김순배
롤랜드 바틱: 6개의 인터메쪼

후원: 사립미술관협회

*Museum Night#3 리플렛



워크숍 강사: 권오신
이화여자대학교 서양화과와 동 대학원에서 회화, 판화전공 일본 타마미술대학에서
판화를 전공하고, 석판화와 회화, 렌티큘러 작업으로 눈으로만 보이는 세상을 넘어, 파편화된 기억 이미지를 통해 무의식속의 새로운 세상을 보여주는 작업을 하고 있다. 

콘서트 출연자:
황인교
예원학교, 서울예고, 연세대 및 동 대학원. USC 전문 연주자 과정 졸업. 예술의전당 영재아카데미 출강. 한세대 연주학 박사과정 재학 중

권오현
서울예고, 연세대, 한국예술종합학교 졸업. 서울시 유스오케스트라 부수석및 총무 역임 뮤즈에세이, 앙상블 Karts, 앙상블 NOI 단원, 유쾌한 오케스트라

김홍민
예원,서울예고,서울대 졸업, 독일 만하임국립음대 전문 연주자 과정 졸업. 안산필하모닉 수석. 강원대, 동국대, 선화예중, 인천예고 출강

성경현
독일 프라이부르크 국립음대 학사,석사. 데트몰트 국립음대 최고연주자 과정 졸업 국립 안동대 출강

박혜린
선화예중,고 졸업, 동덕여대 피아노과 및 동 대학원 졸업, 이태리 Giacomo Puccini Accademia 디플롬, 한세대 피아노 교수학 박사 졸업, 현 대구예술대 출강

김정은
서울대 음악대학 기악과 졸업 Duquesne Univ. 석사졸업현)경희대 출강

배주은
이화여대 음악대학 피아노과 학사 및 석사 Body Mapping Trainee과정 수료 현) 바디맵핑 강사

조민정
독일 아우구스부르크 국립음대 디플롬, 레오폴트 모차르트 첸트룸 대학 최고연주자과정(Master of Musik) 졸업. 한세대, 선화 예고, 고양예고 출강, 국제교육프로그램 하모니네이션 한국 디렉터. International Budapest Music Festival Assistant Director.

이현욱
Ecole Normale Musique de Paris Diplome Superieur D’Execution 수료 및 실내악 졸업, 한세대 대학원 박사과정(D.M.A) 졸업. 현 부산예중, 부산예고, 부산대, 한세대 출강

Piotr Kupka
독일 하노버, 뤼벡 국립음대 피아노 최고연주자 졸업.독일 에센 국립음대 지휘연주자과정 졸업. 독일 베를린 국립오페라단 피아니스트 역임. 이화여자대 반주과 교수, 한양대 반주과 객원교수.

임호열
연세대 학사석사졸업, 로스톡 음대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에피날 국제콩쿨 대상, 예원,서울예고,연세대 객원교수

정호진
서울대 음악대학 졸업,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 Magister 과정 졸업. 윤이상<바이올린 협주곡 2번>아시아 초연, 독일 베를린 필하모니홀에서 솔로 리사이틀 등 다수의 초청 독주회와 실내악 연주. 한세대학교 교수, Ensemble TIMF악장, 서울 쳄버 오케스트라 단원. Budapest Summer Music Festival 의 Head of Strings 및 전임지휘자.

황상은
독일 뤼벡국립음악대학교 전문연주자과정(Diplom) 졸업. 한세대학교 연주학 박사(D.M.A). 현 한세대 출강, 글로컬문화협력 센터 연구원, 하나를위한음악재단 연구원

김순배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미국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석사 및 박사 한민대 교수. USC방문교수 역임 한국 피아노 연주와 교수법 협회 대표. 한세대 피아노페다고지 대학원 겸임교수

TRIALOG 2019

2019. 10. 07(월) – 10. 09(수)

참여작가:
천경우, 심근수, 게하르트 슈태블러

큐레이터:
신보슬

코디네이터:
김세연

진행:
윤지현, 이하은

시각디자인:
산책자

사진, 영상:
김도영, 정영돈

기술지원:
미지아트

기획:
토탈미술관

워크숍 참여자:

김도영, 김지희, 김태중, 송유빈, 오철민, 이예은,
이태용, 이현우, 임성준, 정찬민, 최은주

 TRIALOG-WORKSHOP
 1) 워크숍 10 7 ()
10:00 – 12:00 
현대음악에 있어서의 새로운 소리에 대한 개요                                      (심근수게하르트 슈태블러)
13:00 – 15:00 현대음악 실습 (심근수게하르트 슈태블러)
15:00 – 17:00 이미지와 퍼포먼스 1. (천경우) 

 2) 워크숍 II 10 8 ()
10:00 – 12:00 
현대음악 실습 (심근수게하르트 슈태블러)
13:00 – 17:00 이미지와 퍼포먼스 2. (천경우)
* 워크숍은 비공개로 진행됩니다.


<퍼포먼스와
 강연연주회>  10월 8일 (화) 19:30 – 21:15
  1) 1부 (19:30 – 20:15)
    천경우, <어피런스 Appearance>퍼포먼스, 2013-
     김태중, <뜨거움! Heiss!>
, 2 채널 비디오와 사진, 2019 
     김태중, <당신의 어디에나 Dich in allen Dingen>
, 2 채널 비디오와 사진,                     2019
     미에코 시오미, <경계의 음악 Boundary Music>, 1963
     게르하르트 슈태블러, <연인들을 위한 퍼포먼스 Performances für                                                    Liebhaber>,
1999
     심근수, <책 Buch>, 2006
     존 화이트, <마시고 부는 장치 Drink and Hooting Machine>, 1968

2) 휴식 (20:15 – 20:30) 

3)  2부 (20:30 – 21:15)
슈태블러와 심근수의 퍼포먼스 강연회 “변화”


<3인의 대화(Trialog)>
10월 9일 (수) 10:00 – 12:30
<3인의 대화: 심근수, 게하르트 슈태블러, 천경우> 및 질의 응답

* TRIALOG 2019_leaflet
* TRIALOG 2019_youtube 

 

 

2019. 10. 07(Mon) – 10. 09(Tue)

참여작가: 
kyungwoo Chun, Kunsu. Shim, Gerhard Stäbler

Curator:
Nathalie Boseul Shin

Coordinator:
Seyeon Kim

Staff:
Jihyun YoonHaeun Lee

Design:
Flaneur

Arhive(Photo/Video):
Doyoung Kim, Youngdon Jung

Technical Support:
Miji Art

Project planning: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Workshop Participants:
Doyung Kim, Jihee Kim, Youbin Song, Chulmin Oh, Yeun Lee, Taeyong Lee, Hyunwoo Lee, Sungjoon Lim, Eunjoo Choi

TRIALOG-WORKSHOP
1) WORKSHOP Ⅰ October 7th (Mon)
10:00 – 12:00  
Overview of the new sounds in moden music
                              (Kunsu. Shim, Gerhard Stäbler)
13:00 – 15:00  Moden music practice (Kunsu. Shim, Gerhard Stäbler)
15:00 – 17:00  Image and Performance 1 (kyungwoo Chun)

2) WORKSHOP Ⅱ October 8th (Tue)
10:00 – 12:00  
Moden music practice (Kunsu. Shim, Gerhard Stäbler)
13:00 – 17:00  Image and Performance 2 (kyungwoo Chun)
* workshop is private.


October 8th (Tue) 19:30 -21:15
1) Part1 (19:30 – 20:15)
kyungwoo Chun, , Performance, 2013-
Taejoong Kim, <Heiss!>, 2 channel video and Photograph, 2019
Taejoong Kim, <
Dich in allen Dingen> , 2 channel video and                                             Photograph, 2019
      Mieko Shiomi , <Boundary Music> , 1963
      Gerhard Stäbler, <Performances für Liebhaber>, 1999
     Kunsu Shim, <Buch> , 2006
     John White, <Drink and Hooting Machine> , 1968

2) Break time (20:15 – 20:30) 

3) Part2 (20:30 – 21:15)
 Performance Lecture “Change” of Kunsu Shim and Gerhard Stäbler


October 9th(Wed) 10:00 – 12:30
 
Q&A

      

세마리 개구리 식당 2019

2019. 10. 7(월) 

프로그램 소개:
요리와 음식을 중심으로 일반인 참가자예술가기획자평론가 및 애호가들이 자연스럽게 어울려 네트워킹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진행된 2018년 미술주간을 통해 진행되었던 《세마리 개구리 식당》이 2019년에도 열립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산드로 보티첼리가 운영했던 레스토랑. 
2019.10.07.(토탈미술관 테라스에서 두레유 유현수 셰프와의 콜라보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유현수 셰프가 동시대 작가들의 작업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제작한 레시피와 특별한 음식을 경험해보세요!

유현수 셰프의 작가 스튜디오 방문 일정:
9. 02(월) 문형민 작가 스튜디오 방문
9. 05(목) 이동재 작가 스튜디오 방문
9. 18(수) 이수경 작가 스튜디오 방문

*세마리 개구리 식당 소개
*세마리  개구리  식당  2019 메뉴
*세마리 개구리 식당 2018 



프로그램 일정:

17:00 아카이브라운지  전시 오픈
18:00 <세 마리개구리 식당오픈주문시작
20:00 <더스퀘어야외상영
22:00 <세마리 개구리 식당마감전시종료

장소: 
토탈미술관

협력:
예술경영지원센터

*참여신청 (마감완료) 전시와 영화상영은 사전예약 필요없음
*2019 미술주간홈페이지

 

TM CAFÉ


토탈미술관 카페가 문을 열었습니다.
음료부터 매일 새롭게 바뀌는 런치메뉴까지! 많은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운영시간
화-토 11:00-18:00
*일요일, 월요일 휴무
*런치는 11:30부터 


메뉴

COFFEE
FRESH JUICE
FROZEN/HOT CHOCOLATE
PASTRY
GOURMET LUNCH

 

로드쇼:상하이에서 충칭까지

2019. 08.15(목) – 09. 15(일)

총괄기획: 신보슬

기획팀: 신보슬, 최수영, 강진아, 이승아, 이언주, 서천의 

작가팀: 김도균, 김시하, 김인근, 노세환, 노순택, 문형민, 박인성, 박혜민, 원성원, 이동재, 조은재, 조익준, 최기창, 홍범

게스트:  김평, 노은

제작팀: 노세환(사진), 최윤석(영상), 시각디자인(손혜인), 김경란(가구디자인)

코디네이터: 이하은

인턴: 김세연, 윤지현

추최/주관: 토탈미술관, 주상하이한국문화원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관람시간: 11:00-18:00/ 무료입장
매주 월요일 휴관


 
* 로드쇼 2019_Press

 

0. 발대식

◌ 일시: 3월1일
◌ 장소: 독립문 à 아터테인
◌ 참가자: 신보슬, 최수영, 김시하, 노순택, 노세환, 문형민, 최기창, 이승아, 최윤석

 1차 답사

◌ 일  시: 4월9일~13일
◌ 참가자: 신보슬, 최수영, 노세환, 노순택, 문형민, 최윤석
◌ 방문지:
– 상하이: 뤼쉰공원, 매원(윤봉길기념관), 노신기념관,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만국공묘, 와이탄 항구
– 난징: 천녕사, 회청교
– 항저우: 대한민국임시정부 항저우 유적지기념관
– 자싱: 김구피난처

2차 답사

◌ 일 시: 7월26일~29일
◌ 참가자: 신보슬, 최수영, 강진아,
            김도균, 김시하, 노순택, 노세환, 원성원, 최윤석, 최기창
◌ 방문지:
– 충칭: 한국광복군총사령부, 해방비,충칭임시정부, 김원봉집터, 조선의용대본부
– 치장: 임시정부터 추정지, 이동녕거주지 추정지

국내편1-마곡사

◌ 일시: 4월19일
◌ 참가자: 신보슬, 노세환, 노순택, 최기창, 최윤석, 박혜민

국내편2- 천안

◌ 일  시: 6월9일
◌ 참가자: 신보슬, 최수영, 김도균, 최기창,
◌ 방문지: 양재동 윤봉길 기념관, 아우네장터, 유관순 생가, 매봉교회,
          유관순열사 유적지기념관 입구, 석오 이동녕 기념관과 생가, 독립기념관

국내편3- 경교장

◌ 일  시: 6월29일
◌ 참가자: 신보슬

국내편 4-효창공원, 백범김구기념관

◌ 일  시: 8월15일
◌ 참가자: 김시하

국내편 5-진관사
 
◌ 일  시: 8월 23일 
◌ 참가자: 신보슬,이언주,김도균,김시하,노세환,원성원,이동재,조익준

[드림 아트랩4.0] 벙커 465-16

2019. 08. 24(토) – 10. 20(일)

프로그램 소개:
토탈미술관에서 제안하는 교육프로그램 <벙커 465-16>은 어린이들과 함께 도시문제를 함께 연구하고 해결해가는 일련의 과정을 워크숍을 통해 배우는 자리입니다. 문제 제기에서부터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 4차 산업의 미디어테크놀로지와의 적극적인 연계를 시도합니다. 동시에 예술가들과의 협업의 장을 마련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그들과 함께 탐색하고, 필요한 기술을 탐구하고 응용해 여러 가지 직면하는 문제들에 적용해보는 다양한 창의적 문제해결의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시각과 접근’, ‘주도적 문제제기’, ‘창의적 해결’, ‘디지털 기술의 적극적 활용’, ‘협업과 소통’, ‘공유문화’ 등의 키워드를 통해 사회적 메시지 ×기술 × 예술을 한데 모아 통섭적으로 다루며 그 흐름을 창의적으로 매핑해보는 융복합 워크숍입니다.

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운영:
토탈미술관

협력:
서울예술대학교 

 

운영기간:
2019. 8. 24 – 2019. 10.20 

프로그램 장소:
토탈미술관

프로그램 내용: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연주, 미래환경, 예술문화, 융복합예술창작, IoT(사물인터넷), 피지컬 컴퓨팅, 큐레이팅 등

모집대상:
호기심과 탐구심이 많으며 융복합 예술에 관심이 많은 초등학교 3-6학년

모집기간:
2019년 8월 9일 (금) – 2019년 8월 18일 (일)

참가비: 무료
* 단, 무단불참을 방지하고자 참가보증금(회당 1만원)을 받고 있으며, 참가보증금은 프로그램 종료 후 반환해드립니다.

프로그램 회수:
총 14회

모집인원:
총 60명 내외

*<벙커 465-16> 홈페이지
*참가 신청 및  보다 자세한 사항은 <벙커 465-16>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차드 바인 사인회


『소호의 죄』 출간을 기념하여 열리는 리차드 바인 사인회에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일시:
2019. 8. 20(화) 15:00-18:00

장소:
토탈미술관


참여작가: 
리차드 바인(Richard Vine)

저자소개: 
리차드 바인은 세계적인 미술 매거진 『아트 인 아메리카 Art in America』의 편집장이다. 시카고대학교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시카고 리뷰 Chicago Review』와 『다이얼로드 Dialogue: An Art Journal』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예술과 관련된 다수 저널에 300편이 넘는 기사와 리뷰를 기고했으며, 베이징 중국미술관, 뉴델리 라릿 카라 아카데미 등 국제적인 기관에서 전시를 기획했다.